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상수와 하수의 결정적인 차이// 스플릿스탭시 반박자 빠르게 하면,, 그 반박자를 포워드스윙시 여유있게 사용..


포워드스윙중에 반박자 여유있는 스윙에 관여하는 요소를 생각해 보면..
(결국 스플릿스탭에서 반박자 빠르게 하면,, 그것을 포워드스윙시에 반박자 여유있게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나머지 중간과정은.. 이전과 똑같다고 하더라도..)

1.스플릿 스탭
..반박자 빠른 반응을 보장.. 반박자가 서브리턴에서는 여유를 만들어주죠..(리턴방향까지 생각케 해 주는..)
2.바운드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눈,,
..바운드위치를 빨리 예측할수록 여유있게 움직일 수 있다
3.그 바운드보다 2-2.5m 뒤로 빨리 갈 수 있는 다리
..공에 따라 다양한 스탭이 필요하기에 가장 어려워요
..부연설명을 좀 하면..
..일정거리만 확보하면 공이 보이게 마련입니다. 공을 계속 쫒지 않더라도..
..바운드와 자신의 거리가 너무 짧아서 보이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일 겁니다.
..그래서 바운드 거리만 확보하고,, 바운드되는 것을 보고,, 자신의 타점근처를 보고 있으면 공은 옵니다.. 상수(no 변수)니깐요.
4.임팩트전의 좀 더 낮은 자세..
..지금의 자세보다 10cm은 더 벌리면 무릅도 자연히 더 구부려집니다
..좁은 다리간격을 두고,, 무릅을 많이 구부려봐야 거기서거깁니다.

전체스탭은 4단계로 이루어져 있는데,,
재밌는 것은,,
가장 마지막 것은 앞에 3가지에 영향을 받고
3번째 것은 앞의 2가지에 영향을 받고
2번째는 스플릿 스탭의 유무에 영향을 받습니다.

잘하는 사람일수록 스플릿 스탭을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것만 잘 해도,, 뒤의 3가지를 여유있게 할 수 있습니다.
하수일도록 반응속도가 늦은 이유이기도 하고요 (저도 아직 익숙하게는 못합니다,, 말만 많지 ^^;;)



상대가 치는 순간에서 자신이 임팩트하는 순간을 연속선으로 놓았을 때,,

상수일수록
처음에는 빠르게 반응하고,, 스탭은 좀 여유있게(급하면 안됨),, 반박자 기다렸다가 임팩트를 여유있게..
(임팩트전에 반박자 기다릴 여유가 있느냐 없느냐를 보면 스트로크를 잘하는 사람인지 못하는 사람인지 알수 있다고 합니다)

하수들은 반응은 반대로 한다고 합니다.
상대의 공이 네트쯤 와야 다리를 움직이고, 스탭 급하게 하고,
마무리 임팩트때는 공이 뒤에서 맞을 수밖에 없으니,, 힘이 들어가고(하수의 전형적인 특징)..

**************************************

위 4가지 요소중에,,
3번째를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는 어떤 공이 오든지 같은 반응을 하면 되는데,
3번째는 공에 따라 다양한 스탭기술이 필요합니다.
이것을 일반화시켜야 하는데 쉽지가 않습니다.


포쪽 구석볼을 치는 것을 연습중인데,,
결국은 위에서 언급한,, 임팩트전에 반박자 여유있게 치느냐 못 치느냐가,,
컨트롤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고,,
당연히,, 그 사람의 실력이지 싶습니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
 Comment '10'
  • 정보맨^^ 01.16 13:01
    애거시짝퉁님의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공감가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질문이 있습니다. 제목에(위의 글에서도 마찬가지 이지만...)
    [스플릿 시트]라는 용어를 쓰셨는데 이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요??

    스플릿 스텝(Split Step)과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하시는 것 같은데
    저로서는 처음 듣는 용어라서...

    그리고 글 중간에 [스플랫 스텝]이라고도 표현하셨는데 외국어이긴 합니다만
    되도록이면 [스플릿 스텝]이라고 통일되게 표현해 주시는 것이,
    그리고 만약에 스플릿 시트가 스플릿 스텝을 의미하시는 것이라면 이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통용되는[스플릿 스텝]이라고 써 주시는 것이 글을 보는 분들이 헷갈리지 않을 것 같습니다.

