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re] 오정민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리커버리 스텝에 관해서)


아~~오정민님께서 아주 예전에 글을 올려주셨는데 그 동안 제가 못봤네요.^^
더구나 제 이름도 함께 언급되어 있었는데 으이그~~죄송합니다.

늦었지만 답변을 달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리커버리 스텝에 차이가 나는 가장 큰 이유는
볼을 친 이후의 밸런스 중심의 위치 차이입니다.

제 나름대로의 이론을 펼치기 위해서 사전에 몇 가지 개념을 나열해 보겠습니다.
전문적인 운동역학을 공부한 것이 아니므로 일상적인 개념에 비유를 할 터이니
너그럽게 봐 주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밸런스]라는 개념을 생각하실 때 하체로 국한 시켜서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으실 것입니다.
실질적으로 밸런스를 안정화 시키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하체의 안정이긴 합니다.

하지만 몸의 밸런스라는 것은 사람이 움직이는 동안 미묘한 조정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즉 하체가 아무리 안정되었다 하더라도 몸 전체의 밸런스를 잘 잡기 위해서는
머리와 상체의 위치와 미세한 조정도 함께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테니스와 같이 기구를 휘두르는 스포츠에 공통적으로 통용되는 큰 조언 중의 하나가
"머리를 고정시키고 목표물(공)을 끝까지 주시하라."라는 것일 겁니다.

이 조언은 다른 이유도 있엤지만 스윙이 끝나는 순간까지 조금 더 밸런스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머리를 먼저 안정시켜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가장 작은 움직임으로 몸의 밸런스 포인트를 가장 많이 이동시키는 것이 머리 입니다.

다음으로 밸런스에 있어서 또 고려해 주어야 할 요소는 상체입니다.
더 세분화 시키면 몸통과 팔로 나누어서 얘기를 할 수 있겠는 데 기실 몸통의 경우 머리와
하체의 움직임과 일련의 움직임을 보이고 아주 큰 근육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아주 큰 동작을 일부러 수행하지 않는 이상 적정한 상태만 유지해도 밸런스를 깨지 않습니다.

하지만 팔의 경우 하체, 머리와 다른 방향으로 독자적인 움직임을 수행할 수가 있고
그 위치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서 몸의 밸런스 중심을 조절하는 역활을 수행합니다.

음~~극단적인 예를 들자면
외줄타기를 할 때 그냥 맨손으로 하기 보다는 커다란 봉을 들고 하는 장면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왜 그렇게 하는지 정확한 과학적 이유는 모르겠지만 제 경험과 제 생각을 바탕으로 유추해 보자면

팔의 미세한 움직임에 의해서 균형이 무너지는 것을 봉이라고 하는 조금 더 큰 물체를 이용함으로써
밸런스 포인트의 미세한 조정을 좀 더 쉽게(팔을 밸런스를 잃으면 크게 휘둘리기 쉬우므로)하려는
의도가 있지 않나 하는 것입니다.

제가 테니스와는 거리가 조금 있어보이는 예를 들어가면서 까지 밸런스에 대해서
언급한 가장 큰 이유는 밸런스라는 요소를 하체의 요소로만 보지 않고 밸런스에서
팔의 위치가 차지하는 역활과 의미를 조금 헤아려 주시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였습니다.

이제 원래의 질문으로 돌아가서 Recovery step에 관해서 말씀 드려 보겠습니다.
리커버리 스텝을 밟아야 하는 상황이라는 것은 상대의 샷이 좌.우로 각을 벌리면서 깊게 빠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최대한의 스피드로 공을 쫒아가서 처리했음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이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빨리 코트 중앙쪽으로 조금이라도 빨리 돌아와서 커버
해야하는 것인데 커버에 앞서 수행되어야 할, 그리고 모든 Footwork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일단 타구 후에 [밸런스를 회복]하는 것입니다.

밸런스를 회복한다는 것은 한쪽으로 쏠린 밸런스를 일단 중립적인 상태로 회복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타구후의 밸런스의 상태가 어떠한 것인가를 살펴볼 때 두 가지 상황을 설정하겠습니다.

1. 포핸드와 투핸드 백핸드를 쳤을 경우.

2. 원핸드 백핸드를 쳤을 경우.

선수가 백핸드를 원핸드로 치건 투핸드로 치건 상관 없이 선수들의 모든 그라운드 스트로크는
위의 카테고리 범주 안에 다 넣을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투핸드 선수라도 원핸드 백핸드 슬라이스를 구사한 경우는 2번에 해당하겠지요.

