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눈에 꽉 차는 느낌 => 그립을 공아래 접근할 수 있겠다는 느낌(확신)


제 글에 보면,
'눈에 꽉 차는 느낌'이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 때는 공이 약간 크게 보이면서,
'그래 이 공은 치면 제대로 날라가겠구나'라는 느낌을 받습니다.

또 이런 글을 올린 적이 있습니다.
포워드스윙시에 그립끝이 공 아래로 접근을 하면 그 공은 의도한 대로 날라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증거중에 하나가 프로의 동영상(느린 화면으로 보면)중에 이것을 위배하는 동영상은 없습니다.

이 두가지를 연계해서 생각을 해 보면,
재미있는 결과가 나옵니다.

상대가 리턴한 공이 내게로 옵니다.
어떤 공은 '꽉 차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공일 테고
어떤 공은 약간 아닌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아닌 공에도 약간 아닌 공이 있고, 제법 아닌 공이 있습니다.

문제는 아닌 공에 대해서도 리턴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아닌 공은 타점이 좌우아래위로 다양성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이 문제를 위에서 언급한,,
꽉 차는 느낌(포워드스윙 시작 바로 전에 느끼는)을
'공아래로 그립끝이 접근할 수 있는 느낌(확신)'으로 바꾸어 생각해 보면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자리를 제대로 잡았다면,,
'이 공은 그립끝을 접근하기 쉽겠네'로 생각할 수 있고

자리를 약간 잘못 잡아서
공이 약간 몸쪽으로 붙었다고(대부분 가까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는 그립을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는 느낌을 받을 것이고,
그립을 공아래로 접근할려면 포워드스윙시에 상체를 약간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쳐야하겠구나라는 생각을 바로 할 수 있습니다.

포워드스윙 바로 전에 이런 판단을 순간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
'꽉 차는 느낌'보다 '공 아래로 그립 끝을 접근하겠군'이라는 느낌이 포워드스윙중에 일어날 결과에 대한 예언?적인(스스로 미리 판단하는) 느낌이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그래서 포워드스윙중에 상체-하체-그립끝을 약간은 조정(보정)할 수 있는 듯 합니다.

***********

물론 실전에서 둘 다 실험해 보았습니다.

전반전?은 꽉 차는 느낌으로만 공을 쳐 보고
후반전은 포워드스윙 바로 전의 공에 대해서 그립 끝을 접근할 수 있는지의 느낌으로만 쳐 보았는데,,

후자의 완승이었습니다 ^^**
(당연히 '꽉 차는 느낌'은 퇴출~~)

(그립 접근의 오차를 미리 예상할 수 있기에 포워드스윙시에 어떻게 하면 미세한 조정을 할까를 머리속에서 결정할 수 있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그립접근에 문제가 없겠다고 생각하면, 대부분 제대로 맞아서 리턴이 되었습니다.)

**********

특히 어깨 높이에서 타점이 이루어지는 공이 왔을 시,,
포워드스윙 하기 전에 그 공을 볼 때의 느낌이..
"음~ 이 높이의 공 옆으로 그립을 접근하기에 내가 약간 가까이 자리를 잡았군~"이라는 느낌이 팍~ 오더군요.
높은 공은 적당히는 칠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혼자 착각을 했던 것 같습니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