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좋은 볼을 치기 위해 텐션을 조절하라.

좋은 볼을 치기 위해 텐션을 조절하라.

라켓을 새롭게 바꾸고 난 후 볼이 제대로 잘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강한 파워를 내고 싶은데 볼에 강한 힘이 실리지 않는다. 컨트롤 볼을 치고 싶은데 마음대로 잘 안 된다.


스핀볼을 자유롭게 치고 싶은데 스핀이 잘 먹히지 않는다.다양한 고민들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저도 이번에 라켓을 교체했다. 볼은 잘 맞는데 뭔가가 부족한 것 같고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았다.무척 많은 고민을 했다. 이런 고민은 코치나 고수에게 물어 해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 스스로가 문제의 원인을 잘 알 수 있으므로 해결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취해 보았다.

중고 라켓에 아주 고급 스트링이 타이트하게 매여져 있었다. 그런데 정확하게 임팩트를 하지 않을 때 진동이 팔로 전달되었다. 부드러우면서 강한 볼을 치고 싶은데 조금 딱딱한 느낌이 들었고 조금만 볼을 치고 나면 팔에 통증이 느껴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를 바로 파악을 했다. 스트링과 텐션이 문제라는 것을 알았다.

즉시 스트링을 교체하고 텐션을 아주 약하게 했다. 보통 텐션을 높이면 파워를 더 많이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지 않다. 

텐션이 낮을 경우에 더욱 파워가 강하게 난다는 것을 실제 텐션을 조절하여 시험을 해 보았다. 텐션이 약할 경우, 강력한 파워가 나온다는 것을 알았다.



실제, 저희 클럽에 전국대회에서 수 십 차례나 우승한 선수들의 텐션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약하게 매고 강력한 파워를 내고 있는 것을 보았다. 스트링과 텐션이 플레이에 엄청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만으로 당신의 실력이 업그레이드 된 것이나 마찬가지다.


업그레이드 방법을 라켓에서 스트링과 텐션 쪽으로 바꾸었다면, 이 때 중요한 것은 한 번에 여러 가지를 바꾸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 번에 너무 여러 가지를 바꾸면 스트링과 텐션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어렵다.

애거시나 카프리아티와 같은 프로 선수들은 자신에 맞는 스트링과 텐션을 찾기 위해 한 경기에 무엇인가 하나를 바꾸어 그 변화를 파악한다.  스트링이면 스트링, 텐션이면 텐션처럼 말이다.

그리고 그 변화된 부분이 경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해 궁극적으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하고 이상적인 무기를 만들어 낸다. 이것을 마음에 새기고 당신도 당신의 라켓 성능 업그레이드를 위해 변화를 가져 보자.

텐션이 낮아지면 지금보다 더욱 파워풀한 샷을 구사할 수 있다.  2~5파운드만 낮춰도 볼의 파워가 눈에 띄게 좋아질 것이다.  그러나 텐션을 너무 많이 낮춘다면 스트링 베드가 흐물흐물해져 볼을 컨트롤 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니 주의해야 한다.


파워를 높이기 위한 또 다른 선택으로는 천연 스트링이 있다.  천연 거트는 임팩트 시 공의 더 많은 부분을 감싸게 되고 이것은 볼을 더 강하게 상대편으로 되돌릴 수 있게 만든다.  그러나 천연 거트는 가격이 만만치 않아 일반 동호인들이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흔히 볼 컨트롤이 안 될 때 '공이 날린다.'고 말한다.  이럴 때는 스트링 텐션을 2~5파운드 정도 올려 컨트롤을
보강하도록 한다.  텐션을 올리면 볼의 파워가 줄어들게 되지만 그 만큼 볼 컨트롤이 용이해 실수를 줄이는 데는 효과가 있다.

