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 라켓 설명중에...

안녕하세요~~

헤헤 스트링 패턴 설명에 약간 막히셨었나 보네요~

일단 One Piece Stringing은 한줄 메기 입니다. 음냐 한국 정식 명칭이 뭔진

확실히 장담을 못하겠네요.. 죄송.. 설명을 드리자면.. 보통 줄을 멜때 메인(세로줄)

과 크로스(가로줄)을 따로 메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처음에 줄을 둘로 나눠서

잘라서 메인만을 메기 위한 줄(하나) 그리고 크로스만을 위한 줄.. 이렇게 처음 샀

던 줄을 이렇게 둘로 나눠서 메는 경우가 많죠... 여기서 말하는 원피스 라는 것은

둘을 둘로 나누지 않고 한줄로 라켓을 다 멜수 있다는 것입니다. 일단 라켓 중간에서

시작해서 한쪽을 맨후(줄이 짧은쪽..메인 쪽입니다 계산 해야 겠죠? ㅎㅎ) 그리고

나머지 긴쪽으로 나머지 메인을 멘후 줄을 자르지 않고 그대로 크로스를 멜수 있

다는 소리죠.. 음.. 프레임 보호대가 없는 스트링 머신일 경우 절대 비추천 입니다.

라켓 프레임이 날라갈수도..ㅡ_ㅡ;; 자신이 줄을 메지 않고 다른곳에 맡긴다면 뭐

크게 상관 안하셔도 ^-^

두번째 No shared hole이란 말은 그야 말로 한 구멍에 줄이 같이 들어가지 않는

다는 말입니다. 음 라켓을 보시면요.. 메인과 크로스 사이에 한 구멍으로 두개의

줄이 들어가는 구멍이있습니다. no shared hole이라는 라켓에는 그런 구멍이 없

고 한 구멍을 둘로 나눠서 줄이 따로 따로 들어가게 되어있습니다 ^-^ 제라켓도

그래요..

나머지 설명은 16 main/ 17 cross란 말은 주로 줄을 넣는 구멍의 숫자를 말합니다

앞에서 말씀드린바와 같이 메인은 세로줄 크로스는 가로줄 이고요.. 또 어쩔때는

줄을 수리할때 필요한 줄의 길이를 나타낼때도 있습니다. 메인줄 16 feet

크로스 17feet 이렇게요.. 대부분 구멍의 숫자와 같지만 다른경우도 종종 있어요..

Mains skip: 7T,9T,7H,9H 이란 말은 줄을 수리할때.. 음 일단 숫자는요.. 라켓의

중앙 (목이라고 하죠.. 대두분 프레임 안쪽에 표시가 되어있습니다... 중앙) 에서

부터 좌우로 1,2,3 이렇게 숫자가 붙는것은 구멍의 번호입니다. 첫번째 메인 구멍

두번째 메인 구멍 이렇게요.. 여기서 7T이란 말은 일곱번째 윗(Top의 약자)구멍

이란 말이고요 목에서 좌우 양쪽 모두 적용됩니다. 7H란 말은 일곱번째

아랫(Bottom의 약자) 구멍 이란 뜻이고요.. 같은 뜻으로 9번째 윗구멍 아랫구멍

음 주로 Skip Hole의 번호는 위아래 같이 있습니다. 라켓줄 모양이 이상하지 않

게요.. 뭐 Head Si 시리즈 경우는 스킵하는 홀이 위아래가 같지 않아서 줄 모양이

부채 모양으로 되죠.. 잡답입니다..(그거 처음에 제가 잘못본줄알고 줄메는데 고생

무지하게 했어요..ㅜ_ㅜ;;) 음 이 정보들은 모두 줄을 수리할때 필요한 정보들이네

요.. 헤헤.. 이정도면 답변이 되셨는지요? 그럼 저는 이만...

>라켓설명을 쭈욱 읽어나가는데 막히는 부분이 있는데..
>
>영어사전에서 찾아봐도 매끄럽지가 안더군요..
>
>One Piece
>No shared holes
>
>무슨말이죠?
>
>아.. 스트링 패턴안에 있던 말인데요..
>
>스트링패턴 전체가..
>
>String Pattern:
>16 Mains / 19 Crosses
>Mains skip: 7T,9T,7H,9H
>One Piece
>No shared holes
>
>이렇습니다..
>
>뭔지.. 도통 알수가..
>* tenniseye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3-08-16 09:44)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
 Comment '2'
  • 김시형 08.16 19:54
    감사합니다... 아직 초짜라 모르는게 많거든요..
  • 형욱 08.17 02:37
    헤헤 이건 줄 수리하는 사람이 아니면 모를 확률이 크죠.. 궁금한점 생기시면 언제든지 글 올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