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되새김질(마땅한 수순?)

오늘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데 이제 많이 좋아졌으니 다음주부터는 하루걸러씩 오라고 했다.
종일 집안에 콕박혀 빈둥거리던 사람 그나마 등떠밀어 집밖으로 내쳐주던 고마운 일이
갑자기 반토막이 나버리고나니 귀찮은 일 줄었다고 좋아해야할지 허전&섭섭해야할지
어쩌면 많이 좋아졌으니...하는 말 다음에 이젠 그만와도 좋다는 성급한 기대를 했다가
더 실망스러운건지도 모를 일이다.

근육이란 게 머리카락 자라듯 시간이 지날 수록 들쭉날쭉이 되는지
평소 알게 모르게 자주 썼던 방향으로는 제법 힘이 전달되어 별 무리없이 움직여지지만
그렇지 못한 다른 방향으로는 그간의 재활노력에도 불구하고 좌절감이 들 정도로
오그라든 근육이 여전히 펴지질 않고 굳어있어 뻣뻣하고 움직이기 조심스럽고 어색하고 땡기고 아프다.

얼마전 어떤 글을 읽으니 사람이 행복을 느끼는 정도는 타고난 것이라고 한다.
거액의 복권에 당첨된 사람도 초기의 희열감이 사그라들고나면
행복감을 느끼는 정도에 있어 복권당첨 이전과 큰 차이가 없고
반대로 엄청난 사고나 재난을 당해 심각한 장애나 재산상의 피해를 입은 사람도
시간이 지나 자신의 불운을 받아들이고나면 횡재를 한 사람과 별반 다를 게 없다한다.
얼핏 행복이 DNA에 각인된 생물학적 결정론에 좌지우지되는 것으로 들릴 수도 있지만
뒤집어 생각하면 그게 다 마음 먹기 나름이란 얘기가 아닐까 싶다.
물론 이렇게 저렇게 마음 먹어지는 것도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이긴 하지만....

이번에 치료를 전담해준 물리치료사와는 단골병원을 바꾼 바람에 꼭 삼년만에 재회였는데
나 때문에 페더러를 알고나서 스포츠뉴스에서 페더러가 나오면 괜히 반갑고 관심이 가졌지만
테니스를 배우지는 못했다고 하며 다소 미안해하는 기색이었다.
매일 재활을 받다보니 서로 자기얘기를 조금씩 나누게 되었는데
난 전처럼 일방적으로 테니스전도를 하는 대신 그녀가 하는 말에 더 귀를 기울였다.
그래서 그녀가 아름다운 외모만큼이나 정 깊고 마음도 고운 사람이고  
남편은 학교 때 만난 가난하지만 신앙심이 깊은 사람으로
이 젊은 부부는 적어도 세속적인 조건을 따져 결혼하지는 않았고
그래도 아주 행복하게 살고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테니스가 주었던 즐거움 때문에 내가 타고난 마음 상태보다 전반적으로 더 행복하긴 했었지만
그로 인해 겪었던 춥고 어둡게 느껴지는 기억도 중간중간 없지 않았으니....
아니다! 너무 많았던 것같다.
슬픔, 고통, 쓸쓸함, 살벌하고 황당함, 번민, 다 팽개치고 멀리 떠나고 싶은 충동, 헛헛함,
겁 많은 개가 더 요란하게 짖어대듯이
열등감에 시달리면서 동시에 턱없는 우월감으로 이를 모면해보려 했었나보다.

아마 지금의 나에게는 복귀에 대한 불안감이 마음을 제일 어지럽게 만드는 주범일 게다.
최선을 다해 앞만 보고 뛰어도 노화라는 반대로 내달리는 길 위에서 제자리 뛰기도 바쁘고
같이 공치는 아줌마들도 뒤처질세라 죽어라 내닫고 있는 판국이다보니
덜컥 넘어지거나 썰매가 뒤집혀 실격처리된 동계올림픽 선수들을 보면서 내 처지가 떠올랐고.....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 금계 03.09 13:32
    참 고맙습니다
    펜이 무기보다도 더 힘이 있다는 어느 문인의 이야기를
    어릴대 들은 기억이 있는데
    혜랑님의 글을 볼때 그 생각이 향상 나네요
    항상 건강하시고
    앞으로도 좋은글 써 주시길 바랍니다
    정말 글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향상 생각나게 하시는 혜랑님
    쾌차하세서 좋은글 정말 테니스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분발, 희망을 주는 이야기를 써 주실날를 기다리겠읍니다
    어쩌면 보름 , 한달만 기다리면 되겠지요
  • 이해조 03.11 14:30
    오늘 가입했습니다. 최혜랑님의 좋은 글과 회원님들의 댓글을 감동 깊게 읽고 용기를 내었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 최혜랑 03.14 08:30
    요즘 제 글이 너무 우울한 것같다는 후배 말도 있고해서
    저도 분위기 좀 띄우는 글을 쓰려고 애는 좀 써보았습니다만 현재로선 잘 안되네요.
    며칠 전 심심풀이삼아 테니스공을 양손으로 튕겨보았는데 재미도 있었고 마음이 흡족했었습니다.
    왜냐하면 단체레슨하던 초보시절 코치님이 테니스공 갖고 자주 놀아야 공도 는다고
    그 비슷한 동작을 시키셨었는데 그땐 양손으로는 커녕 한손으로도 몇번 못 튕겼었거든요.
    언 공처럼 잘 안튀는 요즘의 저를 쬐끔만 더 참아주시면 언젠가는 글쎄 날 좀 풀리면 다시 방방 튀(뛰)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