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테니스 라켓 선택관련 정보의 의미와 해석..[댭변]


음~~일단 질문이 엄청난 내용의 답변을 요구하는 것이네요.^^


간단히 답하기에는 너무 부실하고 자세히 답변하기에는  그 양이 너무 방대하고 복잡하네요.

일단 결론부터 얘기드리자면

1.무게
2.라켓 헤드 사이즈
3.밸런스
4.스트링 패턴

이 네가지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무게]에 관해서는 내가 감당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는 가장 무거운 라켓을 선택한다.

[라켓 헤드 사이즈]에 관해서는 자신의 타점의 안정성과 집중력이 좋을 수록
작은 헤드 사이즈를 [선택해도 된다]

[스트링 패턴]은 자신이 스핀을 많이 원하면 [오픈 스트링패턴-세로줄 16줄짜리]
면의 안정성과 묵직한 타구를 원하시면 [덴스 스트링 패턴-세로줄 18줄짜리]
를 선택한다.

[밸런스]에 관해서는 정교한 컨트롤을 원할 수록 그립쪽으로 밸런스가 치우친
(헤드라이트 밸런스)라켓을 선택한다.

위에서 제시한 것이 라켓 선택에서 기본적인 고려사항과 그 선택 기준입니다.

그 외의 것은 기실 지극히 [주관적인]느낌을 바탕으로 한 정보들이
대부분이고 그 부분은 기실 [평가]라는 잣대를 들이대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글 내용 중에서..[강력한]스트로크를 치고 싶다고 하셨는데요...

강력한의 의미가 어떤 것인지도 좀 애매하네요. 스피드가 좋은 샷인지, 묵직함이 큰 샷인지, 스핀이 강력한 샷인지...

그리고 강력한 샷은 라켓보다는 본인의 실력에 달린 겁니다.

저는 개인적으로(지극히 개인적인 것입니다^^)라켓을 고를 때 내가 어떤 샷을 원하는 데 그것이 잘 구사되는 라켓을 구한다기 보다는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이 어떤 것인지 잘 파악하고 자신이 구사하고자 하는 구질과 자신의 근력, 그리고 실력을 정확히(이거이 어렵죠^^)파악 한다음...

자신과 [궁합이 맞는]라켓을 선택하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라켓의 능력에 의존해서 무엇인가 기술과 실력의 향상을 도모하려 한다면 절대~~~~~~~~~~~~~~~~~~~안됩니다.

라켓은 자신의 약점을 커버해주고 뭔가 업 그레이드 시키기 위한 도구가 아니라 자신의 스타일과 실력을 잘 발휘하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라켓에 선택에 관한 조언을 제대로 받으시려면

자신의 체격조건과 근력.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
자신이 구질
자신의 타점과 각 기술의 능력 정도.

이런 정보를 주셔야 합니다.^^..원래 쓰신 글에 대한 답변은 이 정도로 하구요...

아래에 아주 긴 글로서 라켓에 관한 여러가지 정보의 의미와 상식에 관한 정보를 남기겠습니다.

참조하세요~^^

[Head Size]에 관해서...

Head Size는 말 그대로 라켓 헤드의 크기(속칭 "빵 크기"^^)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표시 방법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sq. in(평방 인치)


:라켓 헤드의 사이즈를 평방 인치의 단위로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흔히 저희가 얘기하는 헤드 사이즈가 85,95,100,110,115 라고 하는 것은 바로 이 단위를 일 컫는 라켓입니다.

보통 헤드 사이즈가 85~90 sq. in 인 라켓을  MS(Mid Size)라켓이라고 부르고

헤드 사이즈가 91~100 sq. in 인 라켓을  MP(Mid Plus)라켓이라고 부르고

헤드 사이즈가  101~110sq. in  인 라켓은 OS(Over Size)라켓이라고 부릅니다.^^

헤드 사이즈가 110sq.in 이상인 라켓은 Super Over Size 라켓이라고 부릅니다(약어는 모르겠네요^^)

(2) sq. cm.(평방 센티미터)

:라켓 헤드의 사이즈를 평방 센티미터 단위로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보통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아닙니다.  예전의 헤드의 Prestige( i-Prestige 시리즈의 전작입니다) 시리즈 모델명 뒤에 붙은 경우가 있었죠.

