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니스에서 헤드업 안하는 tip

저번에 프로들이 임팩트때 공을 보는 모양새는 3가지 분류가 있다는 글을 적었습니다.

페더러는 임팩트때 시선고정이 가장 긴데,  그가 고개를 돌리는 것은 팔로우드로가 거의 끝날 때쯤입니다.
 

 

 

애거시같은 경우는 임팩트시에 상체가 회전되므로 고개를 상체의 회전에 묻어서 하는 듯 하고요

 


로딕같은 경우는 포워드스윙전까지 공의 궤도로 타점을 예상하고, 그 다음에는 타점을 보지 않고 앞을 보고 임팩트를 하는 스타일입니다.(이 스타일도 임팩트때 헤드업하는 것이 아니니 나쁜 스타일이라고 하긴 어렵습니다. 많은 프로선수들이 이렇게 하고 있습니다.)

 

 


여러번의 실험으로,,저만의 헤드업 안하는 방식을 찾았습니다 ㅎㅎ

애거시와 거의 비슷한 방법이기는 하지만, 어쨌든.. 바운드되어 올라오는 공을 보면서, 공이 눈에 꽉 차는 느낌을 받습니다.이 지점은 타점보다는 약간 앞입니다.

 

이 때 포워드스윙을 합니다.포워드스윙을 하면서 공을 계속 봅니다.

 

그러다 임팩트가 됩니다.(이상하게도 임팩트 바로 전에 공이 안 보입니다. 공을 계속 보고 있는데도) 임팩트가 되면 소리가 납니다. 그 소리를 확연하게 귀에 들리고 나면 고개를 살짝 돌려 공을 봅니다.

스윙을 하고 나서,,고개를 언제 돌렸는지 생각을 해 보면,, 팔로우드로가 중간쯤 되어서였습니다.

프로들이 하는 3가지 방식은 어떤 것도 헤드업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다 의미가 있는 방식입니다.

가장 나쁜 것이 임팩트 바로 전에 고개를 들어서,,포워드스윙중에 만들어 놓은 축의 상부를 흔드는데 있습니다.(공에 대한 컨트롤력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요인입니다.)

제가 판단하기에 이런 습관이 드는 이유가,,포워드스윙 시작까지 본 공으로도 이 공은 치면 되는구나라는 어설픈 확신을 하기때문입니다. 그래서 그 다음 공을 보지 않고 헤드업이 할려고 하는 듯 합니다.

사실 공을 더 본다고 공의 궤도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얻는 것은 없습니다.포워드스윙 초기에 본 공이 정확한 것은 맞습니다.그러나 헤드업이라는 실책을 내게 되죠..

헤드업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공의 궤도에 대한 확신을 좀 더 참는 것입니다.(물론 공에 대한 정보를 더 얻을 것은 없습니다.)
 

언제까지??
 

이때부터는 시각은 믿을 필요가 없고,귀를 믿으면 됩니다.'딱'하는 소리가 귀에 듣리는 느낌이 들면, 그 때 고개를 살짝 돌려 공을 보면 됩니다.(팔로우드로 중간에 고개가 돌아가는 듯)

물론 이 때 돌리는 것도 헤드업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공이 나가는 궤도에 영향은 거의 없는 듯 합니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TAG •
 Comment '2'
  • 해모수 06.08 15:58
    공감 합니다.
    공을 보는것은 조금 나아 졌는데..
    요즈음은 무릅이 너무 빨리 일어서네요..
    혹시 처방있으시면 부탁 합니다.

  • 애거시짝퉁 06.08 16:06
    테니스라는 것이 그런 것 같아요.
    포핸드 하나만 보더라도 하나 되면 또 다른 것이 안되고 ^^;;

    왼쪽무릎이 빨리 일어서는 것을 극복하는 저만의 방법은..
    포워드스윙을 시작하기전에 왼쪽어깨를 약간 낮추는 편입니다.
    그만큼 왼쪽무릎이 낮추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것은 상체가 앞으로 약간 구부려지는 효과도 있는데,
    정석은 아닐지 몰라도, 효과는 제법 좋습니다.
    유니턴후 테이크백을 할 때,, 왼손으로 라켓을 뒤로 빼면서 왼쪽어깨를 약간만 낮추면 됩니다.)
    (백핸드시에도 오른쪽어깨를 약간 낮추는 편입니다.
    이런 준비 동작이 그 다음의 포워드스윙을 해 보면, 좀 더 자연스럽게 되는 듯 합니다.)

    더 자세한 조언은..
    다른 분께 pas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테니스 복식 잘하는법 6가지 file
106 와이퍼 스윙이 잘 안될때 핵심 체크 포인트 - 간단하지만 중요 12 file
105 와이퍼스윙을 위한 팔꿈치 워밍업.. 높은 공(for 유연성)
104 원핸드 백핸드가 잘 안될때,, 팔꿈치를 중간 매개체로 활용 3 file
103 유니턴(몸통회전) = 라켓 테이크백(?) file
102 이동하면서 하는 포핸드, 백핸드가 어려운 이유와 해결방안 하나 file
101 이미지 트레이닝의 의미와 예상효과 file
100 일관 - 공격 적인 스매싱 file
99 일관성 있는 스트로크 - 팔이 자연스럽게 묻어가는 모양 3 file
98 일정한 토스를 위해,, 연습할 때,, 지켜야 하는 3가지 1 file
97 임팩트때의 라켓면의 각도 file
96 임팩트시 공을 볼 수 있느냐 = 발리 마스터가 되는 핵심 file
95 자신감의 정의...테니스에서 자신감 이란? 1 file
94 잡아놓고치기...비밀은 스탠스.... 4 file
93 잡아친다는 의미.. 중간지점을 확인하고 왼손 돌리기 3 file
92 정체기 = 자신감 가져야 할 때 14 file
91 조코비치 유닛턴 - 테니스 백핸드에서 유닛턴은 언제 하나? 1 file
90 좋은 발리는 어떤 느낌이 올까? file
89 좋은 탑스핀 = 안정적 궤도+회전력 조절..지점에 따른 궤적분석 file
88 집에서 하는 테니스 풋 워크(Foot work)와 체중 이동 6 file
87 짧은 백스윙... 타점을 앞에서 잡기 쉬운 방법
86 짧은 공을 치는 타법... hop-thre step. 1 file
85 축만들기..테니스 스트록에서 부드러운 파워의 원천 2 file
84 컨트롤이 되면 파워를 올리는 것은 오래 걸리지 않는다 4 file
83 코치샘의 부드러운 발리 2 file
82 크로스, 역크로스 개념 확실하게 이해하기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