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극소점 가설로,, 자연스런(어깨 힘 안들어가는) 스윙 익혀보기..

Atachment
첨부 '1'




극소점이라니, 무슨 소린가 하시는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고등학교 수학의 미분에서 보면,, 기울기가  0인 지점중에 하나를 말하는데,
쉽게 얘기하면,, 라켓스윙궤도중에 ‘가장 낮은 지점’을 의미합니다.

아주 개인적인 체험을 적은 글이므로,,
“별 얘기 아니네”라고 생각하시고 그량 넘기셔도 되는 그런 글입니다.

*****************

결론을 미리 얘기하면,, [[극소점을 어디에 형성하느냐]] 에 중점을 둔 스윙을 뜻합니다.



아래의 동영상을 자세히 관찰해 보시면..
라켓헤드의 최저점이 생각보다 앞(앞뒤위치상)에 존재함을 알 수 있습니다.

포핸드의 백스윙을 하다보면,, 루프모양을 만들어야 하는데,,
최저점이 루프모양의 끝지점이라고 하면,, 루프모양이 상당히 큼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루프가 끝나고 상향스윙을 할 때부터 포워드스윙이냐,,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그렇게 생각하기에는 극소점이 너무 앞이고, 라켓헤드는 전방으로 너무 많이 이동을 할 상태입니다(제 생각입니다만).

그래서 저는 포위드스윙의 시작을 루프의 중간(전후로 보았을 때 가장 뒤에 위치한 지점)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즉,, 포워드스윙은 라켓이 가장 뒷점에서 아래로 내려갔다가, 올라가는 스윙이 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포핸드스트로크를 할 때,, 루프모양에는 별로 신경쓰지 않습니다.
그량 백스윙을 할 때, 라켓헤드를 약간 위로 뺀다는 생각을 하고, 루프중간(가장 뒷점)에서 포워드스윙이 시작해서, 라켓헤드가 내려가다가 다시 상향스윙을 한다는 식입니다.

이 생각을 하기전에는 루프모양이 약간 작게 형성을 해서,, 약간 뒤에서 포워드스윙을 시작했는데,, 이런 스윙을 하니까,, 타점까지의 상향스윙거리가 너무 멀다는 느낌을 많이 많았습니다.
그러다 보니,, 초기에 어깨에 약간의 힘이 들어가는 경우도 많았구요.(스윙할 거리가 멀다보니) 타점이 약간 뒤에서 형성된 경우가 많았습니다.. (공까지 스윙거리가 왜 이리 멀까 라고 고민한 적이 몇 번 있었습니다)

아래 동영상같이 극소점이 약간 앞에 형성되면,, 상향스윙을 할 거리는 많이 줄어듭니다.
게다가 극소점까지 가는 포워드스윙은 내려가는 스윙이므로 어깨에 힘이 들어가지 않습니다.(즉, 포워드스윙 초기에 어깨에 힘이 들어가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스윙방식에서 중점을 주는 포인트는..
공의 높이에 따라 극소점위치를 임의로 조정을 하는 것인데(극소점을 약간 앞으로 했다가 뒤로 했다가),, 공이 높게 오든 낮게 오든,, 적응하기가 수월해졌습니다.

심지어는 공까지의 풋워크가 부정확해서,, 포워드스윙을 제대로 하기가 이상한 경우가 생길 때에도,, 극소점만 임의로 조정하면,, 연결구로 넘기기는(자세가 별로 흐트려지지 않는 스트로크) 어렵지 않습니다.

어깨 높이의 공은 스윙시에 몸의 중심이 높아지기 때문에 중심이동이나 팔로우드로가 쉽지는 않는데,, 이것도 극소점 가설로 해 보면,, 약간은 수월하게 할 수 있었습니다.
(중간(뒤에서가 아닌)에 한번 꺽어준다는 것이 스윙을 편안하게 해 주는 듯 합니다)

**************

이 스윙법의 포인트는 극소점 위치이기에,,
눈으로는 공을 보면서,, 머리속으로는 다른 것보다는 [극소점(전후관계)]을 어디에 형성을 할까를 생각하면서 스윙을 하는 것이 뽀인트입니다.


동영상출처.. 정진화 테니스교실

인터넷에 올라온 동영상중에 이렇게 옆에서 찍은 것은 별로 없기에,, 도움이 많이 될 수 있는 동영상중에 하나인 듯 합니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