프로 선수들과 같이 힘만 충분히 뒷받침 된다면 텐션을 올려 컨트롤을 꾀하는 것도 실력 업그레이드의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폴리 계열의 스트링을 사용하는 것도 컨트롤을 보강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것은 많은 프로 선수들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폴리 계열의 스트링이 일반 스트링에 비해 탄력이 떨어진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볼 컨트롤은 용이하지만, 그 만큼 경기하는데 더 많은 힘을 투자해야 한다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톱스핀을 구사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볼 컨트롤을 '스핀으로 치는 능력'이라고 정의한다.  이런 사람들은 스핀의 양을 통해 볼의 낙하지점을 결정한다. 만약 당신도 이런 부류에 속한다면 스트링의 텐션을 낮추고 좀 더
두꺼운 스트링을 쓰는 것이 좋다. 


텐션을 약하게 하면 볼이 스트링 베드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져 스핀이 용이하고, 두꺼운 스트링은 볼을 쓸어 올리는데 유리해 더 많은 스핀을 줄 수 있게 한다.

요약을 하면, 젊은 선수나 프로 선수 등 힘이 강한 선수들은 스트링과 텐션을 높여 컨트롤을 위주로 하고 파워와 스핀 등을 보강하여 실력을 업그레이드를 시키는 것이 좋다.

나이가 조금 들거나 힘을 강하게 구사할 수 없는 선수들은 스트링과 텐션을 약하게 하여 파워를 강하게 하고 스핀을 구사하여 더욱 실력을 업그레이드를 시키는 것이 좋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 파도리 10.12 13:09
    유익한 글 잘 읽고 있습니다. 조언을 구하고자 댓글에 올려봅니다. 46살에 시작하여 4년이 조금넘었습니다. 운동신경도 전혀없고 숨쉬기운동만 하던 제가 요즘은 스트록치는 재미가 있습니다. 그런데 제일큰 문제가 앞뒤로의 움직임입니다. 전위시 상대가 조금이라도 높은 볼을 리턴한다던지 로빙뛰우면 파트너에게 미루고 옆으로 이동하기 바쁩니다. 중앙으로 오는볼 빠트리는 경우도 종종 있고요. 아직도 부족한 것은 많은데 앞뒤로의 움직임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터득할 수 있을까요.
  • 정동화 10.12 14:16
    파도리님!
    감사합니다.

    큰 걱정을 안 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테니스는 다른 운동에 비해 운동신경이 약간
    늦어도 재미있게 할 수 있는 운동입니다.

    운동신경이 빠르면 당연히 유리하겠지만
    테니스는 구력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테니스를 잘 하기 위해서는 기초적인
    체력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저는 태극권이라는 운동을 매일 아침
    2시간 정도 하고 있습니다.
  • 정동화 10.12 14:20
    기본적으로 달릴 수 있는 다리가 튼튼하면
    자신있게 뛸 수 있습니다.

    줄넘기도 좋고 왕복달리기도 좋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체력이고 다음은 실제
    자신이 적극적인 자세를 가지는 것입니다.

    자신이 받을 수 없다고 포기하지 마시고 적극적으로
    한번 받아 보세요.
    안 될 것 같은데 한번 받기 시작하면 다 받아 집니다.

    그리고 상대가 볼을 칠 때 빠르게 예측하는 능력입니다.
    감으로도 판단하지만 아주 유심히 상대의 폼을 파악하면
    볼을 어떻게 치는지에 대하여 읽을 수 있으므로
    미리 한 발을 뛰면 거의 가능합니다.

    한번 시도를 해 보시길 바랍니다.
  • 삑사리 10.13 09:30
    파도리님 비록 실력은 없지만 제가알고있는것은

    로브시 빨리 어깨를 돌리고

    라켓을 한손으로 들고 헤드는 내리는게

    라켓을 높이 들고있는것 보다 빨리 뛸수있습니다
  • 쌍기공 10.13 09:44
    댓을은 없지만 매일매일 교수님의글을 잘보고 배우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저는 파마스포츠에서나오는 황홀스트링을 수동70파운드로 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타구 감각도 좋고 원하는 대로 되는데 문제는 일주일 정도 지나면 텐션이 약해지는지 공이 날리고 마음대로 되지가 않습니다. 텐션을 약하게 하면 줄 솔림현상이 많고 저의 스윙 스타일은 나달과 비슷하다고 보면 됩니다.
  • 정동화 10.13 12:40
    자신에게 맞는 스트링과 텐션이 있는 것 같습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것을
    찾아내는 것도 고수의 반열에 들어가는 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