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아무도 후원하지 않았다..,조코비치 어머니가 밝히는 아픈 과거

1.jpg

▲조코비치가 네 살 때인 1991년 처음으로 손에 라켓을 잡았다. 당시 세르비아의 최고의 코치인 옐레나 젠치치가 테니스 캠프를 열었다. 매일 캠프에 와서 훈련을 지켜본 조코비치를 발견한 엘레나가 코트에 들어오게 해 라켓을 쥐어 주었다.  옐레나는 "꼬마는 집중을 잘했고 재능이 있었다”고 말했다. 

 

2.jpg

그로부터 8년뒤인 1999년에 엘레나는 노박의 부모에게 “아들을 테니스 선수로 키우려면 떠나야 한다"고 말했다. 세르비아 경제 및 정치 상황이 어려웠다. 조코비치가 현실적으로 독일로 이주할 상황은 아니었지만 논리적으로는 그에게 필요한 일이었다. 13살 조코비치는 뮌헨으로 가서 당시 유명한 코치로 알려진 니콜라 필리치가 운영하는 아카데미에서 훈련을 받았다. 필리치는 “노박은 캠프에 도착한 첫날부터 테니스에 얼마나 집중했는지 놀라웠다. 나는 누군가가 성공할지 여부를 예측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지만 노박과 함께라면 그가 최고가 될 것이라는 것을 알았다”고 말했다. 필리치는 4년 동안 조코비치를 지도했다.

 

3.jpg

▲ 어린시절 조코비치에게 큰 영향을 끼친 옐레나 젠치치 코치.심리와 전술에 대해 가르쳤고 포핸드, 백핸드 숏 크로스에 많은 지도를 했다. 어려서부터 게임의 다양성을 가르쳤다.조코비치는 젠치치에게 1000 번 이상의 훈련을 받았고 베이스 라인, 미드 코트에서 플레이하는 방법을 익혔다

 

로저 페더러(스위스)와 라파엘 나달 (스페인)과는 달리 노박 조코비치(세르비아)는 전쟁에 휩싸인 세르비아에서 자랐다.

 

조코비치 가족은 빵과 우유를 얻기 위해 배급줄을 서야했다. 조코비치의 어머니 디아나가 조코비치 주니어 시절 어려움을 털어 놓았다.

 

디아나는 조코비치가 유럽 주니어 리그 대회에 출전하던 시절에 투어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웠다고 한다. 어린 조코비치에게 투자하려는 스폰서는 하나도 없었다.

 

디아나는 "매일 아침 일어나면 빵을 살 돈조차 없어 걱정을 했다. 잠못이루는 밤을 숱하게 보냈다. 걱정이 병으로 발전했다"며 "남편은 아들을 후원할 여러 회사를 다녔지만 아무도 들어주지 않았다"고 말했다.


현재 조코비치는 상금 1억 달러 (약 1300억원)를 돌파했다.

 

아들에게 테니스를 계속시키기 위해 불법적인 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서 돈을 빌려야했다. 그러나 그이자는 부풀어 올라 집안의 또다른 걱정거리로 자리잡았다.

 

디아나는 "남편은 불법 사업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서 돈을 빌렸다. 물론 고액의 이자라는 악순환이 거듭됐다. 빚을 갚기 위해 다시 빚을 몇 번이나 몇 번이나 빌렸다"고 고백했다.

 

조코비치 부모는 세르비아 코파오니크 스키장에서 일했다. 두 사람의 월급은 집세조차 부족했다. 아버지가 어린 아들을 데리고 대회를 다녔다. 가족 모두의 여행 경비를 부담하기 어려워 어머니 디아나는 집에 머물렀다.

 

이런 어려운 주니어 시절을 겪은 조코비치는 성공의 굳은 의지와 꿈을 이루기 위한 확고한 마음을 가지면 백핸드 리턴과 포핸드 패싱 샷 으로 자신의 테니스를 완성했다.

 

32살인 노박 조코비치는 그랜드슬램 17번 우승, 34번의 마스터스 1000시리즈 우승을 포함해 총 79번 투어 우승을 하면서 1억 4363만 1560달러의 상금을 벌어들이며 페더러와 나달보다 상금 1억달러를 먼저 달성했다.

 

상금 규모에서도 페더러의 1억 2995달러, 나달의 1억 2096달러에 비해 많은 조코비치는 276주 동안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상금외에도 조코비치는 여러 스폰서를 확보했다. 2017년부터 의류 브랜드 라코스테와 5년 계약을 맺었고 아식스 신발을 신고 경기에 나서고 있다.

