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테니스 정체기를 생각하는 방법


  사는 목적이 뭐요? 라고 물으면 많은 사람들이 '행복'이라 대답한다.

 

난 사는 목적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진 않아서 그량 살았었다. 그러다 사람들과 얘기중 사는 목적에 대한 얘기가 가끔씩 나왔고, 많은 사람들이 '행복'이라는 단어를 꺼내었다.

 

행복이란 단어를 듣고 보니, 맞는 말 같기도 하고 또 대체할 만한 다른 단어가 생각이 나지 않기도 해서 언젠가부터 '행복'이 내가 사는 목적이 되었다.

  그런데 실제 행복한 삶을 살고 있냐 하면 그렇진 않다. 매일 무덤덤하거나 약간 괴롭거나한 일상의 연속이다. 하루중 아주 잠깐의 순간동안만 행복을 느끼는 것 같다. 행복한 삶이 목적인데, 왜 대부분의 시간동안 무덤덤하거나 괴로울까?

 

 

42a6708566403878fd67d8baf3364854.jpg

 


 인생과 마찬가지로 테니스를 할 때도 무덤덤, 고통, 행복(쾌락)의 연속이다. 대부분의 시간은 무덤덤, 고통의 시간이다.

 

공을 칠 땐 그래도 재미있는 부분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아무리 열심히 해도 실력이 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마음고생을 하게 된다.

 

어느 날부터인가는 연습을 하는 중에도 한컨에서는 괴로운 마음이 든다. "이걸 한다고 실력이 늘기는 할까. 이제까지 몇 개월을 했는데도 안되는데.'

  테니스의 성장곡선은 정체기(or 슬럼프)와 성장기로 나뉜다.

 

이걸 시간으로 환산을 해 보면 정체기의 시간은 전체의 95%이고, 성장기의 시간은 합해봐야 5%라고 한다.

 

즉, 우리는 95%시간동안은 무덤덤 & 괴로움으로 보내고, 5%의 시간동안만 행복해 하는 것이 된다.

  테니스에서 성장기는 사람을 행복하게 만들어준다. 여기에 모순이 있다. 연습을 하는 중에도 그걸 즐기질 못한다. 연습을 하는 기간에 머리속으로는 항상 걱정을 한다. '언제 늘까?'

 

눈과 몸은 연습을 하고 있는 중에도 머리는 미래의 목표에 꽂혀 있다.

 

그러니 미래의 목표와 현실이 대비되면서 자신은 불행한 인간이란 생각을 지울 수 없게 된다. 이런 생각이 들게 되면 그 연습마저도 그리 즐겁지 않게 된다. 이런 생각에 지배되는 단계가 되면 연습을 그만두게 된다.

 얼마전에 읽은 책에 이것에 대한 답이 씌여 있었다. 목표에만 행복을 두는 삶은 결코 행복할 수 없다.

 

95%시간동안 우울해 하다가 목표에 도달하면 잠시 행복했다가 다시 우울해 진다. 다시 다른 목표가 생기기때문이다. 다시 95%시간의 우울기를 거치게 된다.

  이 말이 맞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우울해해야 하는데, 실제는 그렇지 않다. 일부의 사람들은 정체기에도 약간은 행복해 보인다. 왜? 그들은 따분한 연습중에도 미세한 재미를 찾을 수 있기때문이다.

 

같은 동작이라고 하더라도 미세한 느낌의 차이는 있다. 이들은 같은 동작을 하면서도 이 차이를 느낄려고 하는 사람들이다.

 

그렇기에 그들에게 정체기는 지겨운 시간이 아닌 약간은 재미있는 시간이 된다. 이들도 성장기가 되면 행복해 한다. 하지만 그들은 정체기동안 성장기에 대한 갈망이 그리 크지 않다.

 

정체기의 미세한 재미를 알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사람들은 일 자체를 사랑한다.

지겨움은 눈은 현재를 보면서 머리로는 미래를 생각하고 있는 데서 오고, 즐거움은 눈과 머리를 현재의 일에 고정할 수 있는데서 온다.

먼저 2가지를 인정하면 어떨까?

 

정체기의 시간이 95%를 차지한다는 것...미래에만 꽂혀 있으면 정체기는 지겨울 수밖에 없다는 것.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Comment '12'
  • 全 炫 仲 03.27 15:53
    "지겨움은 눈은 현재를 보면서 머리로는 미래를 생각하고 있는 데서 오고, 즐거움은 눈과 머리를 현재의 일에서 고정할 수 있는데서 온다."

