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킥 서브"를 First 서브로 장착하며. . . ^^*


오늘은 참으로 기분이 좋은 날입니다. . .

고민을 해오던 킥 서브의 감을 잡았고 나에 first서브로 정착을 시켰기 때문입니다.

감을 잡는데 도움을주신 상현님과 서기왕자님께 다시한번 감사를 드립니다.

저는 과거에 독학을할때 혼자서 서브연습을 많이 했었읍니다.

그래서 플렛 슬라이스 탑스핀은 되었지만 킥서브가 되지않아서 고민을 많이했었거든요. . .

이제는 제가 감을 잡았으므로 제가 하고있는방법을 알려 드리려고 합니다.

또한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고수님들의 조언도 얻을려구요. . .^^*

그립은 콘티넨탈이나 백이스튼정도를 잡습니다. . .

백이스튼은 감기는량은 많으나 파워가 부족하고 콘티넨탈은 감기는량은 부족하지만 어느정도

파워가 나므로 저는 콘티넨탈로 선택을 하였읍니다.

준비자세는 리시버가 나에 등을 볼수있도록 완전하게 돌아섭니다.

토스는 왼쪽어깨 뒷쪽으로 약30cm 정도를 보냅니다. 사람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므로 자기가

얼마나 파워를 주기위하여 전진하면서 치는가에 따라서 토스는 차이가 있읍니다.

스윙은 허리를 활처럼휘게하고 볼의 밑으로 완전히 들어가며 손목은 안쪽으로 굽혀져 있읍니다.

임팩트는 볼을 치는것이아니라 볼을 긁어주는 느낌으로 7→1시방향으로 허공을향해 힘껏 밀어치며

두발은 휘어있던 허리가 펴짐과 왼발의탄력과 체중의전진과 위를향한 스윙속도에의해서 지면에서

약간 뜨게되며 앞으로 튀어나가게 됩니다.

볼이 라켓에 맞는소리는 긁히는소리가 분명하게 들려야합니다.(헤드의 바깥쪽 1/4지점에 맞추고)

임팩트시 가장 중요한것은 손목을 사용합니다.안쪽으로 굽혔던 손목을 쫙∼ 펴줘야합니다.

마치 강태공이 낚시줄을 낚아채듯이(방향은 반대이지만). . . 라켓 스피드를 높이는것입니다.

팔로스루는 "ㄱ"자로 스윙한다는 이미지로 어깨를 축으로하여 빠르게 감아주면 됩니다.

왼발착지후 발리를 하겠다면 전진하게되고 수비를 하겠다면 양발착지후 뒤로 한발을 물러나면

킥서브동작은 끝이 나는것입니다.

저의 방법을 기록하였으며 잘못된부분이나 생각이 다르신분은 덧말을 붙여주시면 감사하겠읍니다.

