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니스 스코어 유래..왜 러브라고 부르나,.듀스란?

Atachment
첨부 '1'

제로가 러브 (love)란?

 

러브의 의미는 득점하지 못했다는 것으로서 그 어원에 대해서는 공상적인 기상(奇想)에 풍부한 신비적인 표현이다.


프랑스어의 "Loeuf"로 달걀의 의미에서 전래된 것 같이 생각된다.


크리켓으로서 득점이 없는 경우는 ducks egg(덕스 에그)라고 부르고 있었다...현재는 단지 ducks 라고부르고 있는데 0 (제로)과 동의어로 취급하고 있다.


그러나 Love 라는 말은 차라리 (돈을 위해서도 사랑을 위해서도 아니다) (연애의 고생이 손실 - 고생해도 보답을 받지 못한다) 또는 (호의로 하는 보상 없는일)이라고 하는 투로 Love를 제로(득점 없음)와 동의어로서 해석하는 편이 가장 테니스 분위기에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듀스의 어원 그러면 듀스(Deuce)의 어원은 무엇일까?


이것은 프랑스어의 adeux de jeu로서 " 2개의 "라든가 "두번째"라고 하는 단순한 말에서 전래된 것이며 어느 한쪽 플레이어가 게임에서 연속으로 2개 포인트를 얻음으로써 승자가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콜 방법의 유래 테니스 득점법의 기원은 중세기에 발생하여 15씩 가산하는 - 15 30 45 그리고 60으로서 게임이 된다는 득점법 이었는데 현재는 45를 40으로 생략하고 있다.


1579년에 프랑스의 점성학자인 진 가세린이란 학자가 테니스에 관한 하나의 서적을 저술했는데 그 속에 테니스 게임의 카운트에 대한 2개의 의문점을 들고 있다.

 

그 지적에 의하면 테니스의 15 30 45라는 것은 천문학에서 산출되었다고 하는 것 즉 하나의 서클은 15도가 4회에서 성립되어있다.

 

더구나 그 서클은 6이라는 숫자가 기조로 1시간은 60분 1분은 60초로 되어 있다.


테니스에서도 15도를 4회 취하면 1게임이 끝나며 4게임을 취하면 1세트가 되는 카운트가 당시의 프랑스에서는 규칙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 후에는 1913년에도 역시 마찬가지로 시계에서 산출한 설이 나와 있는데 진 가세린의 천문학에서 산출한 설과 같은 사고 방식이다.

나) 게임 세트 매치의 구성 테니스의 시합은 각 포인트가 모여서 게임이 되며 1게임은 최저 4포인트를 득점해야 한다.


게임 다음은 세트로 1세트는 최저 6게임이다. 5대 5가 된 후에는 상대방을 2게임 리드하지 않으면 그 세트는 종료되지 않는다.


이 경우의 스코어는 7-5 8-6 9-7 등등으로 반드시 2게임 차가 된다.


1개 시합의 세트 수의 한도는 5세트며 여자인 경우는 3세트이다.


3세트 매치에서는 2세트를 선취한 쪽이 승리이다. 이상에 대한 것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1게임 (4포인트를 선취 또는 듀스에서 2포인트 선취)


1세트 (6개임 선취 또는 5게임 을 후 2게임 선취 또는 타이브레이크)


1매치 (3세트 시합에서는 2세트 선취 5세트 시합에서는 3세트 선취) 단 세트 수의 연장은 없다.


남자는 5 또는 3세트의 어느 것이나 가능하지만 여자는 3세트까지이며 혼합시합도 3세트이다.

다) 타이브레이크 시스템

타이브레이크(Tie break) 시스템이란 경기시간 단축을 위해 적용하는 방법으로서 1970년부터 시합에 채용되었다.


이 시스템을 채택함으로써 이전까지 몇 시간이나 시합을 계속해야 할 경우가 많았는데 적당한 때에 합리적으로 시합을 중단 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대회등의 경우에 하루에 많은 시합을 할 수 있는등 커다란 이점이 있다.

타이브레이크 방식의 포인트 각 세트 모두 스코어가 6게임 (또는 8게임) 올이 되었을 때에 채용되며 다음 게임에서 2포인트 이상의 차이를 붙여서 7포인트를 선취한 플레이어가 그 게임 및 세트의 승자가 된다.


이 경우의 스코어는 7-5 (또는 9-7)으로 기록된다.


포인트의 셈법은 숫자상의 득점 0 (제로) 1 (원) 2 (투) 3 (스리)…. 가 사용되며 0-1 (제로-원) 1-2 (원-투) 7-5 (세븐-화이브) 등으로 콜한다.


6포인트 올이 됐을 경우는 한 쪽 플레이어가 2포인트 차이를 낼 때까지 계속한다.

