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에 따라 다른,, 풋워크 리듬

Atachment
첨부 '1'



풋워크에 대한 글을 보면, 공과는 관계에 대한 설명이 없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는 공의 바운드와 풋워크의 연관관계를 알아보고,
공에 따라,, 풋워크의 리듬이 달라짐을 살펴봅니다.

페더러를 포함해서,, 대부분의 프로들이..
포핸드 스트로크시 풋워크를 하는 방식에는 주로 2가지의 풋워크를 합니다.
(풋워크의 종류는 많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 2가지만 살펴봅니다)

하나는.. 여유있는 공일 때(포사이드로 1~2m로 올 때)
이 때는 바운드전에 왼발이 풋워크되고
바운드시에 마지막 오른발이 착지됩니다.
왼발-오른발이 따로 한 발씩이라기보다는 다-닥 같이 자동으로 이루어집니다.
오른발까지 풋워크되고 올라오는 공을 여유있게 보면서 스윙준비를 합니다.
이런 상태에서는 공격적인 스트로크가 가능합니다
정지된 상태에서 공을 볼 수 있으니깐요.

하나는.. 여유없는 공일 때..
포쪽 구석으로 오는 공일 때는..(포구석이거나 그보다 약간 안쪽)
바운드시에 왼발이 착지됩니다.
그 후,, 바운드는 올라오고, 그 와중에 오른발을 착지하면서 스윙을 합니다.
당연히 움직이면서 공을 보아야 하므로,, 쉽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이 방식도 너무 많이 사용하기에 꼭 익혀야 합니다.

후자의 방식으로 할 때는..
첫 왼발로 약간 점프를 하는 느낌이 들정도로 길게 풋워크를 합니다.
길게 하므로서,, 이 왼발을 착지할 때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바운드가 됩니다.
그 다음 오른발은 왼발과 정상적인 간격을 유지하면서 스윙을 합니다.

여기에서 가장 익혀야 할 리듬이..
왼발착지시에 바운드가 되고,,
그 후에 바운드가 올라올 때,, 오른발을 착지하면서 스윙을 하는 감각을 익혀야 합니다.
(후자의 경우에도 바운드시에 왼발-오른발이 착지되고, 전자와 같이 정지된 자세에서 공이 올라오는 것을 보는 것이 이상적이겠지만, 절대 그렇게 할 여유가 없습니다. 그래서 어렵더라도 이 리듬을 익숙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 리듬만 정확히 알면 포핸드가 쉬워질 수밖에 없겠지요 ^^**)

**********

아래 동영상에서 몇 가지 더 보면..

왼발 착지시에, 뒷굽치부터 지면에 닿인다는 것입니다.
물론 오른발을 할 때도 뒷굽치부터 닿입니다.

이렇게 하면, 발앞굽치부터 닿이는 것보다..
약간 더 멀리 풋워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좀 더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습니다.


왼발을 풋워크할 때,, 무릎이 많이 구부려져 있어서 그것으로 움직이는 상체의 안정화에 기여를 하고,
그 다음 오른발을 풋워크할 때도 왼쪽무릎을 펴지 않음으로서,, 오른발 풋워크하고 스윙을 할 때
왼쪽이 높지 않음으로서,, 자연스런 스윙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블레이크는 첫 왼발보다 두번째 오른발을 넓게 착지하는데, 약간 예외적인 스타일 같습니다.
다른 프로들은 첫 왼발을 넓게 풋워크하고 있습니다.

***********

출처..정진화테니스교실

포핸드레슨-사이드빠지는 볼 처리 동영상입니다.
하드코트에서 사이드에 빠지는 볼을 오픈스탠스에서  균형(이 균형감각..)을 잘 유지해야 성공적인 포핸드가 됩니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
 Comment '2'
  • 팔로스루 06.29 19:04
    여유있는 공이 올때는
    바운드전 오른발 (뒷발) 먼저 풋워크 되고 바운드시 왼발 (앞발)이 착지되는게 아닌가요...
    확인 부탁드립니다.
  • 애거시짝퉁 06.30 12:26
    네,,
    팔로스루님이 말씀하신 풋워크는 3step을 사용하는 것을 말씀하시는 듯 합니다.
    3step으로 할 때는 왼발-오른발-왼발로 합니다.
    이 방식으로 할 때는 마무리시에 왼발로 하는 것이 맞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방식은 2step(왼발-오른발-스트로크)위주로 설명을 한 것입니다.
    저같은 경우에도 레슨때 3step으로 배웠지만,,
    주로 하는 것은 2스텝입니다. 이것이 훨씬 편하더군요.
    코치분도 가르치기는 3step으로 가르치기는 하나,, 본인들이 스트로크를 할 때는 2step으로 하는 경우가 많더군요.

    그래서 저는 대부분 2step으로 하고,, 특수한 경우에만 3step으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