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때려치기(상수) >> 밀어치기(초-중수).. 그립을 좀 더 아래로 접근




포핸드를 처음 배울 때는 때려치는 느낌보다 밀어치는 느낌으로 해야,,
공에 대한 감각을 익힐 수 있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때려치는 느낌을 가르?줘도 알기가 쉽지 않습니다.
게다가 때려치는 타법에는 밀어치는 타법이 포함되어 있기에,,
우선은 밀어치는 것을 먼저 배우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다가 실력이 좀 늘게 되면,,
때려치라는 얘길 듣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초-중수는 밀어치는 경향이 있고,
상수는 때려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밀어치기와 때려치기는 사실 구분이 애매한 면도 있습니다.

요즘 추세인 와이퍼스윙은 어찌보면 때려치는 것 같기도 하지만, 어찌보면 밀어치는 타법이기도 합니다.

같은 와이퍼스윙에서 왜 밀어치기와 때려치기가 혼재하는 지 살펴보겠습니다.
(와이퍼스윙이라고 해서 때려치는 타법은 아닙니다.)

포핸드스윙을 세분해 보면,
포워드스윙은 어깨로 가는 것이므로,, 직선에 가깝습니다.
임팩트후의 스윙은 와이퍼스윙(팔꿈치중심회전)이 일어납니다.
((임팩트전의 포워드스윙도 약간 상향스윙이라,, 탑스핀이 걸리기는 하나,,
여기서는 수평에 가깝다고 가정합니다.))

아래의 그림에서,,

포워드스윙과 와이퍼스윙이 만나는 지점인 B라고 하면,,
이 지점은 밀어치기와 와이퍼스윙(탑스핀을 줄 수 있는)이 혼재되는 지점입니다.
만약,, 공이 약간 늦게 맞어서 C 지×?맞았다고 하면,, 공은 약간 플랫성을 나갑니다.
그 예는 다운드라인을 칠려고 하는데,, 타점이 늦었을 때,, 빨래줄같은 타구로 나가는 경우입니다.
(본인은 탑스핀은 걸다고 스윙을 했는데도)

우리는 B지점에서 친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C지점에서 맞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생각보다 탑스핀이 덜 걸리는 것입니다.

B지점은 정확히 설명하기 어려운 지점이므로 생략하겠습니다.
(공이 타점에 머무러는 시간과 정확한 타점처리 등이 변수로 작용하므로 해석이 쉽지 않는..)

A지점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보면,,
이 부분은 와이퍼스윙(팔꿈치중심회전)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밀어치기현상도 같이 발생합니다.
그 이유는 임팩트후에도 어깨회전이 일어나기때문입니다.

미니테니스로 탑스핀을 했을 시에,,
어깨회전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와이퍼스윙으로만 해야 서비스라인 안에 넣을 수 있습니다.
이 때 공이 라켓면에 맞는 느낌은 탁~ 걸렸다가 나가는 느낌입니다.
(이 느낌은 밀어칠 때 느낌이랑은 완전히 다르죠~)
이 때의 느낌을 때려친다고 하기에는 힘이 없습니다.

베이스라인에서 랠리를 할 때는
당연히 어깨회전까지 합니다.

즉,, 미니테니스에서 말하는 와이퍼스윙도 하면서,, 동시에 어깨회전(밀어치기..파워)도 합니다.
느낌은 공을 탁~ 채는 느낌인데 파워가 공에 전달되는 느낌입니다.

이 느낌을 때려치는 타법이라고 합니다.

아래의 그림에서는
A지점에서 그런 현상이 일어납니다.

**********

말로 적을려니 약간 어렵네요.
(느낌이라..)

실전에서는 이런 느낌으로 하면,,
때려치는 느낌을 알 수 있습니다.
포워드스윙을 하면서,, 임팩트 바로전에 와이퍼스윙을 한다는 정도..

와이퍼스윙을 하는데도,,
웬지 컨트롤이 안되는 느낌이 들면,,
아마도,, C지점에서 맞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밀어치는 요소가 많은)
이 때는 와이퍼스윙을 약간 더 빨리한다는 느낌으로 스윙을 하면,, 컨트롤하기가 쉽습니다.
물론 와이퍼스윙의 초기이므로 파워도 충분합니다.

B지점은 좀 위험합니다.
이것이 정답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이 지점에서 맞춘다고 생각을 하다가,,
빠른 공이 와서,, 타점이 약간 뒤에서 맞던가 할 수 있습니다.
그럼 때려치지 못하고, 밀어치는 요소가 강하게 때문에 공에 대한 컨트롤이 약간 어렵습니다.
(밀어치기는 파워는 있는데 컨트롤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습니다.)

상수들이 때려치는 이유는..
파워뿐 아니라 컨트롤까지 조절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

서브리턴에서도 때려치는 타법을 사용하면,,
리턴에러가 감소합니다.

물론
백핸드에서도 가능합니다.

************

[때려칠려면 그립을 좀 더 아래에서 접근]

나달의 포핸드를 보면,,
직선이후 와이퍼중에 임팩트되므로,,
임팩트시에도 그립보다 임팩트가 아래에 있는 것이 좋으므로,,
그립을 생각보다 더 아래서 접근하는 듯..

그립을 아래로 접근할려면, 무릎을 좀 더 구부려야 되겠져..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
 Comment '3'
  • 해모수 04.18 11:23
    오늘은 한번 느낌의 차이를 얻어 보도록 해야 겠네요...

    느낌을 채험을 해야 실로 기술을 연마할 수 있겠죠..
  • 이순옥 04.24 21:57
    느낌은 알겠는데 잘 안되네요. 더욱더 열심히 해야겠죠...
  • 애거시짝퉁 04.24 23:29
    공에 접근하는 그립을 약간만 더 아래로 하시고,,
    임팩트후에도 어깨회전이 충분하면,, 제법 잘 됩니다.
    (임팩트후 어깨회전은,, 무릎을 폄으로서 원활하게 됩니다)

    그립을 공보다 약간 아래로 접근한다고 하는데,,
    그것보다 비슷하거나 약간 위로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무릎을 덜 구부리면서 그립을 접근하는 것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어떤 분의 글에,,
    공에 대해 그립의 접근을 다음과 같이 비유하더군요.
    "어두운 밤에 바운드되고 올라오는 공을 후레쉬로 비추는 느낌"
    너무나 멋진 비유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