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낮은 공 치는 요령


초보 때 "어떻게 하면 낮은 공을 칠 수 있나요?"하고 질문을 하면 항상 들었던 말이 '무릎을 굽히고 몸을 좀 더 낮추세요.'라는 말 밖에 기억이 안나네요. 그래서 시키는대로 그냥 몸을 낮춰보면 잘 안낮춰지고 어딘가 어색하더라구요. 어색하다는건 결국 발란스가 맞지 않다는 것이겠죠. 결국 수 많은 시행착오 끝에 요령을 터득했는데 구체적으로 무엇을 하는지 오늘은 좀 얘기를 해보고 싶네요.

일단 기본적으로 멀뚱멀뚱 서 있는 상태에서 무릎만 굽히면 뭔가 어색하고 불편한 느낌만 가득하죠. 무릎만 굽히면 되는게 아니고 일단 양 발을 어깨 넓이보다 조금 더 벌린 후에 서 있는 상태에서 먼저 엉덩이를 뒤로 빼야 합니다. 그 다음에 무릎을 굽히는거죠. 그립은 제 경우에는 뉴트럴하게 컨티넨털로 잡습니다. 이 자세가 일단 가장 테니스에서 기본이 되는 자세이고 이 자세에서는 발 앞쪽에 무게가 실리기 때문에 스플릿 스텝 후에도 좀 더 재빠르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스플릿 스텝도 상대방이 공에 임팩트 하는 순간에 착지를 한다고 해도 그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하는지 잘 모르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가장 기본적인 요령은 오른손잡이의 경우 포핸드쪽으로 치려면 착지와 동시에 왼쪽 다리를 축으로 유닛턴을 하거나 왼쪽 다리로 오른쪽으로 움직일 수 있는 추진력을 얻어내야 합니다. 백핸드의 경우는 오른발이 축이 되서 유닛턴을 하거나 오른쪽 다리를 통해 왼쪽으로 움직일 수 있는 추진력을 얻습니다. 스플릿 스텝 후에 앞으로 움직일 때는 저의 경우는 오른발을 앞으로 내딛습니다. 앞으로 움직이는건 오른발 잡이냐 왼발잡이냐에 따라 틀리겠지만 보통 좀 더 힘이 있는 다리를 먼저 내딛어서 추진력을 얻는 것이죠.

스플릿 스텝을 이야기 하다가 주제에서 좀 벗어났네요. ㅋ

그럼 다시 낮은 공 치는 요령으로 돌아와서...스플릿 스텝 후에 포핸드 정면으로 공이 온다면 왼발을 축으로 유닛턴을 하겠죠. 근데 문제는 구질이 슬라이스...낮게 깔리는 공이죠. 이럴 때는 엉덩이를 뒤로 빼고 무릎을 굽히는 기본 자세보다 더 몸의 중심이 낮아져야 하겠죠? 그러기 위해서는 스탠스를 '넓게' 잡아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슬라이스 같은 경우는 속도는 보통 드라이브보다는 느리기 때문에 스퀘어 스탠스를 취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이 되기 때문에 스퀘어 스탠스를 추천하고 싶네요. 차이점이라면 스퀘어 스탠스를 앞뒤로 넓게 잡아야지 뒤쪽 다리의 무릎이 땅을 향해 굽혀지며 비로소 충분히 몸을 낮출 수 있는 것이죠. 시간 여유가 없을 정도로 공이 낮고 강하게 온다면 오픈 스탠스도 괜찮습니다. 단지 오픈 스탠스의 경우도 평소보다 충분히 넓게 잡아야 합니다.

스탠스를 넓게 잡고 몸의 중심이 충분히 낮아졌으면 공을 치기 위해 스윙을 해야 하겠죠? 공이 기본적으로 낮기 때문에 넷을 넘기기 위해서는 탑스핀 드라이브를 치는 것이 정석 입니다. 저는 여태까지 탑스핀 드라이브란 단지 스핀만 많이 주면 되는 것인줄 알았는데 탑스핀 드라이브는 스윙 괘도에서부터 확실히 틀립니다. 느낌은 골프 스윙에 거의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라켓 헤드가 손의 높이보다 확실히 밑으로 내려가고 팔로우스루의 피니쉬도  어깨 높이 위에서 이루어집니다.

정리를 좀 해보겠습니다. ^-^;

1. 엉덩이를 뒤로 뺀다.
2. 무릎을 굽힌다.
3. 스플릿 스텝
4. 풋워크를 통해 최적의 위치에서 유닛턴을 완료한다. (적어도 공이 튀기 전에 유닛턴은 완료)
5. 스탠스를 넓게 잡는다. (가능하다면 스퀘어 스탠스 권장)
6. 몸의 중심을 낮춘다.
7. 탑스핀 드라이브를 친다.


다 적고 나니 무슨 레시피 적은것 같네요. ㅎㅎㅎ
아무튼 도움을 주는 글이면 좋겠습니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
 Comment '1'
  • 김진협 08.24 00:59
    참...유닛턴 완료와 스탠스 넓게 잡는건 동시에 이루어 집니다. 유닛턴은 풋워크를 하는 동안 아니면 처음 풋워크를 시작할 때 시작하구요. 기본적인 것이기는 하지만 전적으로 경험과 상대방에 따라 언제 해야 하는 것인지 알 수 있는 것이라서 적어놓습니다.

    저 같은 경우 에러가 많이 나면 바로 유닛턴의 시작과 완료, 그리고 풋워크와의 조화 이런것에서 삐걱거리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