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일관성 있는 스트로크 - 팔이 자연스럽게 묻어가는 모양


프로선수마다 스윙자세가 약간씩 틀리기는 하지만 그 스윙 자세만 봐도(얼굴 안 봐도) 누구의 스윙인지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일관된 스윙이 가능해야 컨트롤도 쉬워지고, 파워를 내기도 쉬워집니다.

 

포핸드와 백핸드를 구분해서 본다면..

포핸드 스트로크에서는 백스윙 후에 포워드 스윙을 할 초기에 팔꿈치를 허리보다 약간 앞에 고정하고(공 2~3개 간격은 있습니다)..


그 다음의 포워드 스윙시에 팔은 상체회전과 같이 합니다. 이런 동작이 어떻게 보면 "묻어가는 행위"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런 묻어가기 행위가 스윙을 일관되게 해 줍니다.


공 높이에 따라 본다면

 

높은 공이 오면, 팔꿈치를 약간 높은 곳에 고정해서 묻어가면 되고 중간 공이 오면, 팔꿈치를 중간 위치에 고정해서 묻어가면 되고 낮은 공이 오면, 팔꿈치를 낮은 위치에 고정해서 묻어가면 됩니다.

만약 일관성이  없는 스윙이  많이 나오는 경우라면 아마도 상체회전 따로 팔회전 따로 하면,, 팔의 회전에 일관성이 없을 겁니다.

 

팔로만 스윙을 해 보면, 스윙시마다 약간씩은 다른 스윙이 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경우는 상체의 회전력을 이용하는 스윙도 어렵게 됩니다.

 

1.JPG

 

포핸드는 트리거 타법(간단하게 요약하면  윗 사진 처럼 라켓 버트부분이 공과 일직선이 되게 맞추면서 포워드스윙이 )이라는 개념이 있기에 이 개념을 이해하기가 쉽지만, 백핸드는 이런 용어자체가 없기에 어떻게 묻어가는 스윙이 되는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https://tenniseye.com/ssam/91555

 

 

원핸드 백핸드에서는 팔이 상체에 어떤 방식으로 묻어가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포핸드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백핸드에서도 상체회전과 팔에 의한 스윙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상체 회전이 언제, 얼마만큼 일어나느냐 입니다.

백스윙을 했을 때, 상체(양어깨)는 네트와 45도를 이루게 됩니다. 상체회전은 포워드스윙 초기부터 이루어집니다.


이 때 팔의 회전은 거의 없습니다.


상체가 회전되다가 라켓의 그립 끝이 네트와 수직이 되는 순간에 상체회전은 거의 끝이 납니다. 이 때의 상체는 네트의 각도는 수직을 지나서 20~45도(이 각도는 프로마다 약간 틀리고, 다운드라인으로 보내냐 크로스로 보내냐에 따라 약간 다릅니다)가 됩니다.


그립 끝이 네트와 수직되는 지점보다 약간 더 회전이 되면,, 상체회전은 끝이 납니다.

이 때부터는 팔의 회전이 일어납니다.그립끝이 네트와 수직이 되는 순간보다 약간 뒤부터..이 때부터는 어깨회전은 멈추고, 팔스윙만 하면 됩니다.

즉 백핸드스트로크전체로 보았을 때..

 

어깨회전(상체회전)은 초중기에만 일어나고 이때 팔의 회전은 거의 없이 묻어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상체 회전중에 그립 끝이 네트와 수직이 되는 지점을 약간 더 지나면서 팔스윙을 시작하면,,팔스윙은 후반기에만 하면 되므로 [일관된 스윙]을 할 수 있습니다

팔스윙이 좀 더 일찍부터 된다면,, 스윙자체가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므로일관성 있는 스윙은 요원해 집니다. 원핸드 백핸드에 에러가 많다면 이부분을 점검해보면 좋습니다. 

요약을 하면,,

 

백핸드스트로크에서 상체회전이 초중기에 일어나고, 이 때 팔은 회전없이 묻어가고 팔의 회전은 거의 없지만 그립끝이 공아래로 접근하다록 해야 합니다.