[Unstrung Weight]

라켓의 무게를 나타내주는 수치입니다. Weight라는 단어에서 그것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느데 그러면 그 앞의 "Unstrung"이 왜 붙었는지 궁금하시겠죠?

아시다시피 테니스 라켓은 원래의 라켓에 스트링(줄)을 매어서 사용하게 되어 있습니다. 근데 스트링이라는 것이 종류가 다양하고 무게도 조금씩은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오버 그립도 감고 때로는 엘로링도 끼고 경우에 따라서는 납 테이프도 붙이고 그래서 같은 모델이라도 사용하시는 상황에 따라서 실제 무게에서는 차이가 나기 마련이죠...

그래서 순수한 라켓 자체만의 무게가 얼마인지를 나타내줄 필요성이 생긴거죠.
그리고 그것이 정확한 라켓의 무게일테니까요...

"Unstrung"은 말 그대로 '스트링을 매지 않은 상태"라는 뜻입니다.

결국 'Unstrung Weight'늘 라켓에 스트링을 비롯해 아무런 것도 부착되지 않은 상태의 라켓 자체만의 무게를 나타내주는 수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어떤 사이트를 보면 "Strung Weight"라고 표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은 스트링의 무게가 크게 차이가 안 나니까 대충 스트링 매고 라켓의 무게가 얼마라고 말해도 라켓의 무게에 대한 정보로서 충분하다고 생각되니까 사용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여하튼 라케 무게에 대한 가장 정확한 정보는 "Unstrung Weight"라고 보시면 됩니다.

Unstrung Weight 320g 이상의 라켓을 상당히 무거운  라켓


Unstrung Weight 300g 이상인 라켓은 조금 무거운 라켓.


Unstrung Weight 280g~300g 라켓을 보통 무게의 라켓.


Unstrung Weight 280g 미만의 라켓을 가벼운 라켓이라고 통상적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무겁다 가볍다는 개인적인 차이는 있는거지만요^^)

[Length]

말 그대로 라켓의 "길이"를 뜻하는 것입니다...숫자의 단위는 "inch"입니다.

27 inches 라켓을 우리는 'Standard' 라켓이라고 부릅니다. 전통적인 라켓의 길이이고 말 그대로 기준이 되는 라켓의 길입니다.

27 inches 이상의 길이인 라켓을 우리는 'Long Body"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Long Body"  27.5 inches 라켓이 주류이고 28 inches 라켓도 있습니다.

[Frame Width]

라켓의 프레임의 두깨를 뜻하는 것입니다.

라켓을 정면에서 90도 돌리면 우리는 라켓의 옆면을 볼 수 있겠죠? 그 옆면의 두께를 나타내주는 수치입니다.

보통 22mm(기준 자체가 정확하게 형셩되지는 않았지만^^)..보다 얇은 프레임을 '클래식 빔(Classic Beam)"이라고 따로  호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프레임이 28mm(정확한 기준을 말하기는 좀 애매한 면은 있지만...)이상을 "Wide Body"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Balance]

라켓의 무게 중심이 어디 있냐는 것을 나타내주는 수치입니다. 밸런스를 나타내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mm단위" 표시방법

i)수치가 의미하는 것


:라켓 그립 끝에서 밸런스가 'Even'(즉 라켓이 헤드쪽과 그립쪽이 무게 균형을 이루게 하는)을  이루게 하는 지점까지의 거리

ii)수치의 크기의 의미 :27 inches(69cm, 690mm)스탠다스 라켓을 예로 들자면

이 라켓 길이의 정 중앙(라켓을 딱 반으로 나누는 지점)은  라켓 그립 끝에서 345mm 지점 입니다.

