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니스에서 안된다는 고정 관념을 극복하는 방법은?

1.jpg

 

어떤 분은 "난 발리는 아무리해도 안돼"..어떤 분은 "백핸드는 왜 이러 안 늘지"


이런 말(고정관념.. 선입관)을 하게 될 때까지 그 분들은 나름대로는 열심이 한게 분명합니다....레슨도 받아보고, 난타도 자주 치고, 대회에도 나가보고..

그런데 어느 날부터는 '나에게 발리는 안 맞는 것 같애'라고 결론을 내어버립니다.

이런 결론을 내고 부터는,


그 다음부터는 경기시에도 발리를 할 때 집중을 하기보다는 진땀이 나고,발리 향상을 위한 노력도 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이 상태가 되면, 그 분야(발리나 스트록 등)에서는 정체상체가 계속 됩니다.


이젠 자신의 발리실력에 대한 확실한 고정관념이 생겨서, 이 후에도 가끔 노력을 해 보지만, 역시 안되는 것을 느끼고,


"역시 발리는 어려워"라는 확인 사살만 몇 번 더 하게 됩니다. 

 

이 과정을 자신의 고정관념을 강화하는 시기라고 합니다...매우 좋지 않은 상황이 되어가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이 무서운 것이 한번 내린 결론을 확인을 해보는 단계라, 그 다음부터 그 결론을 바꾸기는 어렵습니다.

 테니스에서  '고정관념'이 생기는 과정을 위에 간단하게 설명해 보았습니다.

 

그러면 위와 같은 상황을 극복하고 한 단계 발전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우선  냉정하게 생각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아마츄어가 아무리 노력을 많이 해도 100m를 10초 안에 뛸 수 없는 것은 올바른 판단이지만... 발리를 잘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에 불과합니다. 발리를 잘할수 있는것은 아마추어도 가능한 점이라는 것입니다.

그 증거가 동네에서 테니스를 하는  아마추어 중에서도 발리를 잘하는 사람은 상당히 많다는 것입니다.

그들이 발리를 잘하는 이유는 그들이 우수한 재능을 타고났다기보다는...  그들이 발리에 시간을 더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물론 올바른 방법을 포함하여...

예를 들어서,


발리를 잘하는 사람은,,발리를 잘할려고 노력한 시간이 300시간이었다고 한다면,고정관념을 가진 사람은 100시간 정도의 노력만 하고, "역시 발리만은 어려워"라고 결론을 짓습니다.


문제는 100시간도 상당하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도 안되면 마음이 지칠만 하죠.그러나 테니스라는 운동이 원래 많은 노력이 필요한 운동이라는..

사람이 이런 고정관념을 한번 만들어 놓으면, 더 이상 노력을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그래서 자신은 이 정도밖에 안되는 넘이라고 쉽게 결론 짓지 말라고 합니다.

발리를 잘하게 되는 시간(노력)이 300시간이라고 한다면,,

동호인은 여러번 좌절을 하게 되죠.


100시간에서 한번..
120시간에서 한번..
150시간에서 한번..
(완전 좌절의 연속)

어찌보면,..마음 편하게 '언젠가 되겠지'라고 생각하는 것이 편할 수도 있을 듯 합니다...이 말은 시간을 가지고 꾸준하게 도전한다는 말과도 같습니다...연습을 멈추지 않으면 발리나 스트록 정복할수 있습니다.

 

오늘부터라도  난 안돼..라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연습과 난타 시간을 늘려 보시길 바랍니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Comment '5'
  • 김대협 07.24 16:18
    '난 발리는 아무리해도 안돼'에서 '어라, 발리 좀 되네' 로 바꿀려면 발리에 대한 공포심이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무서운 발리!
  • 애거시짝퉁 07.24 18:19
    발리뿐 아니라, 모든 각 종목마다..
    이걸 다 극복해야 하니,, 쉽지 않죠.
  • 김종기 07.26 23:27
    정말 동감 합니다 테니스초보란게 어쩌다 한번 포핸드나 백핸드 서비스등 한두가지가 잘 될 때가 가끔 있는데 그게 오래 않가요 그리곤 한참이 또 잘 않됩니다, 그러한 것의 반복으로 테니스가 향상되는 것 같습니다 전 아직도 그런 과정에 있는데 포기하지않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날씨가 좀 더운데요 그래도 즐테 하세요!
  • 느림보 07.27 11:36
    그렇게도 해보려 해도 잘안되던 것이 어느날부터 자연스레 되기 시작하면서 몸에 익을수도 있습니다.
    실력향상이라는 선을 이으면, 곡선이 아니라 계단식으로 상승합니다.
    우선 안된다 하더라도 시도라도 해야지 되겠지요?
  • 주엽 07.27 12:17
    대협아 너 하이볼 처리 잘 하잖아?
    로우와 미들은 왠만하면 누구나 다 잘하지만 하이볼 처리까지 확실하다면 틀림없는 고수지
    일단 넌 오히려 어려운 문제를 남들보다 더 빨리 풀수 있을 듯 싶다ㅎㅎ

    처음부터 레슨을 못 받아서 조금 아쉽겠지만 지금부터라도 꾸준히 연습하고 많이 생각해봐라
    틀림없이 발리도 상당한 수준이 될 수 있을 듯....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테니스 복식 잘하는법 6가지 file
106 이미지 트레이닝의 의미와 예상효과 file
105 이동하면서 하는 포핸드, 백핸드가 어려운 이유와 해결방안 하나 file
104 유니턴(몸통회전) = 라켓 테이크백(?) file
103 원핸드 백핸드가 잘 안될때,, 팔꿈치를 중간 매개체로 활용 3 file
102 와이퍼스윙을 위한 팔꿈치 워밍업.. 높은 공(for 유연성)
101 와이퍼 스윙이 잘 안될때 핵심 체크 포인트 - 간단하지만 중요 12 file
100 에러 50% 줄이기..무릎을 펴지 말아야 할 때,, file
99 억지스런 빅 포핸드 교정하기.. shadow swing *100번/day 4 file
98 어깨에 힘 빼!! no .. 하체로 스윙~ yes 11 file
97 양발간격// 1.5배는 균형있는 샷,, 1.0배는 어설픈 샷 10 file
96 약한볼 (문볼러)에 대한 공략법-베이스라인 1m안쪽에서 드라이브 발리 활용 file
95 약간 낮은 공을 스트로크할 때.. 테니스 라켓 헤드(면)의 스윙궤도 1 file
94 아웃될 공도 in이 되게 만들어(보정) 주는.. 테니스에서 조커같은.. 풀스윙 1 file
93 실수를 책망하지마라. 실수도 경기의 일부분이라 생각하라. file
92 시합에서 소심한 플레이 극복하기.. 대회구력이 필요한 이유 2 file
91 시계를 참고삼아 연습하면 효과있는 포,백 발리 1 file
90 슬라이스에서 회전만 많이 걸릴때의 교정 팁 file
89 스피드 있는 연속적인 랠리에서 밀릴때의 체크 포인트 file
88 스플릿스텝에서 엄지발가락은 접촉되어야.. Good balace~ file
87 스플릿 스텝을 할 때,, 시선처리는 발리시선 모드로 file
86 스플릿 스텝은 목표가 아닌 과정입니다. file
85 스플릿 스텝.. 발리한다는 느낌으로 공을 관찰하기 file
84 스플릿 스탭이 아니라,, 찍고 스플릿 스탭.. 1
83 스트로크시 상대 압박 지역..느리더라도 긴공은 필수 2 file
82 스트로크가 강한 상대와 경기시에는,, 한 걸음 뒤에서 스트로크 3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