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문)서비스 리턴시 로빙을 하면...???

서비스 리턴시 로빙을 하는 것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 하나요 ?
포핸드 쪽으로 공이 오면 로빙을 안 합니다. 그냥 리턴을 합니다.
백핸드 쪽으로 공이 오면 거의 로빙을 합니다. 백이 약하거든요
그래서 겨우 공을 맞추는 식이고 그러다보면 자연 로빙이 됩니다.
정규 레슨 출신이 아니라 혼자 연습한 검정고시 출신이라 서비스를
대~충  받아 넘깁니다. 단점은 리턴 공이 느리고 뜨는 경향이 있어
포칭을 당하기도 하지만요 포핸드는 그냥 잘 받아 넘기는 편이고요.
백핸드는 솔직히 약합니다. 그냥 공 맞추기 급급하다고나 할까요
그러다보니 자연적으로 로빙성 리턴이 됩니다 비록 정규 레슨 출신은
아니더라도 백로빙은 거의 잘 들어가는 편입니다.
그런데 상대에서 첫 서브부터 로빙한다고 살짝 짜증을 내거든요
고수님들의 표정이 별로 안 좋아 보이거든요. 솔직히 제 생각은요

백으로 서브를 넣지 말든지 넣었으면 어떻게 받던 내 맘인데...
정성스럽게(?) 받아 넘기면 아직은 초보라...상대 전위한테 바로
걸리게 되고 그러면 스메싱으로...그믄 우리편 고수 얼굴 일그러지고...
어려워요 어려워, 그래서 차라리 그냥 로빙해 버립니다.
괜찮다고 생각을 합니다만...얼른 실력을 키워야지...하하하하하...
로빙 이것도 전략이 아닌가요 ?

처음부터 계속 로빙을 하는 것은 아니구요. 어쩔 수 없을때 하는데...
그리고 초보자들은 자연 로빙이 잘 되잖아요.
사실 어설픈 로빙으로 상대 기분 맞추어 준 적 많거든요.
스메싱으로 스트레스 풀때는 웃다가도 로빙으로 키를 넘겨 한번 뒤로
뛰고 오면 에~이 하는 그런 소리가 들리거든요...
로빙...괜찮지요 ? 서비 리턴 백 서브 리턴 로빙 어케 생각 하시는지요 ?
고수님들의 고견을 부탁 드립니다....캄사.*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
 Comment '5'
  • 마징가Z 10.31 23:53
    전략적으로 로빙을 하신다니 파랑새님이 고수보다 더 고수님이신데요^^

    "스메싱으로 스트레스 풀때는 웃다가도 로빙으로 키를 넘겨 한번 뒤로
    뛰고 오면 에~이 하는 그런 소리가 들리거든요..." 부분이 압권입니다.ㅎㅎㅎ

    저또한 탑스핀 서브로 올때 백핸드 탑스핀 로브를 가끔 사용합니다.
    백핸드 탑스핀 드라이브로 리턴할때보다 기분이 더 짜릿하던데요^^;;
    특히 복식경기에서 로브를 하는것은 하나의 전술입니다.
    전국 동호인 대회를 관람하면 로브 일색입니다.

    앞으로 백핸드 훈련도 열심히 하셔서 다양한 기술을 갖추신다면 파랑새님께서
    지금보다 더 즐거운 테니스를 하실겁니다.
    재미있는글 잘 읽었습니다.
  • 주엽 10.31 23:55
    깊건 얕건 로빙이 와서 스매시 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기를 바라는 사람도 많은데...^^;;
    아마도 상대편 고수라는 분들이 '에이'라고 한 것은 ...잘 처리를 하지 못한 자신에 대한 질책이거나 삑사리?라고 생각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필요할 때 적절한 로빙..좋은 전략이죠~^^

  • 全 炫 仲 11.01 09:16
    리턴하는 사람이 여유있게 로빙을 잘하는것도 큰 장점입니다.

    서비를 넣는 사람이 강하고 리턴하기 어렵게 서비스를 넣지 못한것을 탓해야지 로브를 했다고 탓하는것은 앞뒤가 바뀐상황이네요^^.
  • 高蘭 11.02 18:12
    혹시 백으로 오면 무의식적으로 슬라이스를 치시지 않으신가요?
    밀지 않고 깍기만 하는 슬라이스는 가끔 무시무시한 로브로 변신하구요.
    저도 초보라서 백으로 오면 주로 드라이브 리턴을 하긴 하는데,
    가끔씩 드라이브가 불가능할때 무의식적으로 깍는 슬라이스 리턴이 되서 결과적으로 로브가 올라가거든요. ^^*
    요행이든 실력이든 로브 코스가 절묘하면 그것도 하나의 경기지요.
    상대방이 화내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농담조로 "일부러 이렇게 친 거 아니지?"라고 할 수는 있겠지만요.
    혹시 제가 말하는 깎는 슬라이스성의 로브가 아니라면 죄송합니다. ^^*
  • 김종덕 11.29 20:49
    테니스는 공간 스포츠이지요 경기장이 폭과 길이 규정은 있어도 높이의 규정은 없지요 이 제3의 공간 높이에서
    오는 공간활용이 고수일수록 능숙해 집니다 농담삼아 하는 이야기가 동배조는 스토록사움 은배조는 발리싸움 금배조는 로브싸움이라고 하지요 로브는 코트내의 상대방 움직임과 공을 잡아서 칠수잇어야 구사가 가능한 공이지요.물론 공이 아주 빠르고 강력하다면 로브는 거의 구사하기가 힘들지요..잘하시고 있는것 같은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