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테니스 고수로 가는 길 중 하나..베끼기..따라하기


테니스에선 선수를  하나 정해서 따라하는 분들이 많은데,..여타 분야에서도 벤치마킹이 좋은 연습법이라고 합니다.

선수의 스윙을 연습하는 동호인은 많이 봤는데, 풋워크를 따라 연습을 하는 동호인은 아직까지 못 본건 약간 의아??

작년 9월 암스테르담 출장 때, ..시간을 쪼개 "Van Gogh Museum"에 갔었다.

고흐의 초기 습작들을 보면서 난 큰 충격을 받았다.


왜냐?


밀레의 작품들을 "필사"한 것이 몇 점이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밀레의 드로잉을 베낀 다음에(똑 같이!)..페인트 연습을 한 작품이 몇 개나 있었다.

난 그 앞에서 오랫 동안 입을 딱 벌리고 서 있었다.


"아.....고흐 같은 천재도 필사를 했구나!"

고흐의 밀레 필사는 내게 정말.....큰 충격이자 깨달음(?)이었다. .뭐든 혼자 뚝딱 만들어지는 건 없구나!

 

천재는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게 아니구나!

왜 자꾸 필사 얘기를 하냐면, ..좋은 문장이나 그림을 베끼고 또 반복하는 건  공부에 있어서도 기본이기 때문이다.

내 사례를 들자면.... 고등학교 때 성문종합영어 20번 봤다. ..그 덕에 "토종"임에도 불구하고  넘쳐나는 교포와 유학파들 사이에서 잘(?) 버티고 있다.

강유원은 "베끼기"를 "공부하는 방법"으로 강추하고 있다.

"철학 공부도 마찬가지다. 철학 공부에서 베끼는 것은 철학사를 여러 차례 읽는 것이다. 힐쉬베르거의 <서양철학사>(이문출판사)가 너무 두껍다면 얇은 것이라도 골라서 열심히 되풀이해서 읽는 것이다.


베끼기를 할 때는 베낄 책을 잘 골라야 한다. 일테면 서양 근대철학사를 공부하려면 최소한 코플스턴의 철학사를 잡아야 한다....


(중략)......


하여튼 철학사를 50번쯤, 아무 생각 없이 그냥 죽 읽으면 철학의 기본적인 문제가 어떤 식으로 전개되어 왔는지를 알게 되어 맥락이 잡히는데 이 쯤에서 그걸 가지고 뭘 해보겠다고 나서면 안된다. 아직 베끼기가 끝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금부터 해야 할 일은 <철학의 제문제>(벽호)처럼 주제별로 다룬 책을 읽는 것이다. 이 책은 철학의 근본 문제들을 정확한 문맥 속에서 설명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주제에 관련된 철학자들의 원전을 부분적으로 정확하게 번역하여 덧붙여 주기 때문에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런 책도 50번은 되풀이해서 읽어야 한다.

 

철학사를 읽든 철학의 제문제를 읽든 주의할 점은 마음에 드는 부분만 골라서 읽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그저 처음부터 끝까지 죽 읽어야 한다. .....(중략)......


베끼기는 초심자 시절에만 하는 것이 아니다. 평생에 걸쳐 해야 한다. 어느 정도 공부를 한 사람들은 더 이상 철학사를 읽지 않는다. 그렇게 되면 자신의 공부에 있어서 균형을 무너뜨리게 된다. ...(중략).....


베끼기는 독학이 가져다주는 폐해도 막아준다. 독학하는 사람은 어떤 분야의 책을 이것저것 닥치는 대로 읽기 마련이다. 역사적인 연관이나 주제의 관련성에 유의하지 않고 읽는 일이 흔히 일어난다.

 

그 결과 아는 게 많아져서 장광설을 쏟아놓는다. 게다가 그들은 최근의 것에 대한 관심도 지대해서 항상 시대에 맞춰 살아가는 듯하다.

 

그러나 그 분야에 대해 체계적으로 글을 써보라고 하면, 장광설은 사라지고 말을 더듬게 되며, 그 점을 지적하면 원래 제대로 된 공부는 체계에 얽매이지 않는다고 우격다짐을 하곤 한다. .............(중략).....