만약 그 라켓의 밸런스 포인트가  345mm(라켓 길이에서 정중앙) 에 있다면 이 라켓은 완전한 'Even Balance'라켓이겠죠..^^

밸런스가 345mm보다 적은 수치를 나타내면 이 라켓의 무게 중심은 그립쪽으로 더 치우쳐 있음을 밸런스가 345mm 보다 큰 수치를 나타내면 이 라켓의 무게 중심은 헤드쪽으로 더 치우쳐 있음을 의미하게 되겠죠?^^

라켓의 무게 중심이 그립쪽으로 더 치우친 라켓을 "Head Light" 라켓

라켓의 무게 중심이 헤드쪽으로 더 치우친 라켓을 "Head Heavy"라켓이라고 부릅니다.

"mm단위" 표시방법의 경우 대충 330mm전.후면 그립쪽의무게가 무거운 라켓이구나... 360mm 전.후면 헤드쪽이 무거운 라켓이구나...  라고 간략적으로 받아들이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point 단위" 표시방법
:이 방법 역시 같은 라켓의 밸런스에 대한 정보를 준다는 목적에서는 첫번째 방법과 동일하나 그 표시 방법에서 차이가 납니다.(조금 복잡할 수도 있지만 어찌보면 밸런스의 정도를 쉽게 알 수 있음)

i)수치 표시방법의 예


:4 Pts Head Light , 7 Pts Head Light
4 Pts Head Heavy , 7 Pts Head Heavy

ii)수치와 단어가 의미하는 것


: * Pts(Points) 뒤에 붙는' Head Light'  와 ' Head Heavy' 가 일단  라켓의 밸런스가 이븐인지 헤드 라이트인지 헤드 헤비인지는 나타내줍니다.

* Pts(Points)앞의 숫자는  밸런스의 치우침이 어느정도인지  나타내주는 단위라고 볼 수 있습니다.

* 1 point 단위의 크기 : 1/8 inch(약 3.17mm)

iii)위에서 예로 든 것의 의미

4 Pts Head Light ==>345mm 에서 4 points만큼 그립쪽으로 내려간 지점에 밸런스 포인트 있음 


7 Pts Head Light ==>345mm 에서 7 points만큼 그립쪽으로 내려간 지점에 밸런스 포인트 있음 


4 Pts Head Heavy ==>345mm 에서 4 points만큼 헤드쪽으로 올라간 지점에 밸런스 포인트 있음 


7 Pts Head Heavy==>345mm 에서 7 points만큼 그립쪽으로 올라간 지점에 밸런스 포인트 있음

"point 단위" 표시방법의 경우 대충"4 Pts Head Light "이상이면 그립쪽의무게가 무거운 라켓이구나...


"4 Pts Head Heavy" 이상이며  헤드쪽이 무거운 라켓이구나... 라고 간략적으로 받아들이시면 될 것 같습니다...^^

[string pattern]

일단 스트링은 세로줄과 가로줄로 구별이 될 수가 있겠죠...정확한 테니스 용어로(뭐 결국 영어이지만요^^)


세로줄은 :Main
가로줄은: Cross
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스트링 패턴이라는 것은  결국 Main과 Cross의 줄의 수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앞에 나오는 숫자가 Main의 줄 수를 뒤에 나오는 숫자는 Cross의 줄 수를 나타냅니다.

보통 Main이 16인 스트링 패턴을 "Open String Pattern"이라고 하고..보통 Main이 18인 스트링 패턴을 "Dense String Pattern"이라고 부릅니다...^^

그 외 라켓의 정보를 나타내주는 단위들이 있습니다.

Stiffness

테니스에 있어서 stiffness의 의미는 다음와 같습니다.

"stiffness란 라켓이 공과 접촉(impact)되었을 때 굽혀지거나 변형되지 않으려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라켓의 변형이 많이 될 수록 공에 되돌려지는 에너지의 양은 줄어든다.

그러므로 stiffness 가 큰 라켓일 수록 많은 파워를 생성한다."


Stiffness는  라켓 자체의 강성의 정도(반발력)를 나타내는 수치라고 보시면 될 겁니다.

처음에 윌슨에서 Profile 이라는 라켓이 나왔을 때 그 라켓의 stiffness는 기존의
라켓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그래서 공의 파워가 장난이 아닌 라켓으로 명성을 얻었죠.


