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니스 체중이동..관성력을 만드는 주체.. 히프(엉덩이) 먼저

테니스에서 움직임의 특징은...


1.  짧은 거리를 빨리 가야 한다.

 

2.  도착후에 스윙을 해야 하므로, 짧은 거리를 움직이지만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움직여야 한다.

테니스에서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 때는 항상 스플릿 스텝을 한다.


스플릿 스텝시의 몸은 어떤 방향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정지된 상태로, 그 위치에서 밸런스를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는 정지되어 있지만, 어떤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는 최적의 준비된 상태이다.

그 다음 공 방향으로 움직이면 된다.

그런데 여기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방향이 정해졌다고 해서, 그량 스텝을 한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

 

왜냐하면, 짧은 거리를 빨리 가야 하는 것도 있지만, 최적의 밸런스를 유지한 채로 가야하기때문이다. 그래야 스윙을 제대로 할 수 있다.

방향 전환이라 함은 새로운 방향(타점방향)으로 '관성력'을 새로 만든다는 것이다.

이 관성력은 우선 그 방향으로 몸이 쓰려지는 힘을 만들어야 한다.(자전거를 타면서 방향을 바꿀 때, 핸들도 틀지만, 먼저 히프를 그 방향으로 기울여주는 것과 같다.)

 

쓰러지는 힘을 만들고 나면(물론 쓰러지지는 않는다.. 단지 시작할 힘을 만드는 것이다),그 방향으로 탄력이 생겼으므로, 이 후 발을 움직이면 상체도 그것에 맞게 움직인다.


즉 움직일 때 몸 전체가 조화를 이루면서 움직이는 것이다. 문제는 새로운 관성력을 만드는 주체는 무엇이냐는 것이다.

어떤 글에는 머리를 먼저 그 쪽으로 기울여서 그 방향으로의 관성력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래의 글에서는 약간 다르게 주장을 한다. 이 글에서는 관성력을 만드는 주체는 히프라고 한다.

히프를 움직일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몸은 그 방향으로 관성력이 생기기 시작한다. (히프자체가 무게중심 근처이고 그 자체가 무거운 것이라, 약간만 움직여도 큰 힘을 낼 수 있다.


즉 무리한 움직임이 하지 않아도 상체를 움직일 힘을 가지고 있기에 부드러운 움직임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부드럽기 때문에 밸런스 있는 움직임이 가능하다.)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 때도 순서가 있을 것이다.

 

그 순서의 A(첫번째)는 히프를 그 방향으로 움직여 관성력을 만드는 것이다. 그 방향이 앞이든 뒤던 오른쪽이든 왼쪽이든 관계없이..


두번째가 발을 움직이는 것이다 = 스플릿 스텝

 

이 방법은 서브에서도 적용됩니다. 서브에 파워가 나지 않는 경우 엉덩이를 먼저 턴해서 베이스라인 안으로 넣고..후에 자연스럽게 임펙트 동작. 

안드레 애거시는 풋워크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을 했었다고 한다.


“All I try to do on return of serve is get my hips to move to the forehand or backhand, and then everything follows.”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테니스 복식 잘하는법 6가지 file
56 백슬라이스..눌러준다는 느낌 2 file
55 백슬라이스 어프로취샷을 할 때 유의사항 몇 가지 file
54 발리가 날카롭게 안될때 - 라켓 프레임을 이용한 연습 방법 9 file
53 발리 팁 몇가지 file
52 발리 주의점- 상체 턴 - 얼굴을 공쪽으로 1 file
51 발리 - 풋워크가 안되면 머리 높이로 위치 조정하기 file
50 바운드되기 바로 전부터 공을 관찰.. file
49 묵직한 백핸드(이형택선수의 생각)
48 무릎을 펴면서 공을 본다는 것.. 포워드스윙 타이밍을 인지 file
47 무릎을 적당하게 구부리라고 하는 이유.. '꽉 찬 느낌'에 대한 관용 2 file
46 무거운 공을 리턴 - 체중을 약간 이용+그립 접근은 기본 file
45 머리는 꼬는게 아닙니다..코일링 테니스의 이해와 오해 file
44 머리 고정 후 공보기..바운드 전부터는 watch는 필수 file
43 리듬감 있는 스텝(풋웍) 완성하기 - toe step file
42 로저 페더러의 포핸드는 왜 강력한가? file
41 로저 페더러의 포핸드 간략 분석 file
40 로딕의 슬라이스서브... 비비는 동작을 오래 함,,풀랫 서브와 비교 3 file
39 레슨전 5분의 준비운동 27 file
38 라켓을 때리는 공과 라켓 면도 함께 촛점 맞추기.. 7 file
37 라켓 면의 방향에 따른 테니스 포핸드 드라이브 형태..에넹과 페더러 비교 4 file
36 듀스코스에서 스트로크후 recovery step.. 포-백스탭이 전환된다는.. file
35 동호인 테니스 발리에서 에러가 많은 경우 체크 포인트 2가지 3 file
34 동체시력에 대한 생각 몇 가지-눈과 고개를 같이 움직여야 3 file
33 동체시력 강화 - [본인라켓-네트-상대얼굴]순 초점 맞추기 file
32 단식에서... 승률 높은 테니스에 필요한 10가지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