베끼기를 열심히 하다 보면 책을 제대로 읽는 법을 체득하는 이점이 있다. 어떤 주제에 대해서 공부를 한다면 대개는 참고문헌 목록을 작성하고 이 책 저 책 들춰보면서 노트에 정리한 뒤 끝내는 것이 가장 흔한 일이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그 어떤 책도 기억에 남지 않고 문장 몇 개만 막연한 추억처럼 머릿속을 둥둥 떠다닌다. 차라리 가장 표준적인 책을 한 권 정해서 모든 말과 문장을 따져가며 끝까지 읽는 게 낫다."(p181~184)

 

정말 따라하기가 쉽지 않은 페더러의 측면 호프 스텝..그러나 이스텝도 수천번 베끼기를 하다보면 어느 순간 완성되리라..^^

 


출처.. http://www.kleinsusun.com/AsaBoard/asaboard_remove.php?bn=diary&mode=remove&pkid=162&fmlid=157&fileFlag=&startTextId=0&buffer=170&categoryValue=&thisPage=1&jk=1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TAG •
 Comment '10'
  • 고양이 발톱 03.26 23:05
    긍께 ..님께서 하시는 말을 테니스를 빗대어 예를 들면..
    포핸드는 페더러 백핸드는 애거시 서브는 샘프라스 풋워크는 누구 눈빛은 누구 쇼맨십은 누구 ..
    이렇게
    하지말라는 거죠?

    필요하고 눈에 띠는것만 따서 누더기에 헝겊부치듯 자신을 조립하지말고. 하나의선수의 전체적인 모습을 흉내내라는 거겠죠. 50번 책을 읽듯 많이 따라하고 그래서 감이 좀 잡혔다고 해서 자기가 그선수처럼 똑같이 되었다고 자랑하거나 생각하지 말것이며. 베기기를 계속하라는 거겠죠. 좀 된다고 연습을 게을리하지말고.... 또 내가 따라한 선수가 최고라고 아집을 갖거나 (장광설하듯) 다른사람에게 강변하거나 가르치려하지도말구요,,,,
  • 샘짝퉁 03.26 23:58
    '긍께'로 시작하신 걸 보니, 심사가 많이 안 좋은 신 듯 하네요.
    뭔 말인지 알겠습니다. 설득력이 있는 말씀입니다.
  • 샘짝퉁 03.27 12:40
    다만, 평소엔 별 말이 없다가 이런 글을 첫 글로 적은 정신상태는 약간 의심스럽긴 합니다.
  • 고양이 발톱 03.27 12:56
    심사 안좋지 않습니다. ..오해입니다 음. 제가 님글을 잘못해석한거 같군요.
    긍께는 .. 전 지방사람이 아니라서 이런사투리의 뉘양스나 어떤 심사를 반응하는 건지 잘모르고..그러니까 보다 느낌이 부드러운것도 같고. 좀더 변명하자면 저글이 지하철에있는 컴퓨터로쓴거라서 세심하게 수정할생각은 못했군요. 저도글에 일일이댓글다는 스타일은아닌데 님글을 보고 내가 테니스를 익혀온 과정을 돌아보면서 독학과 공부

    뿐이 아니라 운동에도 적응됨이 공감이되면서 인상적이어서 댓글을 달았지요. 오늘도 짬이나서 출처에 써진 책을 찾아보려고 서점에 왔다가 글을 보게 되었는데.
    간단히 말하자면 ,오해입니다.

  • 샘짝퉁 03.27 12:59
    오해였군요.
    요즘 신경이 날카로와져서 그런가봐요.
    죄송합니다 ^^;;
  • 全 炫 仲 03.27 15:48
    고양이 발톱님과 샘짝퉁님의 오해가 잘 풀린것 같아 다행입니다.

    샘작퉁님..연일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샘짝퉁 03.31 18:39
    http://blog.daum.net/oksoly/12584122

    공부주제는 자신이 살아오면서 가장 심각하게 고민했던 문제여야 한다.
    그래야 하다가 멈추는 일이 적다.
    관심분야를 하다가 다른 곳으로 관심이 가게 된다.

