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니스의 특이한 점수방식


테니스 점수는 왜 15, 30, 40 등 희한한 방식인가?

0점을 러브로 부르는 것은 불어인지 라틴어인지 0의 발음이 "러브(love)"와 비슷해서 그렇게 되었다고 하는데 정확하고 자세한 얘기는 정설도 없다고 하니 넘어가기로 하고,

근데 왜 1점씩 올라가지 않고 15점씩 올라가는 것은 무엇때문일까요? 사실 이것도 정설이 없다고 합니다. 그만큼 테니스가 오래된 스포츠라는 얘기인데 다음에 테니스의 역사를 공부하게 되면 정리해 보기로 하고, 재미있는 썰이 하나 있어 소개합니다.

테니스 점수는 60이 되면 하나의 게임이 끝납니다. 왜 60이냐구요?

0, 15, 30, 그리고 40이 되는데 이것은 원래 45인데 forty-five로 발음하기에 너무 길어서 forty(40)로 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그러니 점수가 40이 된 후 그 다음 점수인 60(=45+15)이 되면 게임이 끝나지요.

1시간이 60분인 것을 시계를 떠올리면서 생각해보면, 15는 한 쿼터(1/4)씩이 되고, 60이 되면 한바퀴를 도는 것이니 제자리로 돌아오게 되지요. 원점으로 다시 먼저 돌아오면 이기는 것이라는 뜻이지요.

6게임을 이기면 한 세트를 이기게 되는데, 60이 여섯개이면 360 (=60x6) 이 되지요. 360도 즉, 하나의 완전한 원을 이루는 자가 승리한다는 뜻이 있다나요? 믿거나 말거나...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
 Comment '3'
  • 너덜 08.26 10:07
    36을 한 번더 6을 곱하면 216이 되는데, 장군님(?) 생일이 됩니다. 어느 놈 생일일까요?
  • 쌍기공 08.26 12:30
    저도 어디에서가 들은 말인데 테니스는 귀족이 하는 운동이라 일반인들이 게임규칙을 알수 없겠금 하기위해 어렵게 만든 스코어라고도 하고 또 1점씩 올라가면 너무 작게보여서 크게느끼게 할려고 만들었다고도 합니다. ..............
  • 테니스광 08.27 19:13
    과거에 전광판 점수판이 없을때, 점수를 커다란 시계판으로 대신 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15-30-45-60이 되는 거죠.

    45는 윗분 말씀에 따라 말하기가 불편해 40으로 바꾸었다는 이야기를 적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