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품격 높은 동호인대회를 원한다.

품격 높은 동호인대회를 원한다.

지역대회이건 전국대회인건 후반기 동호인대회가 정말
많이 개최되고 있다.
각 지역을 대표하는 브랜드 상품 같이 우후죽순처럼
대회가 생겨나고 있다.
그런데 대회에는 신인부와 일반부[골드부, 위너스부 등]로
나누어 개최된다.

여기서는 신인부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 보고 싶다.
진정으로 우리 동호인들은 품격 높은 대회를 간절히 원한다.
신인부에서 우승과 입상을 하는 선수들을 한번 상세하게
조사해 보길 바란다.
주로 나이에 풀려 내려온 우승자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우승자가 나이에 풀려 나오는데 이 나이가 50세라니
50세가 되면 그래도 한창 나이이다.
그런데 이런 선수들이 나이에 풀려 대회에 나와 얼마나
많은 새싹들을 짓밟는지 알아야 한다.
준우승만 전문으로 하는 선수들도 있다.
이것이 진정 문제이다.
준우승만 거의 10번을 하고도 또 이 대회에 출전한다.

그러면 이런 선수들 때문에 대회에서 성적을 한번 내
보려고 출전하는 선수들은 입상문턱에 가 보지도 못하고
좌절되고 만다.
우승자는 우승자이다.
우승자는 우승자들끼리 개최되는 대회에서 놀아야 한다.
왜 우승자가 신인부에 와서 왕 노릇을 하려고 하겠는가?

먼저, 우승자 대회에서는 성적을 내기가 쉽지 않다.
둘째는 상금에 탐이 난다.
셋째는 신인부에서 하는 게임이 한결 쉬우므로 어린
양들을 데리고 놀기가 좋다.

가장 중요한 것은 상금이다.
신인부에서는 우승 상금만 대폭 인상하고 준우승부터는
상금을 대폭 줄여 아주 적게 주면 된다.
그렇지 않으면 신인부 입상자 이상은 신인부에 출전을
금지시키면 될 것이다.
이렇게 간단한 해결방법을 왜 채택을 하지 않는지 모르겠다.

몇 주 전에 끝난 대회에서 준우승 전문 선수를 보았다.
결승까지 올라가면서 우승 후보자들을 차례로 꺽고 승리했다.
우승을 하리라고 생각을 했다.
탁월한 기량이고 덤빌 상대가 없는 팀이었다.
그런데 결승전에서는 6:0으로 가볍게 지고 나온다.
이 선수에 대하여 동호인들은 말이 많았다.

도대체 “신인부가 뭐냐? 차라리 신인부라고 하지 말던지.”
동호인들의 불평을 하는 소리는 하늘을 찌른다.
이 선수는 준우승만 하는 전문선수였던 것이다.
거의 10번 이상을 준우승만 했다.
이런 대회가 왜 있는가?
우리는 품격 높은 대회를 원하고 동호인들이 활성화 되는
대회를 갈구한다.

다음은 우승자 대회에 나가면 예탈을 하거나 본선 1-2회전에
패하기 때문에 재미가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신인부에 출전하여 자라나는 선수들의 싹을
잘라서야 되겠는가!
우승자는 우승자들 간에 맞붙어야 제대로 승부일 것이다.
우승자가 우승을 또 하고 싶은 욕심은 이해가 가지만
신인부에서 뛰는 선수들의 마음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자신의 욕심 때문에 얼마나 많은 선수들이 고통에
울어야 하는지는 모르는가!
제발, 신인부 대회는 우승자들을 출전을 금지시켰으면 한다.
어떤 지역에서는 나이에 풀려 내려와서 하는 대회는 없앴다.
한번 입상자와 우승자는 다시 그 대회에 출전을 못하게 했다.
이런 대회 규정을 만들어 전국에 사용해야 한다.
신인부에서 우승 또는 입상을 하면 두 번 다시 신인부에
와서 대회에 출전하면 안 되게 규정을 만들어야 한다.