    많이 공감이 가면서도,,
    미래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는 딜레머가 있어 지겨움 혹은 덜 행복함의 단초가 되는것 같습니다.
  • 샘짝퉁 03.27 15:56
    이걸 극복할 수 있으면, 뭘 해도 행복한 사람이 될 수 있을 것 같긴 합니다만,
    이론 안다고 행동으로 잘 안되는게 인간이니 ^^

    그렇지만 이런 생각을 해 본 적이 없었는데 좋은 책을 읽은 것 같아요 ^^

    책을 읽으면서 이런 생각은 들었어요. 일에서 미세한 차이를 느낄려고 하는 사람은 시간만 지나면 성장기가 온다는 걸 확신하는 사람이 아닐까란.
  • 최혜랑 04.01 23:41
    노상 테니스에 관해- 좀체로 안는다, 세상 무엇보다 자신에게 많은 스트레스와 수모를 줬다, 노화에 따른 체력저하로 점점 재미가 없어진다, 등등의 푸념을 하는 분이 있습니다.

    하지만 게임하는 걸 옆에서 지켜보면 누구보다 행복한 표정에 깔깔 웃고 손뼉을 치고 합니다.
    물론 에러내고는 아이고하면서 깡총 뛰거나 주저앉아 땅을 치기도 하지만.

    공치는 일이 즐거움과 나름의 잔잔한 행복감을 주지 않는다면 정말 버텨내기 힘들겠지요.

    또 우리코트엔 행복한 자뻑 부부가 있습니다.
    제가 좀 뻥을 섞어 당신 남편이 여자회원들이 같이 커피마시고 싶은 남자회원 투표에서 단연 으뜸인 걸 아느냐고 했더니
    잘 생기고 목소리 좋고 성격까지 좋으니 당연한 일 아니겠냐고 대꾸를 하질 않나
    오십 다된 남편이 자기 눈엔 대학생처럼 신선해 보인다나......
    남편과 아내가 서로 천생연분이란 확신에 차있다니
    결혼 이십여년이 지난 지금도 눈에 붙은 콩깍지를 안 떼고 살고 있나봅니다.
    이분들은 테니스를 통해 지상에서의 행복을 추구하고 계신 듯해요.
  • 탱이 04.04 12:24

    심심하다는 말을 달고 사는 울 아들한테 제가 늘 써먹는 말인디... 세상은 원래 심심한거야.. 어쩌다가 한번쯤 재미있기도 해.. 그래서 심심한 시간을 잘 보내는 사람이 잘 사는 거야.


    테니스도 꼭 그렇네요. 전 직장을 다니는 엄마인지라 사실 게임할 기회도 잘 없습니다. 게다가 6년째 렛슨을 받고있지만 실력은 그저그렇고.. 잘하고 싶은 마음은 꿀떡같은데 잘하고 있구나, 실력이 좀 늘었네 싶은 순간은 정말 느껴본지가 언젠가 싶구..


    코트사정과 나의 개인사정과 그날 멤버들 사정, 세박자가 맞아서 정말 오랜만에 게임을 한다고 좋아했다가 여지없이 실력을 확인당하고 다시 우울해진답니다. 으이구.....

  • 全 炫 仲 04.04 15:33
    탱이님 말씀이 명언입니다. 심심한 시간을 잘 보내는 사람이 잘 산다는....

    실력 확인 당하시더라도 우울해 하지 마시고 즐테하시길...^^
  • 김응기 05.30 14:34
    늘 "행복"이란 존재는 그림자처럼 공존하고 있는데, 마음과머리는 늘 먼곳을 응시하고, 있는것은 아닌지요...그다지 인생이 즐겁지도,행복하지도 않다고 생각되어지는 것은,내가가진 열가지의 행복을 찾아 누리기보다는, 남이 가진 한가지의 행복을 부러워하고, 시샘하는 일상의 삶에 익숙해져 있기때문일 수도 있다고 생각 합니다.
    저는 코트에서 운동하는것 자체가 행복입니다. 오래된 연인이나, 친구처럼 생각만해도 기분이 좋아지고 행복해지는 ...테니스란, 때론 지겨워 투정을 부리기도 하지만, 좋아하고, 사랑할 수 밖에 없는 행복 그자체가 아닐까요? ...
  • dori 01.28 20:41
    참 좋은 글이네요... 많이 생각하게 되네요.. 백핸드 투핸드만 생각하면 짜증나는데..ㅋㅋ
  • Jong 07.05 21:32
    처음으로 글을 써봅니다. 미국에 거주중인데, 몇년전부터 테니스에 재미를 붙여 나름 혼자서 실력향상을 하려고, 여기저기 서치를 하다가 전테교까지 왔습니다. 전 여기서 주로 기술관련 자료를 보는데, 우연히 이글을 보고, 나름 감동을 받아 댓글을 쓰게 되네요. 비단 테니스 뿐만 아니라 우리들 인생에서도 적용이 되는 것 같습니다.

