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트로크의 1차 목표.. 약간 짧은 리턴볼 // 그 다음 결정구 보내기..

프로경기의 백미는 스트로크 위너샷일 것이다
(네트 앞에서 발리로 마무리하는 것보다는 멋 적인 면에서 더한 감동을 준다)
경기시에 그런 샷을 해 본다고 웬만한 공을 결정구 날리듯이 해 보지만, 역시나 워너보다는 에러가 훨씬 많을 뿐 아니라, 상대가 수비가 좋은 경우라면 워너도 거의 없다.
그량 제 풀에 제가 쓰러지는 꼴이 된다.

이런 ‘한방’에 집착하는 이유는 그들(프로)의 플레이를 제대로 분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한방’을 만들기 위해서 상대를 흔드는 연결구를 무수히 보낸다. 그러다가 약간 짧게 오는 공이 오면, 그 때는 정말 ‘한방’으로 보내버린다. 이 때는 상대가 알면서도 워너를 줄 수 밖에 없다.

여기서 하나 짚고 넘어갈 것이 있다.
남자프로들의 경기를 보면, 연결구라는 것이 거의 없는 것처럼 보인다. 전부 결정구같이 스트로크를 한다. 그래서 동호인들은 오해를 한 것이다. 세게 세게로만 넣다가 찬스볼이 오면 또 세게 넣어서 점수를 얻는구나라고..
남자프로들은 많은 훈련량에 의해서 연결구가 결정구로 보일정도로 강하게 칠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그것은 빠른 연결구에 지나지 않는다. 그 공으로 어떻해서든 약간 짧은 공이 오도록 만들려는 것이다. 일례로 그런 연결구(빠르다 하더라도)로 워너는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스트로크를 공부할 때는 남자보다는 여자선수의 경기가 그나마 도움이 된다.
(요즘은 여자들도 연결구가 강해지기는 했지만, 그나마 나은 편이다)
연결구를 어떻게 조합을 해서, 약간 짧은 볼이 오도록 만드는 지를 봐야 한다.
짧은 볼은 프로라면 워너로 끝내버린다.

연결구의 주 목적은 짧은 공이 오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 연결구는 길게 보내는 것이 좋다.
실제 경기중에 받아보아보면, 바운드가 서비스라인 근처에서 되는 공이랑, 베이스라인 바로 앞에서 되는 공이랑은 천지차이이다. 베이스라인 바로 앞에 떨어지는 공을 다시 길게 보내는 비율은 그만큼 적어진다. 그래서 연결구를 보낼 때는 길게 보내는 것이 좋다고 하는 것이다.

결정구와 연결구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하나 알아보자.
결정구를 날리는데, 중앙으로 길게 보내는 사람은 없다. 결정구란 끝을 내겠다는 것이다. 그래서 상대방쪽에서 먼 좌우중에 한 곳으로 보내는 것이다.
그러나 연결구는 목적이 약간 짧은 공이 오게 만드는 것이다. 그래서 연결구는 중앙으로 보내어도 된다. 중앙으로 길게 오는 공은 리턴하기가 쉽지 않다.
(랠리하다가 좌우컨트롤이 어려운 공은 중앙으로 길게 보내라는 말이 이런 이유때문이다)

************

왜 긴 공은 결정구로 적합하지 않은지를 알아보자.

저번에 스트로크시에 공의 속도에 대한 글을 적은 적이 있다. 그 때 프리랜싱님이 답글을 적어주셨는데, 서브든 스트로크든 공이 임팩트되었을 때 속도랑 네트를 지날 때 속도랑 바운드되고 나서의 속도랑은 현저한 차이가 있다고 했다. 이 말은 속도가 현저히 감소한다는 뜻이다.(공기의 저항때문)

이 말은 다르게 해석해 보면, 임팩트부터 얼마동안은 공이 아주 빠르다는 뜻이다.

이 개념이 연결구와 결정구를 구분하는데 아주 중요하다.
(왜 짧은 공을 만들려고 하는지 알 수 있다)

상대가 임팩트를 할 때,, 우리는 바로 움직이지 않는다.
임팩트후에 어느 정도 날라온 궤도를 보고 판단할 수밖에 없다.

연결구든 결정구든 간에,, 임팩트후에 초반의 속도는 굉장히 빠르다.
짧은 볼은 그만큼 공이 앞에 왔을 때 움직이기 시작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런 공에 반응하기에는 이미 늦어 버린다.
그래서 프로의 경기에서 보더라도 서비스라인과 베이스라인중간정도에서 하는 결정타에 반응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결정구만 날릴려고 하고, 연결구는 느려터진 공만 넣는 사람이
어느 수준이상 올라가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위너를 만드는 매카니즘을 잘못 이해했기 때문에 연습을 잘못된 방향으로 했기때문에 이런 스타일을 고집하는 것이다)

****************

위의 글이 맞다면, 스트로크에서 어떤 연습을 많이 해야하는지도 정해진다.