또 포핸드와 투핸드 백핸드의 경우 조금 개념을 단순화 시키면 양쪽에서 포핸드를 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같은 카테고리 안에 넣을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1번과 2번에 대해서 언급드리기 전에 네 가지를 미리 밝혀 드립니다.

첫번째는 제가 글을 풀어가는 데 있어서 초점을 두는 것은 몸의 밸런스와 관련된 신체중에서도
몸통과 팔의 움직임과 위치라는 것입니다.

두번째는 운동역학적인 원리가 아니라(제가 이런 흐름으로 설명할 지식이 없으므로^^)
경험적으로 느껴지는 또 눈에 보이는 동작의 결과를 중심으로 글을 풀어나갈 것이라는 겁니다.

세번째는 여기서 설명의 초점은  [리커버리 스텝]을 밟아야 하는 상황에 있기 때문에
셔플 스텝을 구사해도 되는 상황을 산정하시고 글을 보시기 보다는 리커버리 스텝을 밟아야
할 정도로 한쪽 구석으로 극렬하게 달려가서 볼을 처리하는 상황을 산정하고 글을 봐 주시기 바랍니다.


네번째는 설명을 좀 더 단순화 시키기 위해서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글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왼손잡이분들께서는 조금 불편하시더라도 반대로 생각하시고 읽어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러면 이제 [1. 포핸드와 투핸드 백핸드를 쳤을 경우]에 대해서 얘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포핸드쪽에서 리커버리 샷을 치는 상황이라는 것은 듀스코트 한쪽으로 많이 치우친 샷을
따라가서 쳤다는 것일 것입니다. 포핸드에서는 요즈음 옆으로 많이 빠진 샷을 처리할 때 기본적으로
오픈 스탠스로 많이 처리할 것입니다. 조금 더 극단적으로 옆으로 빠졌다면 런닝 포핸드를 구사하겠죠.

어떤 형태로 볼을 처리하건 볼을 치고 난 다음에 밸런스를 잡은 과정에서
몸통은 네트 정면을 바라보게 되거나 또는 그 보다 조금 더 왼쪽을 향하게 됩니다.
(투핸드 백핸드의 경우라면 에드 코트 쪽에서 볼을 처리한 후에 몸통이 네트 정면을 바라보거나
아니면 오른쪽으로 조금 더 향하게 되겠지요.)

포핸드에서 이런 결과를 가져오게 하는 요소 중에 하나는 포핸드 스윙의 원리 때문입니다.
포핸드는 몸통 뒤쪽에 있는 팔이 앞쪽으로 밀고 나오면서 스윙이 이루어 집니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몸의 중심을 뒤쪽에서 앞쪽으로 확~밀어주는 역활을 하죠.

포핸드의 경우 또 볼을 친 다음 양손의 위치가 모두 몸의 왼쪽편에 위치해 있습니다.
스윙에 따라 약간의 미세한 차이가 있긴 하지만 적어도 양손은 같은 방향에 놓이게 됩니다.
다르게 얘기하자면 양손이 따로 놀지 않고 적어도 일정한 지점에서 만나게 되는 흐름을 가집니다.

그 상태에서 중심을 잡고 옆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오른쪽 발이 왼쪽 발 위쪽으로 엇갈려
들어오는 스텝을 밟은 것이 효율적인 것을 떠나서 유일하게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라켓이 있으시면 라켓을 가지고 라켓이 당장 없으시면 그냥 맨손으로 포핸드 피니쉬 동작에서
멈추어 보십시요.(이 때 스탠스는 오픈이고 몸통은 정면으로 향하고 있는 상태의 피니쉬 동작입니다)
아마 양손이 몸의 왼쪽에 와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다리를 엇갈리는 동작을 해 보십시요.

효율성을 떠나서 오른발이 왼발 위쪽으로 오는 스텝이 아니면 밸런스가 무너질 것입니다.
즉 포핸드의 경우는 오른발(바깥쪽 발)이 왼발(안쪽 발)의 앞쪽을 가로지르는 스텝이 아니면 밸런스조차
잡히지 않으므로 리커버리 스텝은 선수들 간에 차이가 없습니다.

이는 투핸드 백핸드의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투핸드 백핸드의 경우 피니쉬 동작에서 양손이 오른쪽 편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왼발(바깥쪽 발)이 오른발(안쪽 발) 앞쪽을 가로지르는 스텝이 나오게 됩니다.