    우리 인생의 95%인 일상을 견뎌낼 수 있게하는 원동력이라고나 해야할까? 단지 먼미래 어쩌면 이루어질찌도 모르는 5%만 바라보면서 산다면 너무나 힘들것이고, 그리고 그나마 5%의 확률도 줄어들지도 모르겠지요. 하루하루 일상속에서 소소한 즐거움을 찾아내고, 그러게 살다보면 행복한 삶이 될테고, 일이나 공부라면 할때마다 조금씩 큰 성취감이 아닌 보람을 느끼거나 또는 아니더라도 계속해나간다면, 5%의 순간이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영어에 이런 표현이 있습니다. Hang in there. 직역을 하면은 조금 감이 안오겠지만, 의역을 하자면, "너 잘하고 있어. 계속 그렇게만 해." 누군가가 불평을 하거나 실망을 했을때 약간의 위로의 의미로 쓰는 표현입니다. 우리가 삶에 또는 테니스에 지쳤을때 우리자신에게 쓸 수 있는 표현인듯 해서...
  • 김원동 03.18 12:21
    평상시 이번 게임에는 로브를 한다, 포치를 한다, 앵글을 해본다 등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면 게임이 더 재미있더라구요. 소소한 재미죠.
  • 이경우 05.20 18:26
    테니스를 무조건 실력
  • 이상승 05.24 11:09
    "지겨움은 눈은 현재를 보면서 머리로는 미래를 생각하고 있는 데서 오고, 즐거움은 눈과 머리를 현재의 일에 고정할 수 있는데서 온다." 명언입니다.
  • 에드워드 08.09 12:18

    글을 읽다보니 희망이 생기네요. 처음으로 댓글을 달아 봅니다.

    여긴 카나다인데 4년전에 레슨없이 그냥 마구잡이로 초보자들끼리 운동을 했는데

    그럭저럭 5년이란 경력이 생겼습니다. 테니스 기술이 이렇게 다양하다니...

    어망으로 자세를 만들어놔서 교정이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


  1. notice

    테니스 복식 잘하는법 6가지

    동호인들이 좋아하는 테니스 복식에서는 매 랠리시마다 내가 할 일이 있다...볼을 공략하거나 아니면 위치를 공략해야 한다. 혹은 빈 곳을 지키려 이동해야 한다. 복식 파트너와도 좋...
    read more
  2. 테니스에서 왼손의 비밀

    1. 좋은 서브 임팩트를 하게 하는 왼손 서브때 왼손을 똑바로 올린다. 왼손을 똑바로 올리면 기준이 되어 타점을 향해 라켓이 올라가고 볼을 제대로 맞힌다. 왼손이 타점의 기준이다. ...
    Read More
  3. 테니스 고정관념 깨기..작은 백스윙

    미국 테니스 교과서 기술 방식에 따라 테이크백, 임팩트, 포워드 스윙, 마무리 이런 구분동작은 이제 현대테니스에서 통하지 않는다. 소위말해 테이크백, 백스윙이 없는 테니스를 US오...
    Read More
  4. 테니스 스트로크 에러 줄이고 파워와 안정성 늘리기

    탑 프로들의 동영상을 보면 공이 바운드가 되고 왼손하고 거리가 20-30cm의 거리가 될 때,,왼손의 회전이 시작되고 동시에 포워드스윙이 시작됩니다.. 오른손잡이 기준으로 볼때 ,,공...
    Read More
  5. 테니스 잘치는 방법 - 기술적.정신적.전략적 접근

    테니스를 알고 입문하게 되면 기술적으로 어느정도 본인이 정한 목표에 도달하게 된다. 이후 개인의 특성에 따라 대회에도 나가고 혹은 다른 동호인과 경기를 교류하면서 성장을 이어...
    Read More
  6. 테니스 레슨 처음이 중요함..그리고 첫 스승이 더 중요함

    신드롬(Syndrome)..일련의 증상을 말한다. 테니스에서 적용해보면 ..위기의 순간에는 자기가 오랫동안 편안하게 해온 기술들이 다시 나온다는 말로 해석이 가능하다...편안해지고 싶은...
    Read More
  7. 테니스 레슨 효과 2배로 만들기 - 레슨 때 점검 사항 몇가지

    사진=테니스피플 레슨을 하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이 꼭 점검해야 할 10가지 사항들...이 방식을 따른다면, 좀 더 효율적인 레슨이 될 것이다. 1. 레슨을 지도하는 사람은 시작전에 '오...
    Read More
  8. 테니스 복식에서 공격루트..결국은 angle shot를 할 수 있어야..

