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니스 스트링 - Signum Pro Poly Plasma vs Tospin Cyber Blue

약간의 엘보우로 인해 부드러운 폴리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위의 두 가지 스트링이 가격대 성능비가 좋은 부드러운 폴리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혹시 2가지 스트링을 다 써 보신분들이 계시면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그리고 저는 멀티 대신 부드러운 폴리를 하이브리드 크로스에 쓰려고 합니다.


혹시 이렇게 써 보신분들 계신가요?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TAG •
?
 Comment '5'
  • HucK 05.06 22:57
    음~ 다행이 제가 사용하는 것과 사용해 본 것이네요. 저는 폴리 중에 알루파워 러프를 계속 사용하다가 SPPP(16)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알루파워 러프가 너무 하드하다는 느낌과 너무 비쌌기 때문에 SPPP로 바꾸게 되었습니다. SPPP는 알루파워 러프에 비해 부드러운 맛이 있지만, 확연히 나는 차이는 아닌듯 합니다. 같은 폴리계열중에서 SPPP가 가격대비 괜찮다고 하여 바꿨는데, 나쁘지 않아서 닐로 사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던중 폴리계열의 다른 것은 어떨까하여 TCB를 포함한 여러 폴리계열을 시도봤는데(TCB, 2회사용_2-3개월정도) SPPP가 더 낫다는 막연한 느낌만 받았습니다. 구태여 SPPP에서 TCB로 바꿀 필요가 없겠다로 결론 내렸습니다. 사실 저도 예민한 편인데, 큰 차이를 느낄 수는 없었습니다. 만약, 느꼈다면, 스트링에서 오는 차이보다 그 외적 변수(그날의 컨디션, 날씨 등등)에서 오는 편차가 더 클 수도 있었을 정도라 생각됩니다. 결론드리자면, 둘은 큰 차이가 없다, 난 개인적으로 SPPP가 더 좋았다 정도입니다.

    저는 폴리풀잡으로 텐션은 60lb로 합니다. 조아님께서 같은 폴리계열의 다른 것으로 메인(하드?)과 크로스(소프트?)를 하신다고 하셨는데, 얼마만큼의 차이가 있을지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엘보우를 말씀하셨는데, 저는 6개월이상 엘보우로 무지 고생하였지만, 폴리풀잡을 포기하지도 텐션(60lb)을 포기하지도 않았습니다. 폴리계열의 스트링과 강한 텐션이 엘보우를 유발할 수도 있겠지만, 그것이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분들이 제가 폴리풀잡에 텐션 60lb이라고 하면, 엘보우에 무리가 되지 않냐고 하시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고 말씀드립니다(라켓도 90사이즈를 사용하고 있는데도 말이죠).