첫째는 연결구를 길게 보낼 수 있을 것.
둘째는 연결구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연습할 것
셋째는 어떻게 연결구들을 조합하면 찬스볼이 올 것인가 연구해야 한다.
(시중에 나와 있는 책들을 보면 몇 가지 패턴이 소개 되어 있다)
(고수들의 경기에서도 정말 봐야 할 것이 이 연결구의 조합이다)
(여자 경기를 많이 봐도 실제적인 도움이 됩니다)
(페더러의 경기를 보고 있으면, 짧은 공을 받기 위해서 그가 얼마나 노력하는지 알 수 있다. 그는 강하게만 치는 스타일이 아니다. 길게 짧게, 이쪽 저쪽, 상대를 흔들어 댄다. 그러다보면 찬스볼이 만들어진다. 이런 흔들기전법을 그만큼 잘하는 선수도 아마 없는 듯 하다. 이런 흔들기 관점으로 페더러의 경기를 보면 아주 재미나게 볼 수 있다.)


10개 스트로크했을 때 8개는 들어가야 연결구라 할 수 있다.
그렇게까지 할 수 있을까 싶지만,
높은 확률같지만,,
이런 연결구가 3번 연속 인(in)이 될 확률을 계산하면,,
0.8*0.8*0.8 = 51.2%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

위의 패턴이 어느 정도 익히지면,
그 다음은 서브앤발리이다.

서브앤발리를 해 보면, 베이스라인에서 펼치는 플레이에서는 느끼지 못하는 테니스의 또 다른 면을 느낄 수 있다.
서브앤발리를 단식에서 하기 부담스럽다면, 복식에서 먼저 시작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단식에서 서브앤발리가 궁극적인 목표라고 하기는 좀 그렇다.
하지만 스트로크중에도 어프로치샷을 해서 발리로 마무리해야 할 때가 있다.

대회에서 이런 패턴으로 경기를 푸는 고수들이 많은 것을 보면, 이런 패턴이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패턴(랠리중에 기회라고 생각하면 앞에서 발리로 마무리하는 패턴)인 듯 하다.
(하지만, 우선은 베이스라인에서의 플레이에 어느 정도 익숙해진 후에 하는 것이 맞는 순서인 것 같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
 Comment '5'
  • 아소당 08.18 06:25
    아주 유익한 글입니다.
    전 힘도 약하고 스트록도 길게길게 치지 못할 뿐 아니라
    뭐든 한방에 끝낼려고 합니다.
    그게 아직 하수라고 누가 그러더군요.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길게 스트록 하고 10개이상씩 연결하라"
  • 상현 08.18 09:52
    요즘 재미있는 글을 꾸준히 주셔서 잘 읽고 있습니다. 감사 감사...

    한편, 단식에서 아직 베이스라인 플레이가 완성되지 않았더라도 서브앤발리는 권하고 싶습니다.
    그 장점은, 패싱 당하지 않기위해 상대 리턴을 해석하는 기량의 향상,
    좀더 적극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서브의 강약과 코스 조절 능력 향상,
    특히 스플릿 스텝을 비롯한 좋은 몸놀림을 갖추게 되는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 애거시짝퉁 08.18 09:59
    저도 하수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 수준입니다 -_-/

    이런 글들을 읽어도 그 때뿐, 실력향상에도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위의 사람들을 보면, 실력이 늘고 있는 사람도 있고 정체가 되어 있는 사람도 있습니다.(어느 수준이 되면 안 느는 사람이 대부분인 듯 합니다)

    실력이 향상되는 사람들은 다음의 2가지중에 하나를 하고 있었습니다.

    한 부류는 일주일에 3~4번은 테니스를 칠 동호회가 있는 사람..
    이런 사람은 계속 실험을 해 볼 기회가 많습니다. 오늘 어떤 이론을 듣었고, 그것을 경기에서 적용보면 처음에는 잘 안되지만, 매일 적용해 보다보면 나름대로의 감을 느끼게 됩니다. 그 감을 조금씩 향상시키다보면 그 테크닉이 몸에 배이게 됩니다. 일주일에 한번씩 치는 사람은 새로운 테크닉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일주일 지나면 그 감을 잊어버리기때문에 새로운 테크닉을 익히기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한 부류는 레슨을 꾸준히 받는 사람입니다.
    제 주위에서 레슨을 꾸준히 받는 사람들을 지켜보면,,
    실력향상이 바로 되지 않습니다.
    1년정도 레슨을 한 사람은 이제 테니스를 할 수 있는 수준이 되는 것 같고,
    (보통 1년차때는 경기에 참여하질 않는 경우가 많더군요. 경기를 병행하면 더 빨리 느는 듯 합니다)
    2년을 레슨을 하면 제법 잘하는 편입니다.
    그러나 아직 고수라고 하기에는 이른 듯 합니다.
    NTRP로 3.5정도 수준인 것 같습니다.