    복식에서 두 선수가 전위로 들어왔을 때의 공략 두가지 방법 공격적인 스매시를 할수 없는(하기 어려운) 로브를 구사하거나 발리를 무력화 시킬 수 있는 패싱(크로스 혹은 역크로스)입...
    Read More
  9. 테니스 원핸드 백드라이브의 파워 원천

    동영상을 보시면,, 페더러의 동영상인데,, 에넹의 경우도 이렇게 합니다.. 1.백스윙의 모양새.. 백스윙시에,, 우선 뒤로 빼고,, 오른쪽은 위치고정후에,, 왼손으로 라켓헤드를 원운동...
    Read More
  10. 임팩트때의 라켓면의 각도

    애슐리 바티(테니스피플) 임팩트시에 라켓면이 수직으로 하는 것보다,, 약간 경사를 주어서 스트로크를 하면,, 더 안정적인 스트로크가 된다고.. 한 5-10정도의 경사를 주는 것은 크게...
    Read More
  11. 테니스 정체기를 생각하는 방법

    사는 목적이 뭐요? 라고 물으면 많은 사람들이 '행복'이라 대답한다. 난 사는 목적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진 않아서 그량 살았었다. 그러다 사람들과 얘기중 사는 목적에 대한 얘기가 ...
    Read More
  12. 발리 - 풋워크가 안되면 머리 높이로 위치 조정하기

    발리가 뭘까?...를 고민-연습하다가, 발리의 3번째 포인트를 찾은 것 같습니다. 1.머리 높이를 공 높이와 엇비슷하게 이건 한 미국 코치의 글에서 본 이론인데,공의 위치에 관계없이 ...
    Read More
  13. 좋은 발리는 어떤 느낌이 올까?

    백슬라이스 감을 빨리 익히는 연습중에 하나는 긴 랠리를 많이 해 보는 것입니다...물론 백핸드로만 슬라이스가 뜨지만 않고, 길게 나간다면,그만큼 공이 라켓면에 오래 붙어 있었을 ...
    Read More
  14. 억지스런 빅 포핸드 교정하기.. shadow swing *100번/day

    20~30대 동호인중에 다른 건 몰라도 포핸드에서만은 자신감을 가진 분들이 꽤 됩니다. 안타깝게도 이 생각은 자신만의 착각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착각을 하게 된 계기는.. 포핸드...
    Read More
  15. 축만들기..테니스 스트록에서 부드러운 파워의 원천

    선수출신들이 공을 치는것을 보면 어느 수준급 이상에서는 부드러우면서도 공이 강하고 스핀이 많습니다. 랠리시에 받아 보면 느낌이 다릅니다. 부드럽게 치지만 공에 전달되는 에너지...
    Read More
  16. 테니스 프로선수들의 공 보는 방식.. 대략 3가지 패턴

    프로들이 공을 보는 방식은 대략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타점에 완전고정 페더러외는 잘 하질 않는 방식인데요. 리턴되어 오는 공을 계속 응시하다가 타점부위에서 스윙후에도 ...
    Read More
  17. 시합에서 소심한 플레이 극복하기.. 대회구력이 필요한 이유

    실제 동호인 대회에서 경기를 해 보니, 동네의 친선경기와는 다르게,,평상시의 샷을 자신있게 할수가 없더군요. 혹시 나갈까봐 스윙스피드를 약간 줄여서 하게 되더라구요.결국은 상대...
    Read More
  18. 무거운 공을 리턴 - 체중을 약간 이용+그립 접근은 기본

    공에 파워가 실려 있으면 리턴이 어려워집니다. 이런 공을 리턴하는 tip중에 하나는,,자세를 잡고 그립이 공쪽으로 접근하면 문제없습니다. 여기에서 공의 파워에 밀리기 않기 위해서...
    Read More
  19. 공의 높이에 따른 팔꿈치 각도..

    포핸드 스트로크를 보면.. 포핸드에서 가장 치기 좋은 높이의 공은 허리에서 가슴사이라고 합니다. 이것을 아래 그림에서 보면 B의 높이입니다. 윗 그림 B에서 보면 팔꿈치와 상체가 ...
    Read More
  20. 유니턴(몸통회전) = 라켓 테이크백(?)

    우선, 유니턴(UNIT TURN,몸통회전)은 상체를 돌리는 것이지 테이크백이 아닙니다...이부분을 먼저 이해하고... "상체가 오른쪽으로 회전을 하기까지는 팔로 라켓을 뒤로 빼지 않는다" ...
    Read More
  21. 일관성 있는 스트로크 - 팔이 자연스럽게 묻어가는 모양

    프로선수마다 스윙자세가 약간씩 틀리기는 하지만 그 스윙 자세만 봐도(얼굴 안 봐도) 누구의 스윙인지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일관된 스윙이 가능해야 컨트롤도 쉬워지고, 파워를 내...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