오늘도 즐거운 테니스로 활기찬 하루를 보내세요. . .^^*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
 Comment '17'
  • tenniseye 11.06 14:48
    축하드립니다..뭔가 하나를 [나의 것]으로 만들어 간다는것....참 보람잇고 즐거운 일 이라 생각합니다..더많은 발전이루시기 바랍니다.
  • 마이클 킴 11.06 15:29
    태희님!
    킥서브의 달인 이권엽님의 진정한 라이벌로 발전하실것 같습니다. ㅋㅋㅋ
    부럽습니다.
  • 김진협 11.06 17:23
    세컨드 서브...만인의 고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저도 열심히 해야지요.
  • 김병희 11.06 17:53
    ㅎㅎㅎ
    저도 어제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가장 큰문제점인 서브때문에용....플랫서브는 어느정도되는데 세컨땜시로....ㅎㅎㅎ
    방장님과 마이클님께 감사드리고 다른 이 홈페이쥐에 글을 적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그것에 대한 내용은 내일 밤쯤에 올려드릴께요...오늘 확인을 해보았고 내일 정확하게 다시 한번해보고 말씀드리겠습니다....ㅎㅎㅎ
    ^^
  • 이태희 11.06 17:54
    어찌 이권엽고수님과 비교를 하겠읍니까. . . 우러러볼 자격도 없는 신출내기인데. . .
    암튼 여러분들이 관심을 갖어주시니 더더욱 열심히 하겠읍니다. . . 감사합니다. . .^^*
  • 유재만 11.06 19:24
    부럽습니다. 님의 열정에 박수를 보내드립니다...ㅉㅉㅉㅉ
  • 조종순 11.07 10:24
    축하드립니다. 혹시 내전도 잘 되는지요?
  • 이태희 11.07 12:06
    볼이 정지되어있다고 본다면 라켓의 스트링이 볼의 1시방향을 감고돌아가는 이미지입니다.
    내전은 팔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돌아가는것이죠? 그렇게 본다면 킥서브는 팔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돌아가는데. . . 이런것도 내전이라고 하는지요. . .
  • 이건희 11.07 15:49
    축하드립니다.
    그런데 킥 서브라는게 바운드가 큰 서브블 얘기 하는 건가요?
  • 이태희 11.07 16:00
    단순하게 바운드만 높게된다면 그것은 탑스핀서브 입니다.
    킥서브는 바운드가 크면서 바운드후 옆으로 휘어갑니다. . .^^*
  • 라재주 11.08 00:25
    먼저 축하드립니다.
    부럽네요... 노력을 해도 서브를 해결하지 못해....
    그런데 위의 말씀 중에 컨티넨털이 백핸드 이스턴보다 파위가 더 난다고 하셨는데... 의문이 좀 생기네요. 설명 조금만 더 부탁드려도 될까요?
  • 이태희 11.08 09:00
    제가 생각한 파워는 단순하게 F = m * a 였읍니다.
    질량은 바뀔수가 없으므로 가속도가 바뀌므로 파워가 증가한다고 말씀드린것입니다.
    백이스튼그립은 컨티넨탈그립보다 스핀량이 더 크게되므로 속도는 줄어들수밖엔 없죠. . .
    스핀량과 스피드는 반비례하니까요. . . 답변이 되겠읍니까?
    즐거운 주말에 빗님이 오셔서 테니스님은. . . 못보겠구려. . .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 .^^*
  • 오윤경 11.08 09:02
    이태희님 ! 안녕하세요 .
    웬지 님이 제가 아는 분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테니스에 대한 열정,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 그리고 무엇보다도 최고를 향해 끊임없이 추구하는
    학구적인 자세등 많은 점이 그 분의 이미지와 겹치네요.(단, PC를 능숙하게 활용하신다는 것과 그 분은 이미 고수의 경지였다는 것이 의문임).
    만일 내가 아는 이태희님이라면 ... 큰형님께 깊은 인사 올립니다. 가까운 시일내 뵙게될 기회를 기대합니다

    동명이인이시라면 대단히 죄송합니다. 이해해 주시기를...
  • 이태희 11.08 09:16
    어이쿠. . .
    오윤경 큰형님 ! 꾸벅∼ 인사올립니다. . .
    저는 고수가 아니기에. . . 당연히 동명이인입니다. . . ^^*
    아이고. . . 내 정보란이 비밀로 되어있구려. . . 풀어드리겠읍니다. . . 형님 !
    2차 오프라인때는 뵐수있기를 기대해봅니다. . .^^*
  • 유영기 11.08 11:01
    아이쿠 허리팔다리야~ 어제 말로만 듣던 전설의 퀵서브를 연습해본다고 허리뿌라지는 줄알았습니다.

    태희님의 글을 읽고서리 7시방향에서 1시방향으로(오른손잽이) 토스를 왼쪽 어깨 뒷지점 쯤 올려놓고
    아무리 라켙을 휘둘러도 공끝이 변화가 없는데 뭐가 어케 잘못된 겁니까?
    어깨와 허리만 찌뿌둥하니 아프기만하고... 에 구 구 올림
  • 이태희 11.08 11:13
    참으로 어렵더군요. . . 저도 아직은 되다 않되다 합니다. . .ㅋㅋㅋ
    Key point는 임팩트될때 손목을 이용하여 낚아체듯이 걸어줘야 한다는것입니다.
    그리고 볼의 밑으로 완전하게 들어가야하구요. . .^^*
    처음에는 서비스 라인 에서부터 연습을하시고 점점 뒤로 물러나세요. . .
    그리고 그립을 백이스턴으로 잡으시고 감기는 느낌을 먼저 잡으셔야 합니다.
    느끼는감이 잡히시면 라켓을 조금씩 콘티넨탈로 돌려잡으시구요. . .
    처음부터 휘는량과 바운드와 스피드를 노리신다면 무리입니다. . .^^*
  • 김대진 11.18 11:28
    축하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