타이브레이크의 진행법 각 세트 (대부분의 대회시 final set 제외) 공히 스코어가 6게임 (또는 8게임) 올인 때에 적용한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TAG •

  1. No Image notice

    테니스 대진표[한울,KDK V2010-4game 경기 방식] 최신버전 ,대진표.기록지 다운로드

    안녕하십니까? 같은 선수 중복을 최소화한 [KDK V2010-4game 경기 방식]을 공개(파일첨부) 합니다. 동호인 클럽 경기는 단식 경기보다는 복식 경기가 거의 대다수이며 또한 복식 경기...
    read more
  2. No Image

    테니스 프로텍티드 랭킹..protected ranking(보호랭킹)

    선수가 신체 부상으로 최소 6개월 동안 테니스 경기에 출전하지 않는 경우 선수 보호를 서면으로 신청할 수 있다. 서면 청원서는 그의 마지막 토너먼트 6개월 이내에 접수되어야 한다....
    Read More
  3. 테니스 상식(테니스는 신사숙녀운동..풋폴트는 규칙위반)

    테니스의 발상지 유럽에서는 테니스는 아무나 못하는 귀족운동이었다. 왕실과 주변 친척들들 중심으로 즐기다가 상류층과 서민들이 즐기는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신사,숙녀 운동이며 ...
    Read More
  4. 테니스 스코어 유래..왜 러브라고 부르나,.듀스란?

    제로가 러브 (love)란? 러브의 의미는 득점하지 못했다는 것으로서 그 어원에 대해서는 공상적인 기상(奇想)에 풍부한 신비적인 표현이다. 프랑스어의 "Loeuf"로 달걀의 의미에서 전래...
    Read More
  5. No Image

    테니스 풋폴트 정확하게 이해하기

    우선 풋폴트에 관한 원문입니다. USTA Comment The key to understanding this rule is to realize that the Server's feet must be at rest immediately before beginning to serve. ...
    Read More
  6. No Image

    테니스 심판의 세계

    테니스 심판은 브론즈,실버,골드로 구분되며 ..최상위 자격증인 골드배지를 다는 과정은 쉽지 않다. ITF에서 주관한느 심판프로그램인 레벨 1.2.3과정을 통과한 후 브론즈 배지에 응시...
    Read More
  7. 테니스 코트 규격,..테니스 네트 규격과 높이

    테니스에 필요한 코트 규격과 가운데 설치되는 그물망 네트 규격입니다.(하단 그림 참고) 테니스 규칙 보면.. 세로 23.77m(78feet), 가로 8.23m(27feet)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
    Read More
  8. No Image

    남자프로 테니스(ATP) 룰 북(RULE BOOK)

    총 11장으로 구성 되어있습니다....영어로,,,^^ 약 5.8메가 정도의 크키이며 PDF 형식입니다. 규칙, 규범, 재정 등 남자 프로 선수,협회 등.. 모든 상항에 관한것들이 포함 되어 있는...
    Read More
  9. 테니스 역사와 개요

    == 개요 == 코트 중앙에 네트를 두고 라켓을 이용해 상대의 코트에 원 바운드 또는 노 바운드로 공을 쳐 득점의 다과로 승부를 가르는 구기 경기. 공은 테니스 볼이라고 불리며 노란 ...
    Read More
  10. 테니스 규칙 36-40조(복식에서의 리시버 순서, 폴트 등)

    규칙 36. 복식에서의 리시버 순서(Order of receiving in doubles) 리시브의 순서는 각 세트의 시작 때 다음과 같이 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제1게임 에서 리시브를 해야 할 조는 어느 ...
    Read More
  11. 테니스 규칙 26-35조(스코어, 심판의 역할, 코칭, 복식경기 등)

    규칙 26. 게임스코어(Score in a game) 플레이어가 제1포인트를 따면 스코어는 15, 제 2포인트를 따면 30, 제 3포인트를 따면 40이라고 부르며, 제 4포인트를 따면 그 플레이어의 '게...
    Read More
  12. 테니스 규칙 20-25조(풀레이어의 실점, 상대에 대한 방해 등)

    규칙 20. 플레이어의 실점(Player loses point) 플레이어는 다음의 경우 실점한다. a) 인플레이된 볼이 2번 바운드되기 전에 직접 네트 너머로 리턴하지 못했을 때 (규칙 24 (a) 또는 ...
    Read More
  13. 테니스 규칙 10-19조(폴트, 서비스 순서,, 렛, 리시버의 득점 등)

    규칙 10. 서비스 폴트(Service fault) a) 서버가 규칙 7, 8 또는 9(b)의 어느 조항을 범했을 때 b) 볼을 치려다 치지 못했을 때 c) 서브한 볼이 상대방 지면에 떨어지기 전에 퍼머넌트...
    Read More
  14. 테니스 규칙 01-09조(볼, 라켓, 서비스와 리시버, 풋폴트 등)

    규칙 1. 코트(The court) 세로 23.77m(78feet), 가로 8.23m(27feet)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코트는 네트를 중심으로 2등분 된다. 네트는 지름 0.8cm(1/3inch)이하의 코드(Cor d)...
    Read More
  15. 테니스 법규(Code) - 개인적 명예와 풋 폴트

    25. USTA의 해석에 따르면 서버가 한번 경고를 받은 뒤에 그 때문에 엄파이어를 요 청한 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았을 때 리시버나 그의 파트너가 풋폴트에 대한 권한을 갖 는다. 이러한 ...
    Read More
  16. 테니스의 기원과 발전 - 테니스 점수의 유래

    테니스는 13세기 경에 프랑스의 왕후귀족들이 다과회나 연회 등의 행사로서 거행하고 있던 '쥬디홈'이라는 실 내 유희가 그 기원이 되었다. 이 유희는 최초에, 실내에서 줄을 치고 머...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