    레슨에서 가장 실력이 많이 느는 시기가 3년차입니다.
    이 때는 정말 실력이 팍 느는 시기인데,,
    문제는 사람들이 어느 정도 경기를 할 수 있다고 판단해서인지, 2년 이상 레슨을 하지 않는다는데 있습니다.

    이런 분들은 NTRP 3.5에서 멈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간이 지나도 그 자리에서만 맴도는 것 같습니다.
    (NTRP 3.5가 우리 동호인들에게는 마의 벽이죠. 4.0부터가 정말 테니스를 좀 즐기면서 할 수 있는 실력인 것 같습니다.
    3.5까지는 공에 휘둘리는 시기인고, 4.0부터 공을 지배하는 시기이죠)

    어느 정도 실력이 되는데, 더 이상 늘지 않는다면,,
    레슨을 2년 받는 것이(어느 정도는 아니깐 2년이면 될 듯) 최고의 방법인 것 같습니다.

    어떻게 하면 실력향상을 할 수 있을까를 고민을 많이 했는데, 저는 이렇게 결론을 내렸습니다.
    (혼자의 힘으로 실력향상은 한계에 부딪힐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저도 조만간 다시 레슨을 받을려구요 ^^**

    *****

    이런 글들은 읽을 때, "아 그렇구나"라는 느낌이 왔다고 해도 그 때뿐일 경우가 많습니다. 적용을 꾸준히 할 수 있는 여건이 되어야 진짜 실력이 될 수 있습니다.
  • 애거시짝퉁 08.18 10:19
    서브앤 발리를 보면, 특히 스플릿스탭의 감각을 익히는데 도움이 많이 된다는 말을 듣은 적이 있습니다.
    단식에서는 쉽지는 않는 것 같아요. 그량 복식에서 약간씩 하고 있습니다.
  • 애거시짝퉁 08.18 11:38
    프로경기에서 보면 베이스라인에서도 결정구같이 넣어서 위너가 되는 경우도 꽤 있습니다.

    이것은 이렇게 해석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 공이 위너가 될 가능성도 꽤 있지만, 안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위너가 되면 좋고, 안되어도 상대가 없는 구석으로 넣었기때문에(결정구) 상대는 뛰어가서 받아야 합니다.
    그래서 그 다음 공에서 약간 짧게 올 가능성도 많기에 그렇게 리턴되어 오면 그 때 끝내겠다는 의미도 담겨 있습니다.
    즉, 1석2조를 노리고 친 공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테니스 관련 정보,랭킹,엔트리, 생방송 사이트 링크 모음 file
7207 스텝의 종류 4
7206 스트로그시 1
7205 스트로크 공략법(後篇)-월드테니스 발췌 4
7204 스트로크 교환이 단 한번도 없는 경기가 과연 가능할까? 6
7203 스트로크 밸랜스감각익히기// 벽치기에서는 포, 백 한번씩 전환해서 치기..// 전환벽치기
7202 스트로크 밸랜스감각익히기// 벽치기에서는 포, 백 한번씩 전환해서 치기..// 전환벽치기
7201 스트로크 연습(랠리)시 궁금한게 있습니다. 4
7200 스트로크 할때 팔목을 사용하면 안되나요 3
7199 스트로크시 공이 네트까지 오는 시간// 대략 0.6 2
7198 스트로크시 그립에 관하여 1
7197 스트로크시 상대압박지역// 귀(귀뒤나)까지 가야 가능.. 2 file
7196 스트로크시 점프하면서 치는 rationale..// 동호인은 무릎 구부린 상태로 임팩트가 정석..
7195 스트로크시 허리 돌림에 대하여...... 2
7194 스트로크시 허리 돌림에 대하여...... 2
7193 스트로크시에도 상대의 타점을 보는 것도 공을 잘 볼 수 있는 Tip..// 발리에도.. 1
7192 스트로크시의 점프에 관해서.. (황진웅님 보충 답변..) 2
7191 스트로크와 드라이브의 다른점은 무엇인가요? 5
» 스트로크의 1차 목표.. 약간 짧은 리턴볼 // 그 다음 결정구 보내기.. 5
7189 스트로크의 [one circle] 3
7188 스트로크의 적정한 높이는 어느 정도인가요? 6
Board Pagination Prev 1 ...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 781 Next
/ 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