    가장 표준적인 책을 한 권 정해서 모든 말과 문장을 따져가면 끝까지 읽는 게 낫다.
    그런데 진짜 문제는 이렇게 해야 한다는 걸 누구나 알고 있는데 막상 실천하려면 잘 안된다는 것이다.
    (이걸 베끼쓰기라 하는데, 50번 정도 읽는 것이 좋다.)

    50번을 읽으라고 함은,
    **누가 그 책의 아무 페이지나 펴서 그것을 설명해 보시오라고 했을 때, 글로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수준이 됨을 의미** 한다.

    물론, 베껴쓰기후에 참고문헌을 10권 정도 읽고나서, 다시 원전을 읽었을 때에 이런 수준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우선 50번은 읽으면서 뜻을 정확히 아는 것이 먼저이다.


    ...........

    80%는 반드시 중간에 멈추는게 인간군상의 특징이다.
    만약 모든 사람이 똑같이 한다면 결과의 편차는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일은 역사상 어떤 분야에서도 일어난 적이 없다.)
  • 황매니아 06.21 10:13
    샘짝퉁님글을 보는 저의 작은눈이 조금 커지려 하네요..
    드래그해서 제 블로그에 가져가서 천 천 히 읽어봐야 겠습니다.

    전 예전부터 아무리 재미있는 드라마도 남의집 TV로 보면 집중이 잘 안되거든요.
    이해부족에 주위가 산만한 편인가봅니다. 아무튼
    너무나 소중한 글인것 같아서 잠시 빌려갑니다.
  • 비목 03.23 17:40
    따라하기 조차 버거울 때가 있습니다...ㅠㅠ 움직임의 포인트가 뭔지 모르겠습니다...전 발리 때문에 많이 고생하고 있는데, 다들 연습 때 폼은 좋은데 실전에선 왜 그러냐며...휴~~ 따라하기 무지 힘드네요..
  • 에드워드 08.09 12:30

    멋있는 자세나 타구를 따라하고 싶은데 잘 않되는게 문제입니다.

    나이 탓인지.... 50 살넘어서 테니스 배우는건 무리겠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테니스 복식 잘하는법 6가지 file
156 벽치기로 스트로크시 흔들리지 않는 하체 연습 tip file
155 공을 관찰하는 연습 - 스플릿 스텝 타이밍 만들기 file
154 발리 팁 몇가지 file
153 어깨에 힘 빼!! no .. 하체로 스윙~ yes 11 file
152 정체기 = 자신감 가져야 할 때 14 file
151 난타나 경기시 5분동안은 구강의식을 하는 습관을.. file
150 크로스, 역크로스 개념 확실하게 이해하기 file
149 스트로크시 상대 압박 지역..느리더라도 긴공은 필수 2 file
148 베이스라인 바로 앞에서 풋워크 연습드릴.. file
147 스퀘어나 클로즈 포핸드 치는 동영상.. 1 file
146 짧은 공을 치는 타법... hop-thre step. 1 file
» 테니스 고수로 가는 길 중 하나..베끼기..따라하기 10 file
144 크로스로 리턴할 때,,각을 정확하게 내는 2가지 팁 3 file
143 포쪽 구석으로 오는 공은 왜 자연스럽게 스윙하기가 어려울까?? 3 file
142 백핸드가 포핸드보다 쉽다고 하는 이유 file
141 발리 주의점- 상체 턴 - 얼굴을 공쪽으로 1 file
140 상대를 이길 수 있는 확률을 높이는 변수들 7가지 1 file
139 슬라이스에서 회전만 많이 걸릴때의 교정 팁 file
138 로딕의 슬라이스서브... 비비는 동작을 오래 함,,풀랫 서브와 비교 3 file
137 묵직한 백핸드(이형택선수의 생각)
136 상수와 하수의 결정적인 차이 file
135 스플릿 스텝을 할 때,, 시선처리는 발리시선 모드로 file
134 잡아친다는 의미.. 중간지점을 확인하고 왼손 돌리기 3 file
133 Off-balance시는 hitting zone이 小 file
132 트리거 타법의 핵심사항과 장점들 3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