 

세르비아 통신회사 텔레콤 세르비아와 독일 영양 보충제 브랜드 핏라인의 지원을 받고 있다. 또한 기업인적 자원 관리 미국계 회사 얼티메이트 소프트웨어 홍보대사를 하고 있다. 조코비치의 연간 후원금액은 2600만달러에 달하고 있다.

 

조코비치가 테니스 랭킹 1위지만 스포츠선수 소득랭킹은 17위에 머물러 있다.

 

조코비치는 페더러처럼 재단을 설립해 세르비아의 유아 교육 프로젝트를 개발했다. 18개의 학교를 세우고 1만명 이상의 어린이 교육을 돕고 있다. 2015년 8월부터 유니세프 홍보 대사로 활동하고 있다.

 

조코비치는 현재 아내 옐레나와 남매를 데리고 모나코 몬테카를로에 거주하고 있다. 주니어 시절 아무런 도움의 손길을 받지 못한 조코비치는 2억 2천만 달러의 가치로 성장했다.

 

4.jpeg

 

그동안 조코비치 테니스 인생에서 가장 큰 고비는 주니어 시절이 아니었다.

 

노박 조코비치의 아내 옐레나는 2018년 호주오픈 16강전에서 정현에게 패하고 3월 5일 인디언웰스 1회전 탈락, 3월 19일 마이애미 1회전 탈락후 은퇴를 심각하게 고려했다고 말했다.

2017년 윔블던때 팔꿈치 부상으로 6개월을 쉰 조코비치는 2018년 1월 투어에 복귀했지만 정상적인 플레이를 할 수 없었다. 노박은 테니스를 그만두기로 결심했고 가족들에게 은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옐레나는 “그는 그만두겠다고 말했다. 마이애미에서 길을 잃었다. '내가 끝났어요'라고 물었고 그는'그렇다'고 답했다"며 "에두아르도가 스폰서들과 구체적으로 이야기를 나눴고 6개월, 1년, 또는 영원히 쉴지도 모르겠다는 이야기가 오갔다"고 말했다.

 

마음을 내려놓은 조코비치는 가족과 휴가를 떠났다. 휴가지에서 아들 스테판과 코트에서 놀다가 테니스를 다시할 마음을 추스렸다.

 

옐레나는“휴가 마지막 날 남편은 신발을 제대로 신고 코트에 나섰다. 내가 마리안 바에다 코치에게 전화하겠다고 말했고 다시 돌아와 남편의 코치를 맡아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코트에 돌아온 조코비치는 2018년 시즌을 1위로 마쳤다.

 

기사=테니스피플



[테니스 칼럼,취재,관전기]


TAG •

  1. notice

    테니스 그랜드슬램 대회 소개(호주오픈,윔블던,프랑스오픈,USOPEN)

    상금 등 대회규모가 가장 큰 4개 테니스 대회를 4대 그랜드슬램 대회라 부른다. 호주오픈. 프랑스오픈, 윔블던, US OPEN 위 4개의 대회에서 모두 우승한 선수를 그랜드 슬래머라부르며...
    read more
  2. notice

    테니스 중독 자가 진단법

    "테니스는 마약이다" "테니스가 사람을 미치게 만든다"라는 말을 듣는다면 이는 바로 테니스의 중독성을 두고 하는 말이다. 운동도 중독이 되지만, 운동은 명상과 더불어 심신의 건강...
    read more
  3. 우리도 나달처럼 골프를

    [원경주 칼럼] 스페인의 테니스선수 라파엘 나달이 프로골프대회에 출전해 6위를 했다는 외신 보도가 있었다. 나달은 로저 페더러와 공동으로 그랜드슬램 우승 20회를 달성했고 4대 그...
    Read More
  4. 우리는 선수를 위한 대회를 하고 있나

    우리는 우리가 한 일의 의미를 잘 모르고 하는경우가 있다. 그중 아래 세가지다. 대한테니스협회가 한국테니스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으로 잘하는 일 3가지. 1. 해외파견 예...
    Read More
  5. 아무도 후원하지 않았다..,조코비치 어머니가 밝히는 아픈 과거

    ▲조코비치가 네 살 때인 1991년 처음으로 손에 라켓을 잡았다. 당시 세르비아의 최고의 코치인 옐레나 젠치치가 테니스 캠프를 열었다. 매일 캠프에 와서 훈련을 지켜본 조코비치를 발...
    Read More
  6. 스타 이름을 [대박 브랜드]로 만들다.. 스포츠 마케팅의 원조, IMG