그 후에 윌슨에서 햄머 스타일의 라켓을 출시하면서 stiffness는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되었죠.

예외도 있습니다면 일반적으로 햄머 스타일 라켓들이 투어형 클래식 라켓보다는
stiffness가 높습니다. 적은 힘으로도 파워 있는 볼을 칠 수 있게 만든 것이죠.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투어형 라켓은 stiffness가 대부분 70이하에서 형성이 되고
햄머 스타일의 라켓이나 조금 가벼운 라켓들은 70이상에서 형성이 되어 있습니다.

말이 좀 큰 맥락 없이 왔다 갔다 하는 것 같아서 정리해서 말씀 드리면...

[stiffness가 높을 수록]

라켓이 공과 임팩트 되었을 때 라켓의 휘는 정도가 적어서 공에 대한 반발력이 더 높아서 일정량의  파워를 공에 실으려고 할 때 라켓 사용자의 힘이 덜 든다고 할 수 있습니다.

[stiffness가 낮을수록]

라켓이 공과 임팩트 되었을 때 라켓의 휘는 정도가 많고 공에 대한 반발력이 낮아서
일정량의 파워를 공에 실으려고 할 때 라켓 사용자의 파워가 더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Swingweight

위에 Unstrung Weight가 라켓 자체의 무게를 단순히 표시한 것이라면 이 Swingweight 는 어떤 장비를 이용해서 라켓을 휘두를 때 느껴지는 무게를 수치화 시킨 것입니다.

이 수치는 밸런스와 긴밀한 관계가 있습니다.

Unstrung Weight이 같더라도 밸런스가 헤드쪽으로 쏠리수록 Swingweight가
더 큽니다.

즉 같은 무게의 라켓이라도 밸런스가 헤드쪽으로 쏠릴수록 라켓을 휘두를 때
더 많은 힘이 요구된다는 뜻이겠지요.

대체적으로 무겁고 얇은 프레임의 라켓들은 밸런스를 그립쪽으로 치우치게 함으로써 Swingweight를 조금이라도 줄여보려고 하는 경향이 있고

가볍고 밸런스가 헤드쪽에 있는 라켓일 수록 라켓 자체의 무게에 비해서
Swingweight는 큰 것이 일반적입니다.

Recommended Tension

문자 그대로 [권장]텐션입니다.

즉 이 라켓은 줄을 맬 때 이 정도의 텐션 범위내에서 당겨주라고 라켓 제조 회사에서 그야 말로 [권장]하는 텐션이지요.

권장 텐션에서 최소수치는 별 의미가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최고수치]이겠지요.

예를 들어서 권장텐션이 55~65파운드라고 한다면  55파운드 아래로 매는 것은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65파운드 이상으로 매는 것은 라켓에 무리가 갈 수도 있고 그 이상으로 매다가 라켓에 파손이 오는 것은 회사가 책임지지 않겠다는  의미도 내포된 것입니다.

Recommended Tension은 그야 말고 권장텐션이지 [적정 텐션]은 아닙니다.

자신에게 맞는 [적정 텐션]은 본인이 찾아가는 것이겠지요.

일반적으로 자신이 풀스윙을 주로 하고 볼의 파워는 자신의 힘으로 발생할 수 있고
컨트롤을 중요시 하는 경우라면 텐션을 강하게.. 자신의 힘보다는 라켓이라 스트링의 힘으로 볼의 파워를 크게 하려는 분은 텐션을 약하게 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뭐 하여튼 Recommended Tension은 라켓 제조 회사가 제시하는 권장텐션이고 권장텐션의 최고수치 이상으로 줄을 매는 것만 하지 않으시면 됩니다.

긴 글 읽으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즐테하세요~^^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
 Comment '1'
  • 사바 10.11 21:49
    정보님! 정말 감사합니다.
    솔직히 저번주에 라켓을 사러 갔었는데 ,가격도 천차 만별이고 종류도 많고 그래서
    직원한테 물어보니까 다 좋다고 하고 비싼것만 권장하더라구요,왠지 싼거사면 손해 보는게 아닌가 하는생각도 했었는데 그 문제점이 확 다풀려버렸읍니다.
    다시한번 감사 감사...........드립니다.

