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테니스에서 고비중 하나를 넘는 방법 첫 단계는?


테니스 구력이 쌓이다보면, 한 고비 한 고비를 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어떤 이는 그 고비가 포핸드가 되었을 때, 백핸드나 발리 등등이 되었을 때라고 하고, 다른 이는 NTRP를 기준으로도 합니다.

 

대략 4.0정도가 되면 큰 고비는 넘었다고 합니다.

'경기중에 마음이 급하지 않는가'도 그런 고비중에 하나입니다.

공이 빠르게-전후좌우-왔다갔다 등으로 되기때문에, 구력이 짧을 때는 정신이 없게 됩니다.

이 정신없는 상태를 벗어나질 못하면, 스트로크기술이나 잔발이 향상되더라도 어떤 한계를 벗어나기가 쉽지 않습니다.

편한 마음으로 변환될 수 있는 첫 단계가 '공이 제대로 보이느냐'입니다.

다른 분야중에는 느리거나 적정, 빠른 경우도 나눠기도 합니다. 하지만 테니스에서는 느림과 적정밖에 없습니다(짧고 바운드 높은 공은 예외로 하고).

테니스는 빨라봐야 거의 딱맞는 자리잡음이 대부분입니다.

이런 특징의 운동이다보니, 네트를 넘어오기 전에 공의 궤도를 제대로 보지 못한다면, 늦은-부정확한 출발이 될수밖에 없고, 간신히 자리잡고 리턴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적극적 수비구가 가능한 지 아닌지에 위의 요소가 크게 작용을 합니다.

 

적극적 수비구의 비율이 적을수록 공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공을 보는 Tip

서브의 경우에는 임팩트후에 궤도가 하강을 하고 스트로크의 경우에는 임팩트후에 궤도가 상승을 합니다.

리턴하는 위치에서 보면,

 

서브는 수직변화가 약간 심하고(빠르기도 하고) 스트로크의 경우에는 수직변화가 약간 미미합니다.

이런 뻔한 궤도를 미리 예상하고, 임팩트시에는 타점에 눈을 고정하고 있으면, 공을 보기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처음에 임팩트지점에 정확히 고정하지 않으면, 임팩트후에 초반 공의 속도는 빠르기때문에 그 line을 쫓아갈 수 없습니다.)

공이 정확히 보이게 되면, 자신의 스플릿스텝의 타이밍이 맞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스플릿스텝의 시작보다는 착지하는 타이밍을 많이 중요시 생각합니다. 공이 베이스라인과 서비스라인 중간정도 위를 지날 때 착지되는 것이 가장 맞는 것 같습니다.

이 원리는 서브리턴시와 스트로크리턴시에 동일합니다. 이 착지 타이밍이 맞으면 풋워크를 좀 더 여유있게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움직이면서도 눈으로는 계속 공을 계속 쫓아야 합니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테린이 탈출하기 - 버트 캡(BUTT CAP)만 활용해도 이미 중수 레벨 (ntrp3.0) file
공지 테린이 탈출하기 - 테니스에서 이 스텝(step)만 알아도 수비력 50% 증가한다. file
공지 테린이 탈출하기 - 테니스 양손 백핸드(투핸드백핸드) 완전정복 핵심 몇가지 file
공지 테린이 탈출하기 - 테니스 입문가이드 및 운동효과..테니스 기초 이론과 기술 file
공지 테린이 탈출하기..테니스가 쉽다고요??..어려운 운동입니다.(테니스가 어려운 이유와 첫 레슨의 중요성) 21 file
공지 테니스 그립..이스턴 그립에서 웨스턴 그립.. 하이브리드 그립 file
74 테니스 백핸드 슬라이스 잘치는 방법 file
73 테니스 발전의 기본 - 스트로크는 충분하다..다리를 써라 file
72 테니스 발리와 서브 이해 및 발전방법 file
71 테니스 로브에 약점을 보이는 경우 체크 포인트 - 공 추적의 핵심은 무게중심 file
70 테니스 로브(곡사포)를 상대하는 방법,,흥미로운 통계 수치들 file
69 테니스 라켓 스펙에서 스티프니스(Stiffness)..강성이란? 1 file
68 테니스 라켓 선택가이드 6 file
67 테니스 라켓 가로줄과 세로줄 텐션 차이에 대한 Q & A 모음 file
66 테니스 동호인...중수와 상수의 결정적인 차이 3가지.. 스탭 + 눈 + 예측력 1 file
65 테니스 동체시력 중요점 하나 및 동체시력 테스트 file
64 테니스 단식에서...긴 연결구에 상대가 수비위주로만 할 때 file
63 테니스 단식.복식에서 짧은 볼을 위너로 만들기 위한 3가지 팁 file
62 테니스 그립(grip) 체인지의 중요성 file
61 테니스 경기 승률이 갑자기 높아진 경우..연결구가 많아졌다. file
60 키네틱체인(kinetic chain)..테니스에서 의미 file
59 크로스,역크로스 각이 잘 안날때 - 가상의 코트 만들고 연습 file
58 컨티넨탈 그립(테니스 서브,발리,슬라이스) 이론과 동영상 file
57 최강 테니스 복식 팀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 복식 전략전술 file
56 집에서 연습하는 테니스 풋워크와 체중 이동 file
55 지고 있을 때 - 흐름을 전환시키는 방법과 이기고 있을 때 - 흐름을 지키는 방법 file
54 중력을 창조하는 테니스 - 고수로 가는 길 file
53 이스턴 그립(테니스 백핸드) 이론과 동영상 - 페더러 원핸드백핸드 그립 file
52 유용한 테니스 기술 - 사이드 스핀 완성하기 file
51 웨스턴 그립(테니스 포핸드)의 이해와 동영상 file
50 원핸드냐?,,투핸드냐?..장단점들과 3단계로 배워보기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