이 부분은 직접 라켓을 들고 동작을 한번 수행해 보시면 느끼시게 될 것 같습니다.

즉 포핸드와 투핸드 백핸드의 경우 몸이 밸런스 유지를 하면서 Recovery Step을 하고자 하는 경우
바깥족 발이 안쪽 발의 앞쪽으로 엇갈려서 진행되는 것은 효율적이나 아니다를 떠나서
[필수적으로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사항인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자~~그렇다면 이제
[2. 원핸드 백핸드를 쳤을 경우]에는 왜 다른 형태의 Recovery Step이 나오는 것일까요?

사실 오정민님의 질문의 핵심은 바로 이것이겠죠?^^

그렇다면 원핸드 백핸드가 어떻게 포핸드(투핸드 백핸드)와
밸런스 적인 면에서 차이가 나는지 보겠습니다.

원핸드 백핸드는 슬라이스건 탑스핀이건 치고 난 다음에 양손이 밸런스를 위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펴주게 되어 있습니다. 원핸드 백핸드가 제대로 치면 보기 이쁜 이유 중에 하나가
바로 백핸드를 쳤을 때 양손이 양쪽으로 날개처럼 펴지면서 밸런스를 잡는 자세 때문이지요.

포핸드(투핸드 백핸드)의 피니쉬 동작와 원핸드 백핸드의 피니쉬 동작을 그리면서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먼저 몸통의 위치를 살펴보면

포핸드(투핸드 백핸드)의 경우 정면을 바라보거나 그 보다 더 코트 안쪽으로 돌아가는 반면
원핸드 백핸드의 경우 몸통이 정면을 바라보기 보다는 비스듬이 옆으로 바라보고 있는
자세일 것입니다. 흔히 얘기하는 오픈보다는  클로즈드 된 즉  닫힌 자세가 되는 거죠.

다음으로 양손의 위치를 살펴보면

포핸드(투핸드 백핸드)의 경우에는 피니쉬 지점에서 양손이 한 지점에 있는 반면
원핸드 백핸드에서는 양손이 완전히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즉 포핸드(투핸드 백핸드)에서는 피니쉬 동작 자체에서 손의 위치와 몸통의 위치와 상태가
몸의 밸런스를 코트 안쪽으로 끌어가는 동시에 바깥쪽 발의 위치까지도 결정해 버립니다.

반면 원핸드 백핸드에서는 피니쉬 동작 자체에서는 몸의 밸런스 자체가 기울어져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다시 중립적인 위치에서 몸의 균형을 잡는 동작이 필요합니다.
즉 라켓을 다시 몸 중앙으로 모으면서 일단 밸런스를 잡는 동작이 필요한 것이지요.

포핸드(투핸드 백핸드)와 원핸드 백핸드의 미세한 차이를 다시 말씀 드리자면
포핸드(투핸드 백핸드)의 경우 피니쉬 동작에서 연이어 리커버리 스텝이 이루어 지는 반면
원핸드 백핸드의 경우 피니쉬 동작에서 리커버리 스텝이 이루어지지 전에 밸런스를 잡는
아주 작은 동작이 하나 더 필요하다라는 것입니다.

이제 원핸드 백핸드에서 피니쉬 동작이 끝나고 밸런스 잡는 동작이 끝나고
리커버리 스텝이 들어가야 하는 상황에 도달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왜 페더러는 바깥쪽 발인 왼발이 안쪽 발인 오른발의 [위쪽이 아니라]
[뒤쪽으로 엇갈려]들어가는 스텝을 밟는 것일까요?

사실 원핸드 백핸드를 친 다음에 밸런스를 잡고 리커버리 스텝을 하고자 할 때
투핸드 백핸드에서처럼 왼발이 오른발 앞쪽으로 가로 질러도 밸런스가 확 무너지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효율성]이 떨어집니다. 리커버리 스텝의 목적은 짧은 시간안에 코트 중앙쪽으로
되도록 [긴 거리]를 이동하고자 하는 것인데 원핸드 백핸드를 치고 나서 밸런스를 회복하고
리커버리 스텝을 밟고자 하실 때 바깥쪽 발인 왼발이 안쪽 발인 오른발 앞쪽으로 오는 것 보다는

페더러 처럼 바깥쪽 발인 왼발이 안쪽 발인 오른발 뒤쪽으로 오는 것이 훨씬 긴 거리를
이동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즉 원핸드 백핸드에서 리커버리 스텝에서 바깥쪽 발을 안쪽 발 뒤쪽으로 집어 넣는 것은
[효율성]에 따른 선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부연해서 말씀 드리면 원핸드 백핸드에서 리커버리 스텝을
포핸드(투핸드 백핸드)에서 처럼 밟으면 셔플 스텝으로 변하기 쉽습니다.^^ 이 것은 한번 코트에
나가셔서 시험해 보시기 바랍니다.^^

주절주절 풀어간 얘기를 다시 정리해 보겠습니다.