    프로 테니스 역사상 가장 극적인 장면은? 많은 테니스 전문가들이 2004년 7월3일 마리아 샤라포바가 윔블던 우승컵을 차지한 사건을 꼽는다. 당시 17살 틴에이저였던 샤라포바는 73분 ...
    Read More
  7. 파리 장부앙클럽에서 육성되는 9살 김정호 스토리

    김정호 가족 Lentement mais sûrement(천천히 그러나 확실히) Regardez moi!!!(나를 쳐다 봐라) 프랑스는 그랜드슬램을 130년째 열고 투어 100위내에 남녀 선수들이 15명이나 있는 나...
    Read More
  8. 윔블던스럽다

    취재하면서 윔블던스럽다라는 말이 생각나서 만들어 사용하고 싶다. 윔블던이 다른 그랜드슬램과 다른점 10가지를 들라면 들 수 있다. 평등과 기회 균등의 정신이 배어있다. 그리고 과...
    Read More
  9. 한국 테니스 역사 ..국내 1호 테니스 전래지, 거문도 현판식 거행

    ▲ 빨간원 안이 1885년 영국 동양함대 수병들이 조성한 우리나라 최초의 여수시 삼산면 거문도 테니스장 ▲ 거문도 테니스 전래지 기념 현판식(왼쪽부터 대한테니스협회 곽용운 회장, 전...
    Read More
  10. 2019 프랑스오픈 취재기 - 나는 파리의 운전기사

    5월 24일 저녁 7시. 인천에서 상하이를 거쳐 파리에 도착하는데 18시간이 걸렸다. 직항 13시간 보다 더 걸렸지만 상하이에서 잠시 쉬고 난 뒤 장거리 비행도 나쁘지 않았다. 1차 9명이...
    Read More
  11. 테린이 탈출하기 - 나의 테니스 실력 제대로 알기 (나는 테니스 몇단?)

    테니스 1단은 테초(初) 테초?에 가라사대 포핸드만 있었고 하느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를 암송하며 포핸드만 치면 다 되는줄 알고서 또한 테니스엔 포핸드만 있는줄 알고 열심히 까불...
    Read More
  12. 테니스에 길이 있다

    요코하마챌린저에 출전한 게이오대학 성요한 아들, 딸들에게 테니스를 가르치는 부모들이 많아지고 있다. 대를 이어 테니스를 하는 가족이 있는가 하면 외동, 남매, 형제, 삼남매에게 ...
    Read More
  13. 테니스 선수로 성공에 필요한 5가지

    화려한 주니어 시절을 보내며 유망주로 각광을 받은 홍성찬(명지대)이 지난해에 이어 터키퓨처스에서 우승을 향해 한걸음 한걸음 내딛고 있다. 김천데이비스컵 우즈베키스탄전에서 인...
    Read More
  14. 엘리트 테니스가 위기에 처했다 - 경기도협회 정용택 사무국장

    경기도테니스협회 정용택(60) 국장은 2018년 한해 4개월이상을 테니스 일로 인해 투어선수처럼 전국각처와 외국에서 지냈다. 중국의 시안은 두번이나 방문했다. 국내에서도 경기도 일...
    Read More
  15. 최선의 적은 나를 강하게 만든다...비욘 보그 vs 존 매캔로

    비욘 보그(Bjorn Borg, 1956- ) 비욘 보그는 1956년 6월 6일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에서 멀지않은 한 작은 도시 쇠데르텔리에(Sodertaljie)에서 태어났다. 유년기의 그가 테니스에 현...
    Read More
  16. 한국에서 테니스는 신사적인 운동일까

    한국에서 테니스는 신사적인 운동일까 동호인들, 테니스 문화 변화 추구해야 축구, 야구에 이어 3번째로 많은 동호인을 보유하고 있는 테니스는 19세기 말 미국선교사들에 의해 처음으...
    Read More
  17. 윔블던은 왜 윔블던일까요

    출국 전에 그저 그랜드슬램의 하나겠지하면서 한번은 좀 보자는 마음으로 윔블던으로 발길을 향했다. 주위에선 1년에 세번씩 그랜드슬램을 다니냐, 한국 선수도 없는데 뭐하러 가느냐...
    Read More
  18. 아직도 풋폴트를 하고 있는가?

    대회에서도 풋폴트를 하고 있는가? 동호인 대회에 출전해 보면 대부분 선수들이 풋폴트를 하고 있다.풋폴트를 하지 않으면 손해를 보는 느낌이 드는 모양이다. 심지어는 2-3발을 걸어 ...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