    참고하실것은, 스트링의 느낌에서 고려해야 할 것이 텐션도 무시 못할 듯 한데, 저는 위에 말씀드린 기간동안의 텐션은 60lb였습니다.
  • 201 05.07 00:34
    HucK 님, 조심스레 여쭙니다. 알루러프 풀잡으로 하셨을때에도 60 lb 로 하셨었는지요? 그리고, 그때에도 엘보에 전혀 영향이 없으셨는지요? (궁금해서 여쭙니다.오해마시길..)
  • HucK 05.07 00:49
    네, 201님. 엘보우로 6개월 고생하고 난 후 알루파워 풀잡 60 파운드로 했는데, 전혀 이상없었습니다. 전혀는 100%는 아닌 듯 하지만, 95% 이상이며 5% 정도는 스트링에서 왔다기 보다는 다른 영향(스윙의 문제, 임팩트의 문제 등등)에서 왔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전에도 다소 그런 느낌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지금도 가끔 엘보우가 뻐근하다고 해야 할까요 그런 느낌이 아주 가끔 있습니다만 테니스를 즐기기에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예전에 워낙 심하게 엘보우로 고생을 했던지라, 나름의 근력운동을 조금씩하고 있습니다. 엘보우가 오더라도 이젠 두렵지 않습니다. 열심히 근력운동만 하면, 생각보다 쉽게 좋아질 있다고 생각합니다(경험에 의해).
  • 테니스조아 05.07 01:55
    Huck님 감사합니다. 저도 현재 KFactor 90(미국버전이라 무겁습니다) 쓰고 있습니다. 현재는 MSV Focus-Hex, 52로 풀쟙을 해서 쓰고 있는데요 이 녀석도 약간 무리가 오네요. 또 다른 라켓은 KFactor KZen인데 메인 알루파워 러프+ 크로스는
    Topspin Cyber Flash 둘 다 56으로 묶어서 쓰고 있습니다. 역시 근력운동이 더 우선인가요? 아 고민되네요. 다른 분들은 대부분 텐션과 스트링의 종류가 엘보우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시던데. 그리고 어떤 근력을 하시는지 Huck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HucK 05.08 00:44
    제가 예전에 여기 어딘가에 올린 글이 있는데, 나름의 근력운동을 하기는 하지만, 그리 많이 하는 편은 아닙니다. 아는 분은 다 아시는 방법일 수도 있고요. 여성용 머리끈, 테니스 약간 바람 빠진 공, 헤드가 나름 무거운 툴 (파이프렌치같은), 덤벨로 운동하면 정말이지 테니스 엘보우, 골프엘보우는 안녕입니다.
    그리고 스트링과 그 텐션에 따라 엘보우에 영향을 많이 미친다고 하시는 분들이 많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물론, 제가 말씀드리는 것이 반드시 옳지 않다는 것도 알고 있고요. 하지만, 제 입장에서는 동의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뭐~ 개인적인 것일 수도 있겠지만, 폴리풀잡으로 텐션을 강하게 매시는 분들이 대부분 엘보우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인데, 사실 그렇지 않은 분들, 테니스를 즐기는 분들의 대부분이 사실 엘보우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테니스 엘보우란 우리가 그간 어쩌면, 거의 사용하지 않는 근육을 과도하게 사용함으로 생기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스트링과 그 텐션이 영향이 미친다고 보기 보다는 테니스 자체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테니스자체에 스트링과 그 텐션이 포함되겠지만 말이죠). 거기에 스트링과 텐션의 변화가 아주 살짝 가해지면서, 그 증상이 나타나다 보니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아주 개인적인 견해니 여러분의 오해를 사기가 좋을 듯 합니다만, 그냥 한번 읽고 잊어버리시길 바랍니다. 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테니스 관련 정보,랭킹,엔트리, 생방송 사이트 링크 모음 file
2347 테니스 스타 이형택 지도자로 나서 11 file
2346 테니스 스텝...오른발에 대하여 6
2345 테니스 스텝..풋워크 연습방법 file
2344 테니스 스트로크 연습 - 벽의 같은 지점 5번 연속
2343 테니스 스트로크시의 점프에 관해서.. 5
2342 테니스 스트록..바운드 높은 공을 못치겠어요. 테이크 백이 느려요 ㅠ.ㅜ 1
2341 테니스 스트록의 기본,,유닛턴,,몸통 회전,,허리 회전이 중요
» 테니스 스트링 - Signum Pro Poly Plasma vs Tospin Cyber Blue 5
2339 테니스 스트링 - 텐션 1
2338 테니스 스트링 교체 가격은? 4
2337 테니스 스트링 덴스 패턴과 오픈 패턴 비교 부탁 6
2336 테니스 스트링 매는 방법 알려주세요~ 2
2335 테니스 스트링 새로 매는 방법,,주의사항
2334 테니스 스트링 수리..원주에서 잘하는곳
2333 테니스 스트링 적정 텐션을 찾아서
2332 테니스 스트링 종류에따른 텐션차이
2331 테니스 스트링 질문 1
2330 테니스 스트링 패턴 비교 문의 2
2329 테니스 스트링(거트) 교환시기
2328 테니스 스트링.. 퍼펙트 네추럴 거트 출시하였습니다.
Board Pagination Prev 1 ... 654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666 667 668 669 670 671 672 673 ... 781 Next
/ 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