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전위는 전후좌우로 빠르게 움직여야...

전위는 전후좌우로 빠르게 움직여야...

자신의 파트너가 서브를 넣을 때 전위는 네트 앞에서 그대로
움직이지 않고 서 있는 사람들이 있다.
전봇대를 세워 놓은 것처럼 전혀 미동도 없이 그 자리에 서
있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전위가 움직이지 않으면 상대는 볼을 치기가 아주 쉽다.
전위의 몸 쪽으로 볼을 쳐도 전위는 그 볼을 막으려고 하는
의도가 전혀 없다.

네트 앞 전위가 가장 바쁘게 움직여야 하는 사람이다.
그런데 전혀 움직이지 않고 자신 앞으로 오는 볼만 받는다고
하면 이미 게임을 포기한 것이나 다름없다.
전위는 쉬지 않고 움직여서 상대가 볼을 치는데 방해공작을
해야 한다.
과감한 포치를 해서 볼의 길목을 차단해야 한다.

포치를 할 때 날아오는 볼에 대해 어떻게 이동하고 있는가?
‘타이밍을 맞추기가 어렵다. 실수가 많다.’는 사람은 대부분 옆으로
달리는 경우가 많다.
포치는 옆이 아니라 비스듬히 앞으로 대시해야 한다.
그렇게 하면 날아오는 볼과의 거리가 짧아져 타이밍을 잡기 쉽다.
또 앞으로 다가감으로써 상대에게 위압감을 줄 수 있다.

포치의 목표가 되는 것은 상대가 크로스로 치는 볼이다.
상대 후위가 센터에서 치는 볼은 대개 크로스로 날아온다.
반대로 상대가 사이드에서 치는 볼은 스트레이트를 겨냥하기
쉽기 때문에 포치 보다는 스트레이트를 지킨다.
또 상대가 앞으로 나오면서 칠 때에는 강한 패싱샷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포치를 시도하지 않는다.

포치는 항상 좌우로만 움직이는 것으로 생각한다.
물론 포치를 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움직이는 범위는 좌우이다.
그러나 전후도 움직여 포치에 가까운 스매시나 강력한 발리로
상대를 제압해야 한다.
상대는 볼을 크로스로 치다가 몇 번 포치를 당한다면 센터,
스트레이트 및 로브를 올릴 것이다.

주로 크로스 볼을 많이 치지만 때로는 스트레이트나 로브를
올리도록 유도를 한다.
스트레이트를 치도록 상대가 치기 전에 몸을 움직여 포치하러
가는 동작을 취하면 상대는 볼을 빼기 위하여 스트레이트를
날릴 수 있다.
이 때 바로 포치로 포인트를 딴다.

네트 앞에 바짝 다가가면 상대는 로브를 올리고 싶은 충동을
느낄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상대가 로브를 올린다고 예상을 하고 바로
뒤로 몇 걸음 물러나서 로브로 올라온 볼을 그대로 스매시로
결정을 낸다.
좌우뿐만 아니라 전후도 많이 움직여야 한다.

자신의 영역으로 온 볼은 가능하면 자신이 처리한다.
게임 중에 자신의 머리 위로 넘기는 볼에 대해서는 파트너에게
전부 받으라고 하고 자신은 피한다.
물론, 특수한 경우에 파트너가 받기 쉬울 때는 당연히 파트너가
받아야 하겠지만 자신이 받을 수 있는 볼은 커브를 한다.

깊고 강한 볼을 치면 찬스 볼이 온다.
스트로크 랠리 중 베이스라인 부근까지 날아가는 깊고 높게
바운드 되는 볼을 치면 상대 리턴은 약하게 돌아올 가능성이 높다.
이 볼이 상대의 백 쪽으로 가면 더욱 효과적이다.
상대로부터 위력이 없는 약간 뜬 볼이 오면 포치의 찬스이다.