 

상체회전이 끝나고 팔의 회전을 한다.

실전에서는..

 

원핸드백핸드는 아래와 같이 하면 일관성 있는 스윙이 됩니다.

 

그립 끝이 공아래에 접근한 순간이다 싶으면 팔스윙을 시작할 순간이라고 판단하시면 됩니다. 그립 끝이 공 아래를 향할 때까지는 팔스윙을 하지 않는다.


공아래에 그립끝이 향하게 되면 상체회전를 멈추고(해 보면 상체는 약간 더 회전합니다), 팔스윙을 시작합니다.

 

포핸드와 백핸드에서의 차이가 나는것은


포핸드 스트로크에서는 임팩트되고도 어깨 회전이 계속 되는 것이 백핸드와는 다르기 때문입니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TAG •
 Comment '3'
  • 주니 01.01 17:53
    원핸드 백핸드시 공을 친 이후에 팔로우에 의해 자연스레 상체가 젖혀지는 것을 제회하면 상체회전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고, 또한 그렇게 배워왔습니다. 페더러나 에넹이 그렇다고 하는데 정확히 어떤 동영상인지 궁금합니다.(전, 화질이나 프레임면에서 확실한 동영상만 갖고 있습니다.)
  • 애거시짝퉁 01.01 23:00
    위의 글도
    상체회전은 임팩트전에 끝난다는 내용입니다.

    임팩트후에 상체가 회전하는 것 같이 보이는 것은
    당연히,, 의도적인 것이 아니라, 팔이 팔로드로를 하니깐,, 수동적으로 따라가는 것에 불과합니다.
  • 주니 01.02 07:49
    제 말은 임팩트 전에 '상체회전은 없다'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테니스 복식 잘하는법 6가지 file
206 'Eye Tracking'의 중요성.. 공의 이동속도 = 촛점 이동속도 file
205 (**)공에 대해 수직으로 접근한다는 것.. 공이 잘 보임 2 file
204 2명이 스텝 연습과 스트록 연습을 효과적으로 할수 있는 방법 file
203 30분만에 테니스 실력을 발전시키는 방법들 file
202 kinetic chain..어깨반동력이 전진운동의 목표.. file
201 Off-balance시는 hitting zone이 小 file
200 [번역] 뉴튼으로부터의 레슨 file
199 강력한 서브의 메카니즘 , 상체 - 어깨 -  팔꿈치 - 손목 file
198 경기 중후반에 패배가 많을 경우 자신에게 물어보아야 할 4가지 질문 4 file
197 경기가 잘 안풀릴때 점검해야 할것 - 리듬속에서 경기를 하고 있는가? file
196 경기의 리듬을 익히는 연습드릴 file
195 고급 테니스로 가는 길 ...포쪽 구석으로 치는 타법. file
194 공 방향에 수직으로 상체회전? 6
193 공격 테니스의 핵심..대각선을 보낼 수 있는 준비자세 만들기 3 file
192 공을 관찰하는 연습 - 스플릿 스텝 타이밍 만들기 file
191 공을 몇 개월 안 치면, 실력이 주는 이유.. '감'은 확 떨어짐 file
190 공을 보낼 방향으로 배꼽이 향한다는 의미 file
189 공을 집중해서 봐야 하는 이유..코트에서 공의 크기는 0.55cm ~ 6.5cm에서 변화 1 file
188 공의 궤도로 타점이 보인다는 것 4 file
187 공의 높이에 따른 팔꿈치 각도.. file
186 구체적인 코너웍 연습.. 3개 연속 성공하면 다른 지점 연습 file
185 글을 쓴다는것 - 테니스와 비슷한 면이 있음 3 file
184 길고-짧은 공에 대한 연습드릴.. 1 file
183 난타나 경기시 5분동안은 구강의식을 하는 습관을.. file
182 내 테니스 실력은 온당한가?..수치로 객관적 평가 필요 12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