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가 테니스 입문자라면,,,(포핸드)

한 6년전부터 이 싸이트에서 놀다가 최근에 1년 쉬고 다시 시작한 지 2달 되어갑니다

다시 시작하니 예전 처음 배울때의 열정이 조금 살아나네요^^

오늘 레슨중에 코치님의 포핸드 칭찬을 처음으로 받고 보니  조금 우쭐한 마음에, 또 그동안 어이없는 부분에서 시간과 짜증을 낭비했던 기억이 떠올라 글을 남겨봅니다

저도 그렇고, 또 제가 관찰한 대부분의 초급자와 포핸드가 안정적이지 못한 중급자의  공통점이 대부분 백스윙이 큰 이유라고 생각되는군요

제 포핸드 방황은 잘되던 스트레이트 백스윙을 루프백스윙으로 바꾸면서 부터 시작된 것 같고 결정적으로는 루프백스윙시 손목을 젖히면서 안정적이 못한 포핸드가 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가 입문자라면 포핸드는 그립은 세미웨스턴에, 유니턴은 확실히 하되, 스트레이트 백스윙, 손목은 고정으로 하고 싶군요


여기서 핵심은 스트레이트 백스윙인데 헤드가 세워진 상태로 테이크백되는 것을 말하니 개념상은 루프백스윙이 타당한 지도,,,

여러분은 어떻게 하고 싶으세요????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
 Comment '7'
  • 김창ㅅ구 09.18 17:58
    다시 보니 조금 이상한 글 같네요^^
    제 글의 핵심은 제 경험상, 초보자가 어설픈 루프백스윙보다
    스트레이트백스윙이 훨씬 더 안정적인 것 같고
    헤드가 약간이라도 세워진 채 스트레이트 백스윙을 하면
    자연스럽게 세미루프백스윙이 된다는 취지입니다
  • 영맨 09.18 21:26
    처음부터 시행착오 없이 배운 사람이 몇명이나 되겠습니까?
    저 또한 6명의 코치를 바꾸어 가면서 초보시절을 보냈습니다.
    그 때는 시간과 열정이 낭비처럼 느껴졌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값진 재산이 되었습니다.
    님의 글에 전적으로 동의 합니다.
    문제는 이론과 몸이 하나가 되기까지는 오랜시간과 훈련이 요구되는 것 같습니다.
  • Gotennis 09.19 13:23
    루프백스윙은 8자를 옆으로 뉘어놓고 무한대로 스윙하니 백할때 에너지가 앞으로 당길때 묻어서 오니 파워가 프러스 되겠지요
    스트래트 스윙은 백할때 운동 에너지가 당길때 반대방향이니 에너지에 손실을 가저오니 파워가 마이너스 되겠지요

    (홍길동) 루프백을 하는데 공이 빨리오고 있어요 그럼 중간에 백하다말고 당겨야 되겠지요
    (홍길동) 루프백을 하는데 습관이 뒤에서 영점 몇초라도 라켓을 멈춰요 그럼 8자 스윙을 에너지는 거기서 소멸되고 말지요
    (홍길동) 8자 스윙을 해서 뒤로갔다고 앞으로 잘 오고 있어요 그런데 공이 아직 안와요 그럼 속도를 줄여야 겠지요

    문제는 프로처럼 인펙트 타임을 항상 적확히 맞출수 있으면 루프백스윙이 효과적이고요
    문제는 "홍길동"처럼 스윙이 연속성을 유지하지 못한다면 루프스윙의 효과는 없고 스트록크 안전성만 떨어지니 비효과적이겠지요

    "홍길동" 처럼 아마추어적이라면 스트래트 백스윙이 안전성에서 월등하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의 신체적 특성이 다르니 비교해서 자가것을 찾아야 되겠지요 제 경험으로는 그렇습니다

  • 펠리데 09.19 18:27
    댓글 달려고보니 더 잘쓰셨습니다. Gotennis님께서요....^^
  • 강리 09.19 23:16
    제가 아는 분이 맞느가요? 맞다면
    거기서 다시 레슨 하십니까? 궁금하네요..
  • 너덜 09.20 00:49
    저도 루프백과 스트래트 백스윙 사이에서 혼란이 좀 있었습니다. 누구는 이렇게 해야한다, 저렇게 해야 한다며 말이 있어서 너무도 궁금했는데, Gotennis님께서 정말로 시원스럽게 설명해 주셨네요. 저도 뒤늦게 테니스를 배워서 선수처럼 타점을 정확히 맞추는데는 역시 무리가 있습니다, 아니 이 나이에 거의 불가능 하겠지요. 제게는 스트래트 백스윙이 정답이네요. 이제 고민에서 완전 해결입니다. 감사합니다.
  • michael 09.28 20:38
    모든 샷과 리듬은 고정관념을 버려야 한다고 생각되네요
    샷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없듯이 테이크백 또한 볼의 높낮이 또는 흐름에 따라 루프로 해야 할때가 있고 스트레이트로 해야할 때가 있거든요..
    다양한 테크닉을 연마하시기 바랍니다. 그래야 어떠한 상황에서도 빠른 준비와 상대샷에 대응할 수 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