게임의 시작, 부담감이 있는 상황은 포치의 찬스이다.
반드시 생각해 두어야 하는 것이 게임의 첫 포인트나 40-30,
듀스 등 게임이 치열할 때는 꼭 포치를 시도해본다.
중요한 상황에서는 상대도 그만큼 에러를 하지 않기 위해
무리수를 두지 않는다.
그만큼 크로스로 리턴해올 가능성이 높으므로 절호의 포치
찬스가 된다.

전위가 포치를 시도하여 50% 이상의 확률이라면 반드시
포치를 시도하는 것이 좋다.
몇 번 포치를 시도하다가 에러를 한다고 해서 파트너에게
미안하여 포치를 멈추면 게임을 포기한 것과 같다.
전위는 네트 앞에서 상대를 괴롭혀야 하고 귀찮게 하는
것이 승리를 하는 지름길이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 ntrp 06.06 20:22
    50대60대가 주축인 클럽에서 30대40대의 젊은 사람이 공을 친다는건 젊은 사람한테는 참으로 힘든일인듯 싶습니다. 동년배나 비슷한 실력의 다른 사람들과 게임을 하면 에러도 많이 하지 않으면서 참 잘한다는 소리를 듣는데,

    클럽에서 50대60대분들과 게임을 하다가 에러라도 한번 하면, 온갖눈치에 잔소리에..스윙이 소극적이 되고 에러는 더욱늘고..잔소리는 더욱더 해지고..악순환이 되고...
    게임을 할 수록 실력이 느는게 아니라 오히려 줄어드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실력이라는게 풀스윙과 정확성이 증가하는것이라고 하면, 스윙은 반토막이 나고 그저 통통볼로 에러나 안나게 하는 형국이 되니..
    게다가 가끔은 잘못된 이론을 강요하는 분들도 있고..이럴때도 난감하더군요..

    테니스는 편하게 칠 수 있는 사람들과 편하게 쳐야 운동하는 재미도 느끼고 실력도 늘고 하는것 같습니다. 요즘에는 내가 왜 회비를 내면서 불편한 사람들과 실력향상에 도움도 되지않는 테니스를 하고 있는걸까 가끔 생각이 들기도 한답니다.
  • 정동화 06.06 22:25
    게임을 누구와 하느냐는 아주 중요합니다.
    가능하면 자신보다 고수와 게임을 많이 할수록
    실력향상에는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자신이 게임을 하는 환경은 자신이 만들어
    갈 수 있는 것입니다.
    일단은 즐거워야 하고 사람들과의 좋은 관계가
    유지되어야 하고 다음은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건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자신이 좋은 분위기와 여건을 만들어 가세요. |+rp+|3057
  • 초코비치 06.07 15:15
    특히 상대 리턴에 대한 포치는 본인만이 아는 테니스의 또 다른 즐거움이자 잊지 못할 손맛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정동화님이 쓰신것 처럼 확률이 50%일때도 적극적인 포치를 할 수 있는 멘탈을 가진 분이라면 (특히 시합에서) 정말 고수가 아닐까요? 아니면 파트너가 친동생?

    정말 공감이 되는 글입니다. 한번씩 살짝 슬럼프에 빠질때 이런 글을 읽으면 신나고 기분이 좋아집니다. 머리속으로 포칭을 하는 나의 모습을 상상하면서...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 파랑새 06.10 11:00
    오늘의 경기 종합 : 반타작 정도. 오늘의 연습 : 빨리 움직이면서 포칭...절반 이상 성공. 재미 있었습니다. 역시 게임은 생각을 하면서 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고 재미가 있습니다.
    무대뽀로 치기만 하면...안되지요...벽치기하는 고수...상대 전위에 다 걸리고...백 드리이버 다 퍼내고...포 강타 또 오바....결국 패배...고수가 되기 위한 본인의 연습일지는 모르겠지만, 게임은 졌지요....폼 잡다가 집니다....오늘의 교훈...조금은 겸손할 줄 알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