  1. notice

    테니스 관련 정보,랭킹,엔트리, 생방송 사이트 링크 모음

    인터넷 테니스 생방송(ATP,WTA,GS) https://en.sportplus.live/tennis/ ITF https://live.itftennis.com/en/live-streams/ 엔트리 정보 등, 커뮤니티 http://www.tennisteen.it/entry-...
    read more
  2. No Image

    테니스 라켓 선택관련 정보의 의미와 해석..[댭변]

    음~~일단 질문이 엄청난 내용의 답변을 요구하는 것이네요.^^ 간단히 답하기에는 너무 부실하고 자세히 답변하기에는 그 양이 너무 방대하고 복잡하네요. 일단 결론부터 얘기드리자면 ...
    Read More
  3. No Image

    [답변] 하이브리드 스트링에 대한 질문!

    하이브리드는 그 야말로.. 해보지 않고는 모르는.. ^-^;; 1+1이 2가 될수도 3이 될수도 또 0이 될수도 있는것이 하이브리드입니다.. 그래도 가장 많이 쓰이는 Combo중 하나가 메인에 ...
    Read More
  4. No Image

    테니스 라켓 줄매기 강도 질문입니다.

    46lb(파운드) 였던거 같은데 아닌가요? 라켓의 줄메기 강도 (스트링 텐션)은 그 라켓의 사용자에 따라 100% 틀려 질수 있는 선택사항입니다... 일단 기본지식으로... 라켓의 스트링 텐...
    Read More
  5. No Image

    시간이 없어서 급한 질문만 하고 갑니다

    제 라켓 텐션을 바꾸고 나니깐 거트가 자꾸 움직여여.. 움직인다는게 원래 정확히 4각형인게 탑스핀을 자꾸 치다보니 거트의 만나는점이 움직여서 동그래지는(실제로 동그랗지는 안음....
    Read More
  6. No Image

    라켓 길이 선택 - 답변

    적응도 잘되어 가고 스트로크 파워도 나은것 같다면 계속 롱바디 라켓을 사용하시는것이 좋을듯 싶습니다.. 앵글샷이 양 사이드로 나가는 것은 아직 적응이 덜되셔서 그런듯 싶네요.. ...
    Read More
  7. No Image

    질문 -_-...텐션

    제 친구넘한데 맨날 지기만해여..그넘은 라켓 텐션이 60정도가 되는데 제꺼는 40에서 머물고 있다는 ㅠㅠ 그런차이때문에 그런건지도 모르겟지만...하지만 제친구는 폼을 절대로 안지...
    Read More
  8. No Image

    모던 포핸드와 기타 문의

    안녕하세요? 포핸드에 대해서 몇가지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대학교에서 동아리 활동을 하고 2002년에 레슨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는데 코치님이 웨스턴 그립을 알려주시고 그에 ...
    Read More
  9. No Image

    테니스 라켓 발란스 포인트

    라켓을 구입하려고 하는데 헤머스타일로 구입하려고 합니다 balance point 가 얼마 이상(이하)여야 헤머 스타일 인지 가르쳐 주십시오 구입할려는 라켓이 balance point 가 345mm으로 ...
    Read More
  10. No Image

    스트링 텐션이 궁금합니다.....

    스트링의 가로줄과 세로줄의 텐션을 다르게 하는 이유와 그중 어느줄의 텐션을 더 높게 어느정도의 차이로 묶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참고로 저는 주로 감아 치는 스타입니다. 최근 ...
    Read More
  11. No Image

    나의 스윙 스피드를 알고 싶다..

    골프는 스윙 스피드 측정해주고 장비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는데 테니스는 그런 걸 가진 샵이 있단 말도 들어본 적이 없네요.. 골프샵에 가서 테니스 라켓 들고 측정할 수도 없고 골프...
    Read More
계속 검색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