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컨트롤이 되면 파워를 올리는 것은 오래 걸리지 않는다


간단하게 요약.. placement가 먼저냐, 파워가 먼저냐


건축에서도 이것과 비슷한 논의가 있다. 기능이 먼저냐 구조가 먼저냐? 어떤 이는 전자라 하고 어떤 이는 후자라고 한다.

하지만 테니스에서는 이런 논쟁을 할 필요가 없다.(전문가 사이에 이미 결론이 난 논쟁이다.)..placement가 먼저이다.

파워를 먼저 향상시키고, placement를 향상시키는 경우와 placement를 먼저 향상시키고, 파워를 향상시키는 경우..

후자가 훨씬 빨리 고수가 된다는 것은 이미 증명이 되었다.

방법.. 먼저 스트로크에서 목표는 placement로 하자.


그것의 확률이 높아져서 자신이 생기면, 그 땐 서서히 라켓 헤드스피드를 올려도 괜찮다.


컨트롤이 되는 상태에서 파워를 증가시키는 것은 그리 오래 걸리지 않는다. 이 방법이 가장 빠른 방법이다.

하나 잊으면 안되는 것은.. 가속력은 자신이 조절을 하는 것이지만,,임팩트이후에는 풀스윙이 되도록 해야 한다. (가속도의 조절은 임팩트전의 가속이 결정)


* 컨트롤이 완성되었다고 생각되는 시점=복식을 예로 든다면....크로스와 다운더 라인을 연습할때 복식라인 30cm안쪽에 떨어지는 볼이 80%(본인이 기준을 만들면 됨)이상일때..물론 베이스 라인에도 거리를 조정하여 공을 정확하게 보내는  스트록이 가능하여야 함


동영상=풀레이스먼트 연습은 다운더 라인과 크로스코트 번갈아 치기...복식에서 공의 목표 지점은 복식라인 30cm안쪽...복식라인을 겨냥하면 아웃 될 확률이 높아짐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TAG •
 Comment '4'
  • 느림보 06.26 10:06
    기본기가 부실해서
    볼의 낙하지점과 궤적을 만들어 내지 못한 중하수들은, 파워로 만회하려고 하지만 조금만 고수들과 경기해 보면 뻔히 보이는 길로 공을 넘길 수 밖에 없습니다.
    한방(over hit)의 쾌락에 빠지면 성공율 10%에서 헤어나지 못한다고 해도 [밑져야 본전]이라고 자기만의 고집을 피우게 됩니다. 하수들은 어차피 볼의 낙하지점과 궤적을 만들지 못할 바에야 힘으로 밀어부친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결국 자기실수로 경기는 끝납니다. 냉정하게 경기를 이끌지 못하고 욕심으로만 경기하다 결과는 늘 같아집니다.
  • 느림보 06.26 10:13
    날마다 매번 게임의 승부에 연연해서 overhit로 점수를 결정지으려 하고, 내일도 모레도 늘 게임이 있다고 여유있게 먼 미래를 보지 않습니다.
    아마 2-3개월만이라도 경기의 결과 연연하지 않으면서, 경기의 과정이 조금이라도 자기만의 실력향상의 기회라고 생각한다면 정말 2-3개월 뒤에는 괄목상대(括目相對) 일취월장(日就月長)할 수 있습니다.
  • 해모수 06.26 11:17
    우선 컨트롤이란 Placement와 Power 두가지 모두를 의미 합니다.

    즉, " 상대방의 볼에 대해 어느정도의 스피드와 어느 공간까지 커버 할 수 있는가? " 와
    " 그 볼을 어느 공간으로 얼마의 스피드로 제어 할 수 있는가? "
    이 두가지 질문에 답변을 하게 된다면, 본인이 파워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을 겁니다..

    이제 부터는 바보같은 말을 하지 맙시다..
    " 난, 파워는 있는데 컨트롤이 잘 안돼 "
    " 나는 콘트롤은 좋은데 파워가 없어 "

    앞으로는 이렇게 이야기 합시다..
    " 나는 느린공에 대해 컨트롤이 가능해 ", 라거나
    " 나는 60마일 정도의 볼은 컨트롤이 가능해 " 라고요..
  • 느림보 06.26 15:07
    the control of placement
    the control of power
    the control of return
    the control of spe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테니스 복식 잘하는법 6가지 file
131 테니스 경기 - 실패의 공식을 극복하자 file
130 테니스 = 51%인 step + 49%의 그 밖의 것들 4 file
129 테니스 잔기술(?).. 결과는 많이 차이남 file
128 탑스핀 감 익히기.. 미니테니스 file
127 타점이 앞에 형성되고 있는지 확인 tip.. 크로스로 각을 줄 수 있나 file
126 크로스로 리턴할 때,,각을 정확하게 내는 2가지 팁 3 file
125 크로스, 역크로스 개념 확실하게 이해하기 file
124 코치샘의 부드러운 발리 2 file
» 컨트롤이 되면 파워를 올리는 것은 오래 걸리지 않는다 4 file
122 축만들기..테니스 스트록에서 부드러운 파워의 원천 2 file
121 짧은 공을 치는 타법... hop-thre step. 1 file
120 짧은 백스윙... 타점을 앞에서 잡기 쉬운 방법
119 집에서 하는 테니스 풋 워크(Foot work)와 체중 이동 6 file
118 좋은 탑스핀 = 안정적 궤도+회전력 조절..지점에 따른 궤적분석 file
117 좋은 발리는 어떤 느낌이 올까? file
116 조코비치 유닛턴 - 테니스 백핸드에서 유닛턴은 언제 하나? 1 file
115 정체기 = 자신감 가져야 할 때 14 file
114 잡아친다는 의미.. 중간지점을 확인하고 왼손 돌리기 3 file
113 잡아놓고치기...비밀은 스탠스.... 4 file
112 자신감의 정의...테니스에서 자신감 이란? 1 file
111 임팩트시 공을 볼 수 있느냐 = 발리 마스터가 되는 핵심 file
110 임팩트때의 라켓면의 각도 file
109 일정한 토스를 위해,, 연습할 때,, 지켜야 하는 3가지 1 file
108 일관성 있는 스트로크 - 팔이 자연스럽게 묻어가는 모양 3 file
107 일관 - 공격 적인 스매싱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