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티눈


  '역지사지'란 말을 들어보았지만, 그 때는 무심히 생각했다. 그러다가 결정적으로 몸소 느끼게 된 계기가 있었다.


  몇 해전에 간단한 수술을 받은 적이 있었다. 어디를 걸어가고 있는데 발바닥의 특정부분이 약간씩 아파왔다. 일을 마치고 집에 돌아와서 발바닥을 살펴보니 엄지발가락 아래부분에 굳은 살 같은 덩어리가 만져졌다. 별일 있겠나 싶어서 방치를 했었는데, 시간이 갈수록 걸을 때 아픔이 심해졌다. 
 
  의사의 진단을 받아보니, 티눈이라고 한다. 티눈은 계속 자라기때문에 가만히 두면 아픈 것이 더 심해질 수 있다고 한다. 현상태는 살속으로 깊이 파고 들어간 상태라 수술을 권했다.

  예약한 날 병원으로 향했다. 간단한 수술이라고는 하지만 긴장이 되는 건 어쩔 수 없었다. 발바닥 수술이라 병원 침대에 엎드리라고 한다. 먼저 마취를 할 거라고 한다. 살속으로 바늘이 들어오는 느낌이 왔다. 이 때까지는 그럭저럭 참을만 했다. 다음 순간 내 입에서는 '악'소리가 나왔다. 마취액이 살속으로 급히 주입되어 주위신경을 강하게 압박해서였다. 몇 번의 소리에 의사가 한마디 한다. "아니 초등학생들도 잘 참습니다."

  그 의사로서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을 것이다. 그런 소수술은 그에게는 매일의 일상일 것이다. 그러나 그가 그런 수술을 받을 때도 참을 수 있을까?

  의사가 나오는 미국영화를 본 적이 있다. 종합병원에서 20여년을 과장으로 일을 하던 의사가 몸이 약간 이상해 검진을 받아보니 암이란 진단이 나왔다. 이제 그는 환자로서 입원을 했다. 수련의들이 왔다갔다 하면서 무뚝뚝하게 이것저것을 물었고, 수술 전날 수술을 할 담당과장이 와서 이것저것을 체크하면서 한마디 말도 없이 나가버린다

(규모가 큰 병원이라 진료과가 다르면 서로를 모르는 실정이었다). 한달 뒤에 그는 완쾌가 되었다. 하지만 그는 한달동안 환자로서 받았던 불쾌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다. 그는 과장으로 복귀를 하자말자 한 가지 일을 단행한다. 수련의들에게 '3일동안 환자생활'을 체험하도록 했다. 환자의 눈에 의사의 말과 행동들이 어떻게 비춰지는지를 느껴보라는 것이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TAG •
?
 Comment '4'
  • 페더러를꿈꾸며 02.25 09:53
    글쓰는 스타일이 달라지신듯.. 또 한번의 터닝포인트? ^^
  • 샘짝퉁 02.25 10:17
    혜랑님 따라하기 ^^
    쉽지 않네요.
    테니스이론 적을 때 시간보다 3배 더 소요되는군요 ^^;;
  • 최혜랑 02.25 14:03
    윌리엄 허트의 "The Doctor"였지요.

    오늘아침 레슨받자마자 아카데미 시상식 때문에 일찍 간다고 코트를 나섰는데
    제가 응원했던 "Atonement"의 성적은 의외로 저조했습니다.
    아직도 전 이루어지지 못한 사랑을 영상에 담은 작품에 대단한 집착을 보이는 경향이 있네요.

    테니스 게임에선 왜 샐리의 법칙이 통하지 않을까요?
    어제 레슨했는데 다음 날 게임에서 상대가 딱 그 코스로 치기 좋게 주더라...같은

    전 이제까지 제 발바닥에 났던 티눈을 티눈액을 바르거나 계속 피나게 후벼파는 원시적인 방법에 의존했는데 수술씩이나????
  • 샘짝퉁 02.25 23:10
    티눈 크기가 500원짜리만 해서 수술이 빠르겠더라구요.

    게임에서 샐리의 법칙이 일어난 적은 거의 없었던 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