    만약 스플릿 시트가 스플릿 스텝과는 다른 개념이라면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개념이 아니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해 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 애거시짝퉁 01.16 13:13
    에고 같은 용어입니다.

    정정했습니다 ^^**

    덧글 감사합니다..
  • 정보맨^^ 01.16 13:15
    스플릿 스텝에 대해서 제 경험상 가지고 있는 생각을 하나 피력하자면... ... .

    스트로크를 할 때, 네트로 어프로치를 해서 발리를 할 때,
    복식에서 전위에서 발리를 할 때, 복식에서 포치를 할 때,그리고 리턴을 할 때
    각각의 경우에 따라서 [스플릿 스텝을 밟는 타이밍]이 미묘하게 차이가 있습니다.

    나중에 이 부분도 한번 체크해 보시면서 스플릿 스텝을 몸에 익혀가면
    어떤 상황에서도 자연스럽게 리듬과 타이밍을 부드럽게 잡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특히 복식에서 전위 위치에 있을 때 발리 타이밍이나 움직임이 서툰 분들의 경우
    많은 분들이 스플릿 스텝을 밟지 않아서 문제이긴 합니다만 스플릿 스텝을 밟는 경우에도
    일반적인 그라운드 스트로크를 칠 때의 스플릿 스텝 타이밍을 그대로 복식의 전위에서도
    구사하는 것 때문에 어려움을 겪으시는 분들이 많으신 것 같더라구요.

    이왕 스플릿 스텝의 중요성에 대해서 인정하셨다면 그 다양함에 대해서도
    더 관심 기울여 보세요.~~^^

    -테니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리듬]이라고 빠득빠득 우리는 정보맨^^-


  • 정보맨^^ 01.16 13:17
    실시간 꼬리글이네요.^^ 하하하~~
    이 글의 제목을 수정하셨다면 윗글의 제목도 곧 수정하시는 건가요?^^
    (크크크 어쩌면 지금 수정하고 계실지도 모르겠네요.^^)
  • 애거시짝퉁 01.16 13:34
    선천적으로 리듬을 타는 녀석이 옆에 있는데,,
    본인이 리듬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하는데도,, 리듬을 타면서 스트로크를 합니다.
    재능.. 없는 사람은 그 모습을 보면,, 짜증??도 약간 남니다.
    예전에 코치샘이 그런 얘기를 하더군요..
    레슨을 해 보면,, 리듬을 탈 줄 아는 사람들이 아주 간혹 있다고..
    그런 사람들은 약간만 해도,, 테니스를 잘 하더라고..
    별로 가르칠게 없답니다.
  • 스플릿 스텝에 관해 정보맨님께 질문할께요. 답글에서 언급하셨는데 일반적인 그라운드 스트로크를 칠 때의 스플릿 스텝 타이밍과 복식의 전위 그리고 서비스 리턴시에 하는 스플릿 스텝의 타이밍이 각각 어떤 차이가 있는지 구체적인 설명을 듣고싶습니다. 정보맨님과 애거시짝퉁님의 글로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애거시짝퉁 01.16 21:16
    예전에 한번 읽은 것 같아서 검색을 해 보니..(박주훈(님)이나 스플릿으로 검색하시면..)
    박주훈님이,, 자세하게 언급해 주셨네요.
    이 정도 정보면,, 거의 아카데미수준인데,,
    다시 읽어보다가 그 깊이에 놀랐습니다.

    요약해보면..
    깊은 스트로크를 했을 때는.. 여유있으므로.. 임팩트 바로전
    얇은 스트로크를 했을 때나 상대의 강타가 예상될 때는.. 여유없으므로.. 테이크백완료시점
    발리시에도.. 테이크백완료시점에..
    (급한 느낌이면,, 테이크백시에,, 안 급한 느낌이면,, 임팩트 바로전)

    마무리로 명언을 한 마디 덧붙여 주셨습니다..
    ★ "스플릿 스텝 잘하는 하수없고, 스플릿 스텝 못하는 고수없다" ★

    저번에,, 선반위에 올리듯 토스하라고 하신 것..도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박주훈님 글들을 검색해서 모두 읽어봐야 할까봐요..
  • 정보맨^^ 01.16 23:24
    미카엘창님~~
    타이밍은 개인차가 있어서 일괄적으로 [어떻다]라고 말씀 드리기는 힘듭니다.