포핸드(투핸드 백핸드)의 경우 바깥쪽 발이 안쪽 발의 앞쪽으로 집어 넣는 형태의 리커버리 스텝이
아니면 밸런스 자체를 확보하기 힘들기 때문에 그러한 형태의 리커버리 스텝을 하게 되는 것이고

원핸드 백핸드의 경우는 밸런스적인 측면에서 보면 바깥쪽 발이 안쪽 발의 앞으로 오건 뒤로 오건
상관이 없지만 바깥쪽 발을 안쪽 발의 뒤쪽으로 집어 넣는 형태의 리커버리 스텝이 훨씬 긴 거리의
커버가 가능하게 하고 리커버리 스텝의 구사 목적에도 더욱 더 부합하므로 그러한 선택을 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음~~~~충분한 설명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림이 있으면 좋은데 제가 그러한 그림을 지금 뒤져서 편집하고 올릴 여력과 실력이 안 되기에
글로써만 설명하려도 보니 참 글이 구질구질 진 것 같습니다.^^

음~~혹시 읽어보시고 궁금하신 것이나 지적하실 사항 있으면 꼬리글 달아 주세요.
단~~스텝의 종류에 대한 질문에는 답 하지 않겠습니다.^^ 그 부분이 궁금하시다면
스스로 자료를 찾아보실 것을 권고 드립니다. 하하하~^&^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
 Comment '1'
  • 오정민 01.09 11:21
    정보맨님,

    저는 이렇게 까지 깊게 생각해서 답변해 주시리라 생각지 못했답니다. 감사 드립니다.^^
    다만 페더러가 다른 선수들과 달리 리커버리 스텝을 하길래 아무래도 세계넘버원이 하는 방식인데 이유가 있으려니 그저 그렇게 생각했을 따름이는데...
    역시 사람은 좋은 가르침을 줄 수 있는 분들을 만나야 자기 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밖에 없겠다는 생각을 떨쳐버릴 수가 없네요. 아무리 단순해 보이는 동작에도 분명한 의도가 있군요. 테니스를 하면서 테니스를 통해 다른 외적인 것들에도 적용할 수 있는 많은 것을 배우게 되는 것 같습니다.
    한 수 또 배워갑니다.
    앞으로도 많은 좋은 답변 부탁드릴께요.
    새 해에도 무엇보다 건강하시구요,즐겁고 신바람 나는 생활 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테니스 관련 정보,랭킹,엔트리, 생방송 사이트 링크 모음 file
13367 [re] 역시 초보라 그런지 백핸드가 참 힘들군요 ^^;; 오늘도 질문좀... 5
13366 [re] 열받음... 1
13365 [re] 열화와 같은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6
13364 [re] 영미님께...-볼륨 팍팍 올리시고- 5
13363 [re] 오늘 스트링을 새로 맸는데요.. 좀 이상해서 여쭙니다.
13362 [re] 오늘 처음 처 봤는데,,
13361 [re] 오늘 첨으로 새벽 레슨받은 학생입니다^^//
13360 [re] 오늘(목) 덕수모임~~~ 1
13359 [re] 오늘기입했어요^^* 1
13358 [re] 오래 비비는 이유// 토스위치가 머리위치이므로,, 오른쪽토스보다,, 많이 비비고,, 내전 늦게 해야..
13357 [re] 오래 비비는 이유// 토스위치가 머리위치이므로,, 오른쪽토스보다,, 많이 비비고,, 내전 늦게 해야..
13356 [re] 오랜만입니다. 마이클님 ^^
13355 [re] 오랫만에 글 남기네요...^^
» [re] 오정민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리커버리 스텝에 관해서) 1
13353 [re] 오픈스탠스로 잔발 Shadow 동영상 1
13352 [re] 와이퍼스윙에 대한 문의 1
13351 [re] 왕의 남자 출석점검 7
13350 [re] 왕자님 감사드립니다. 2
13349 [re] 왜 스타tv로 테니스게임을 봐야하는지... 1
13348 [re] 외환은행 연수원 코트 오시는 길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 781 Next
/ 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