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테니스에서 집중력 혹은 멘탈은 무엇이고 어떤 방법으로 강하게 만들어지나?


집중력, 정신력, 멘탈..모두 추상적인 단어들입니다.

 

많은 중계 경기에서 위의 단어 들에 대해 언급합니다..예를 든다면..집중력이 떨어졌다. 멘탈이 흔들리고 있다. 정신력이 약하다 등..

 

그런데 좀 더 깊이 생각해보면 위의 사항들은 금방 생겨 나거나 금방 없어 지거나 하는사항들이 아닙니다. 그렇게 보일뿐이고 실체가 무엇인지도 명확하지 않습니다.

 

방근전까지 경기를 지고 있는 선수가 어느새 멘탈이 좋아져  금새 역전하고 승리를 이어갈 수 있을까요?

 

반대로 멋진 풀레이로 경기를 이기고 있던 선수가 금새 집중력과 멘탈이 약해져서 역전을 허용하는 것일까요?..기술과 체력을 고려하지 않고..  분리하여  생각한다면 모두 꿈같은 이야기일 뿐입니다. 

 

그러나 기술과 체력이  비슷할때 이런 사항들이 승리에 영향을 크게 줄 수 있습니다.

 

집중력, 멘탈, 정신력 등을 추상적인 아닌 구체적인 단어로 표현 한다면.."정리하는 능력" 이라고 표현하는것이 어떨까 합니다.

 

샷과 샷 사이의 정리, 게임과 게임 사이의 정리, 세트와 세트 사이를 정리하는 능력..나아가 이번 경기와 다음 경기에 대한 정리,,,

 

예를 든다면 방금 나의 샷에서 포인트를 내주었다면 다음 샷을 시작하기 전까지 지난 샷에 대한 정리를 하고 다가올 새로운 샷에 대한 준비를 하는것입니다. ..게임과 세트 모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보통 테니스에서 샷과 샷사이에는 16초~25초 정도의 시간이 있다고 분석되고 있습니다. 그 시간 동안 잘못된 사항들에 대한 간결한 정리와 앞으로 올 시간(경기)들에 대한 긍정적이고 자신감있는 준비를 하는 시간이 되어야 합니다.

 

이런 정리가 잘 되면 좋은 멘탈, 집중력,정신력을 가졌다고 말할 수 있을것입니다.

 

동호외 모임이나 전국 대회에 출전하는 경우의 예를 들어...  승패를 떠나 지난 경기들을  되돌아 본다면  "나는 그 16초 동안에 주로 무엇을 했었지" 라고 질문해 보십시오... 대부분의 시간동안 무얼 했나요?

포핸드. 백핸드, 서브, 발리를 했나요?

 

실제로 대부분의 시간동안  볼을 치지 않았습니다. 전체 시합시간의 20-30%만이 실제 플레이에 소요됩니다.

 

나머지 시간은 포인트 사이, 게임 사이, 코트 체인지 사이에 소요됩니다.

많은 테니스 매니아들이 수년간 테니스를 치면서도 코트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지에 대해 많은  생각을 안해봤을 수도 있습니다.

 

일단 " 멘탈, 정신력, 집중력 = 정리하고 준비하는 습관"..이라고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아래 글을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우리가 강한 정신력을 단련하는데 가장 중요한 한가지를 꼽으라면 이는 선수가 포인트, 게임 사이의 interval, 약 16초~25초를 어떻게 이용하는가일 것입니다.

페데러,조코비치, 피트 샘프라스처럼 서브하거나, 휴이트처럼 달리거나, 아가시처럼 포핸드를 칠 수는 없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누구나 톱 플레이어처럼 배우고 할 수 있는 것이 있으니, 포인트 사이의 시간을 사용하는 법과 강한 정신(정리 하고 준비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입니다.
 

 

 

 

 

선수들을 연구해보면 그들이 포인트 사이에 매우 특정한 방법으로 행동하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러한 행동을 우리는 4단계(four stages) 혹은 16초 치료(CURE)라 부릅니다. 그리고 이것이 일관되고 경쟁력있는 운동 능력의 열쇠입니다.

우리의 목적은 자신만의 이상적인 운동 능력 상태에 도달하고 유지하는 것입니다. 4단계는 이런 목적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공인된,  유명선수들이 사용하고있는 기술입니다.