    각 개인마다 리듬과 몸의 반응 속도가 달라지므로 일괄적인 기준을 제시 드리지
    못함을 죄송스럽게 생각합니다.^^

    중요한 것은 각각의 포지션과 상황에 따라서 [스플릿 스텝을 시작하는 타이밍]이
    다르다는 것을 확실히 인식하시고 각각의 상황에 따라서 여러 타이밍을 시도해 보시면서
    스스로 몸으로 느끼고 익히시는 것입니다.

    너무나 당연한 얘기이겠지만 그래도 기준으로 삼을만한 것은 뻔한 기준 딱 하나 있습니다.

    "상대방의 공이 나에게 도달하는 시간이 짧은 상황일 수록
    빠른 타이밍에 스플릿 스텝을 시작한다." 입니다.^^

    처음 이 부분에 관해서 연습을 하실 때는
    애거시 짝퉁님께서 바로 위에서 언급하신 기준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되실 겁니다.

    이게 몸에 익으면 차차 상대방의 테이크 백 형태나 스윙 스피드 등을 고려해서
    기준이 되는 (보통 일반스트로크 랠리를 할 때의 스플릿 스텝 타이밍)타이밍을 파악하시고
    그 기준을 바탕으로 각각의 상황에 따라서 타이밍을 튜닝하는 형식으로
    트레이닝 하시면 될 것입니다.^^

    뭔가 시원한 답변을 못 드린 것 같아서 송구스럽지만
    이 세상에 그 어떤 유능한 코치도 리듬과 타이밍 만큼은 가르쳐 줄 수 없고
    본인 스스로 찾아 나가는 것이라고 굳건히 믿고 있는 저로서는 이 정도에서
    미카엘창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줄입니다.^^

  • 답변 감사합니다. 우문에 현답을 주신듯 합니다. 역시 테니스에서 밸런스와 리듬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는듯 합니다.
  • 페더러를꿈꾸며 01.19 11:49
    "상수와 하수의 결정적인 차이" 이야기는 가슴에 와닫는데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테니스 관련 정보,랭킹,엔트리, 생방송 사이트 링크 모음 file
7927 Real Genius - Martina Hingis 6
7926 테니수사랑
7925 포쪽 구석으로 오는 공은 왜 자연스럽게 스윙하기가 어려울까?? 3
7924 (질문) 단식대회를 하는 데를 알고 싶습니다.. 12
7923 (질문)스트로크에서 스플릿 스탭을 하면,, 몇 초 빨리 움직일 수 있는 건가요?? 3
7922 테니스 동호회 가입방법? 1
7921 동회회 가입에 대하여 질문. 1
7920 (페더러서브) 라켓면과 무릎위치..// 12시.. 무릎 최고 구부림// 6시.. 무릎 완전펴고, 점프되는 순간.. 1
7919 <스플릿 스탭>이 아니라,, <찍고>// 스플릿 스탭을 할 때,, 찍고라고 하고 하면,, 더 잘 됨.. 1
» 상수와 하수의 결정적인 차이// 스플릿스탭시 반박자 빠르게 하면,, 그 반박자를 포워드스윙시 여유있게 사용.. 10
7917 일정한 토스를 위해,, 연습할 때,, 지켜야 하는 3가지// 관절 사용 노!!// 눈에서 올리기// 선반에 올리기.. 1
7916 임팩트때의 라켓면의 각도// 10도정도가 안정적 스핀을 부여// 클레이코트에서 유리..
7915 그간 안녕하신지요 제더입니다...... 1
7914 서울대 모임을 갖고... 14
7913 [re] 무릎뿐 아니라,, 신체의 앞으로의 이동도 kinetic chain..// 어깨반동력이 전진운동의 목표..
7912 (애거시) 스퀘어나 클로즈 포핸드 치는 동영상..// 무릎, 엉덩이를 먼저 앞으로 보내어,, 상체에 전진탄력만들기..
7911 행복의 비결
7910 천성과 교육 : 계속되는 논쟁
7909 테니스를 좀 가르쳐 주려고 하는데.... 8
7908 하수의 매너..// 배우는 입장에서.. 11
Board Pagination Prev 1 ...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 781 Next
/ 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