이는 테니스 저변 확대와 동호인들의 활성화 차원에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많은 인구가 테니스를 찾고 테니스 대회에 나가는 즐거움도
만끽하고 입상자와 우승자를 배출하여 선수 순환도 빠르게
해야 할 것이다.
분명, 품격 높은 대회를 개최하길 간절히 소망한다.
이는 저 혼자만의 생각이 아니다.
신인부에 속해 있는 전 선수들이 공감을 할 것이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 쌍기공 09.17 09:48
    정동화교수님 반갑습니다. 저는 김해에서 테니스와 함께 살아가는 순수동호인입니다.
    교수님의 글을 읽고 눈물 나도록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도 몇년 전부터 신인부 우승자 출전금지에 대한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방법은 많은데 대회주최측에서 하지 않는것은 많은 신인 동호인들이 현실을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이문제는 테니스 저변확대에 큰 걸림돌이 되리라 생각합니다.지금 서서히 동호인들이 인식을 하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저 또한 신인부에서 입상권은 엄두도 못내는 실력이지만 많은 신인동호인들을 위해서 나도 우승할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고 도전정신을 심어주기 위해서는 반드시 시행되어야 하는 과제입니다. 많은 동호인들이 이글을 읽고 함께 동참하기를 바랍니다.
  • 쌍기공 09.17 09:57
    타 종목은 1부~5부까지 실력에 맞는 대회를 열고있습니다. 유독 테니스대회는 일반부와 신인부 크게 두종류의 대회가 있습니다. 타 종목에 따라길 필요는 없지만 통상적으로 금배,은배,동배로 나누어 금배대회는 일반부 16강이상. 동호인지도자. 연식선수출신까지 참가 은배는 신인부우승자. 신인부준우승3회자 금배부 16강이하까지 참가 동배는 금배.은배 대회에 해당되지 않는 동호인 모든 입상경력은 년도물문으로 하고 랭킹 관리도 테니스코리아에서 일관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만들고 타 단체 입상경력도 인정하고 뭔가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으면 앞으로의 생체테니스는 몰락 하리라 생각합니다.
  • 쌍기공 09.17 10:02
    우리모두 한번 더 생각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정교수님께 정말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계속 이 운동을 해주시리라 믿고 저도 열심히 이 운동에 동참하고 많은 동호인들께 전파를 할 것입니다. 감사합다.
  • 도계호 09.17 14:14
    이제 우리나라도 경제가 나아지고 취미활동이 증가하므로,,,우리의 현실에 맞는 테니스 문화가 성숙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스포츠를 하면서 지기싫은것이 사람의 마음이지만 정정당당히 잘 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나다.....
  • 정동화 09.17 16:29
    쌍기공님! 도계호님!

    좋은 의견에 감사를 드립니다.
    실제 동호인들은 이런 내용을 공감하는 분이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와 같이 모순된 대회규정을 재검토해 달라는
    의견을 많이 내어 보았습니다.

    그러나 그 반응에 대한 대답이 없습니다.
    어떠한 조치 또는 해결방법을 찾아서 동호인 다수가
    원하는 방향으로 정리를 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 쌍기공 09.17 20:37
    우승자는 단 한명인데 우승상금이 많다 하여 모두가 우승을 향하여 달려드는 많은 신인동호인들 정말 도전정신이 대단한 것입니다. 하지만 우승은 고사하고 예탈에 본선1.2회전에서 짐을 챙겨야 하는 많은 신인들 과연 무엇이 문제인지 곰곰히 생각을 해봅시다. 내가 실력이 없어서가 아닙니다. 한번 우승자가 다시 신인부에 참가할수 있는 길이 있기때문입니다. 차라리 신인부라 하지말고 일반부대회라고 하면 수령에 늪에 빠지지는 않겠지요.
  • 쌍기공 09.17 20:40
    정동화교수님 정정당당한 대회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해주시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저또한 이문제가 해결될때가지 노력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