이제 프로선수들이 포인트사이에 강한 정신력을 유지하기 위해 무엇을 하는지 알아봅시다. 

 

1단계는  포인트가 어떻게 결정이 됬건, 그들의 육체는 긍정적으로 행동합니다.

 

당신의 신체 자세는 당신 내부의 감정 상황과 깊은 연관을 가집니다. 훌륭한 선수는 육체적으로 긍정적으로 있음으로써 긍정적인 감정상태를 유지합니다.

프로시합에서 포인트 후 어떻게 행동하는지 보세요. 선수는 포인트를 이기건 지건, 위너를 치건 실수를 하건, 그 반응은 거의 같습니다. 선수는 포인트가 끝나는 순간 명확하고 당당한 행동을 합니다.

그가 훌륭한 샷을 했을 때 그는 자신에게 펌핑을 하거나 상대방에게 굿샷이라는 의미의 신체행동을 보일겁니다.

 

그가 실수를 했을 때는 그는 교정된 스윙을 해보고는 돌아서서 실수했던 장소로부터 멀어질 겁니다, 마치 “문제없어” 말하듯이. 어깨를 펴고, 라켓은 대개 안쓰는 손으로 들고, 팔은 펴서 편하게 흔들며, 고개를 들고, 눈은 전방 아래를 봅니다.

선수는 그가 어떻게 느끼고있건 간에 부정적인 감정에 휩싸여선 안됩니다. 이것이 1단계 (Stage One)이고 긍정적인 육체반응(positive physical response)이라 부릅니다.

여기에 약 3-5초가 소요됩니다.


2단계는 이완(Relaxation)입니다.

이는 지난 포인트로부터 육체적, 정신적으로 회복하기 위함입니다.

선수는 베이스라인을 가로질러 걸어갑니다. 그는 시선의 정밀한 집중을 유지하는데, 흔히 그의 라켓의 스트링에 시선을 집중합니다.  

 

그는 숨을 깊고 고르게 쉬며 그의 심박수를 적정 수치까지 낮추려 노력합니다. 이단계에서 선수는 ‘이완’, ‘진정하자’, ‘괜찮치?’ 등의 간단한 단어 외의 다른 생각을 해선 안되고 그의 호흡에만 집중해야 합니다

 

필요하면 그는 베이스라인 뒤를 걸어다니며 그의 균형상태가 회복되기를 기다립니다.


3단계는 준비(Preparation)입니다.

준비단계는 선수가 서브나 리시브때 플레이를 위한 위치로 이동하며 시작됩니다. 흔히 선수는 이단계를 상태편 코트를 바라보고, 마치 ‘나는 이 포인트를 이길거야’ 라고 말하는 듯한 긍정적인 육체 표현을 보이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이 단계는 다음 포인트를 어떻게 플레이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나는 어디에 서브를 넣을 것인가, 서브엔 발리를 할 것인가, 내가 수행해야 할 특정한 전략적인 패턴이 있는가,

 

예를 들면 상대방의 약한 곳으로 친다든지 짧은 볼이 오면 네트로 파고 든다 등등. 만약에 중요한 포인트라면 선수는 자신에게 공격적으로 치라고 되새기기도 합니다.

만약 그가 특정한 스트로크에서 기술적인 문제를 갖고 있다면 교정된 정확한 샷을 상상해보거나 아니면 그 자신에게 “볼만 보자” 등의 더 단순한 어떤 것에 집중하도록 되새기기도 합니다.

3단계는 선수가 다음 포인트에서의 전략적인, 감정적인 방향을 조절하는 시간입니다. 연습을 통해 선수는 주어진 상황 혹은 상대방에 대해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배우게 됩니다.


이 단계에선 3-5초가 소요됩니다.

4단계는 일정한 루틴 단계입니다.

 

이단계는 플레이 전의 마지막 단계로, 선수가 이완상태를 유지하며 집중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당신이 프로선수들을 보면 당신은 그들이 개개인 고유의 정밀한 루틴..예식(ritual)...을 수행하고 이 예식은 5세트의 힘든 매치 도중에도 거의 벗어나는 일이 없음을 보게 됩니다.

서브시에 예식은 몇 번의 볼 바운드와 그 후 서브모션을 시작하기 직전의 숨돌림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는 성급한 서브를 막아줍니다.

리턴에서 예식은 잔발로 가벼운 제자리 뛰기를 하거나 리듬있는 앞, 뒤로의 스텝을 의미합니다. 예식 단계에는 5-8초가 걸립니다.


4단계를 마치는데 필요한 전체 시간은 최소 16초- 최대 25초( 포인트 사이 허용되는 시간)이 소요됩니다. 이는 그 당시의 상황과 당신 고유의 리듬에 따르게 됩니다.

프로테니스에서 이 4단계를 연습하는 것은 일종의 기본기입니다. 모든 프로선수는 자신만의 고유한 리듬과 예식을 개발합니다.

 

동호인들에게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단지 습관화가 안되고 그동안 너무 추상적으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연습을 통해 위 4단계를  제2의 본능처럼 자연스럽게 하게 된다면  기존의 테니스에서 느끼지 못한 변화들이 찾아올것이라 확신합니다.  

 

아래는 1-5 매치포인트에서 역전승한 나달의 경기입니다..나달은 절대절명의 위기상황을 맞으며  샷과 샷 사이, 게임과 게임 게임 사이에서 에서 무슨 생각(정리)을 했을까요?

 

 

이 글에는 아래 링크에서 부분 인용 및  정리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https://tenniseye.com/BAND/474577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테린이 탈출하기 - 버트 캡(BUTT CAP)만 활용해도 이미 중수 레벨 (ntrp3.0) file
공지 테린이 탈출하기 - 테니스에서 이 스텝(step)만 알아도 수비력 50% 증가한다. file
공지 테린이 탈출하기 - 테니스 양손 백핸드(투핸드백핸드) 완전정복 핵심 몇가지 file
공지 테린이 탈출하기 - 테니스 입문가이드 및 운동효과..테니스 기초 이론과 기술 file
공지 테린이 탈출하기..테니스가 쉽다고요??..어려운 운동입니다.(테니스가 어려운 이유와 첫 레슨의 중요성) 21 file
공지 테니스 그립..이스턴 그립에서 웨스턴 그립.. 하이브리드 그립 file
» 테니스에서 집중력 혹은 멘탈은 무엇이고 어떤 방법으로 강하게 만들어지나? file
48 테니스 발전의 기본 - 스트로크는 충분하다..다리를 써라 file
47 테니스에서 스트록 에러가 많을 때..과도한 무릎 구부림 점검 file
46 풀랫성으로 공을 칠때 에러를 크게 줄이는 방법..스피드는 유지하고 손목을 활용하기 file
45 테니스에서 완성도 높은 자동 수행 을 만드는 4가지 file
44 중력을 창조하는 테니스 - 고수로 가는 길 file
43 땅꼬마 슈와르츠만은 어떻게 정상급 선수가 되었을까? file
42 효과를 볼 수 있는 간단한 테니스 전략들 10가지 file
41 테니스에서 멘탈 유지 및 관리하기,,기술적,전술적 3가지 요소 file
40 복식에서 전위를 이기는 전술중 하나..다운더 미들샷이 좋은 3가지 이유 file
39 동영상으로 배우는 복식 테니스 핵심 사항들 file
38 집에서 연습하는 테니스 풋워크와 체중 이동 file
37 테니스 단식.복식에서 짧은 볼을 위너로 만들기 위한 3가지 팁 file
36 포핸드에서 라켓의 가속력을 만드는 또 하나의 요소 - 반대편 팔의 형태 file
35 테니스 복식에서 발리를 무너뜨리는 진리 샷 - 다운더 미들 file
34 승률 높은 테니스 = 좋은 멘탈로 실패의 공식 극복하기 file
33 페더러의 기술 - 발을 놓는 방법 file
32 테니스 서브를 잘하기 위한 4가지 요소와 스윗 스팟 file
31 테니스에서 발리를 발전시키는 기본 드릴(연습방법) file
30 테니스 로브에 약점을 보이는 경우 체크 포인트 - 공 추적의 핵심은 무게중심 file
29 테니스에서 내전이란 - 서브 와 회내작용 file
28 승리하는 테니스 - 좋은 앵글 샷을 만드는 방법과 훈련 file
27 테니스에서 겨드랑이 간격의 차이가 만드는 타점과 공 파워의 변화 file
26 테니스 스트링 텐션이 낮으면 스트링 베드에 머무는 시간이 길다. file
25 테니스에서 왜 자기 스윙(풀스윙)을 제대로 하라고 할까?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