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원조 테니스 천재 - 르네 라코스테..사업가로 대성공

René_Lacoste_wearing_his_signature_insignia.jpg

르네 라코스테(위키피디 wikipedia)

 

아직 은퇴를 발표하고 있지는 않지만 90년대를 호령해왔던 샘프라스, 애거시의 시대가 서서히 가고 20세 초반 신세대 선수들로 세대교체가 이루어지고 있었던 시절

 

130년 테니스 역사상 가장 위대했던 테니스 선수가 누구였던가를 돌이켜보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하고 한 시대를 풍미했던 전설적인 테니스 선수들을 집중 조명하고자 한다.

 

제 1편은 1920년대를 풍미했던 프랑스의 전설적 테니스 선수 르네 라코스테를 소개하기로 한다.

르네 라코스테(Rene Lacoste). 그 이름을 듣는 순간부터 일반사람들은 그것이 악어상표의 의류업체라는 것을 먼저 떠올린다.

 

하지만 라코스테(불어발음은 ‘라꼬스뜨’에 더 가깝다)가 골프의 아놀드 파머처럼 한때 유명한 스포츠 선수로서 자신의 이름을 걸고 굴지의 의류업체를 만들었다는 사실을 아는 이들은 그리 많지 않다.

 

또한 라코스테가 왜 ‘악어’와 관련이 있는지는 테니스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알 수 없는 일이다.


그는 테니스 초창기 때인 1904년 7월 2일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났다.

 

나이 15세에 이르기까지 그는 테니스를 칠 줄 모르는 평범한 소년에 불과했다. 자동차회사를 운영하고 있었던 아버지 덕분에 그는 부유하게 자랄 수 있었고 테니스를 직업으로 삼아 성공해야겠다는 욕구 또한 없었다.

 

그저 열심히 공부해서 아버지의 자동차공장을 물려받아 성공적으로 경영하면 그만이었다. 그런데 뒤늦게 빠져드는 테니스의 묘미 때문에 테니스 선수로 진로를 바꿀 것을 결정하자 이젠 아버지의 허락이 필요했다.

 

그의 아버지는 테니스에 헌신적으로 임하는 아들에게 5년 내에 테니스 챔피언에 올라야 한다는 것을 허락의 조건으로 내놓았다. 테니스에 입문한지 5년만에 세계챔피언이 된다는 것. 요즘 같으면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지만 그는 기어코 해내고 만다.

Jacques Brugnon, Henri Cochet, Pierre Gillou, Rene Lacoste(르네 라코스테), Jean Borotra

5년은 아니지만 테니스에 입문한지 꼭 6년만인 1925년, 그의나이 21세에 프랑스 오픈을 석권하게 된다.

 

그는 같은해 영국 테니스 선수권 대회(지금의 윔블던)에서도 발군의 기량으로 우승 트로피를 거머쥐었고 이듬해인 1926년과 1927년엔 외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전미 테니스 선수권 대회(지금의 US 오픈) 연속우승에 이르며 승승장구 하였다.

 

특히 1927년 US 오픈 결승은 상대자가 20-25년 US 오픈 6년 연속 우승자였던 윌리엄 틸든(William Tilden)이었고 스코어 또한 11-9 6-3 11-9 였기 때문에(당시는 타이브레이크가 적용되지 않았음) 라코스테로서는 가장 짜릿한 우승이었을 것이다.

 

1927년 프랑스오픈도 석권한 라코스테는 1928년 윔블던, 1929년 다시 프랑스 오픈에서 우승트로피를 안았다.

프랑스오픈 3회 우승, 윔블던과 US 오픈 각각 2회씩 도합 7회의 메이저 타이틀을 소유하게 된 것이다. 1924년 윔블던과 26, 28년 프랑스 오픈에서는 아깝게 준우승에 그치고 말았지만 당시 또 다른 프랑스의 스타 보로트라(Borotra)와 짝을 이뤄 1925년 윔블던 복식에서, 1924년, 1925년, 1929년에는 프랑스 오픈 복식에서 우승했다.

 

그가 메이저 대회중 호주오픈에만 우승하지 못했지만 당시의 비행기로 호주까지 날아가 경기에 참가한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 것인지를 감안한다면 그가 따낸 11개의 메이저 타이틀(복식 포함)이 어느 정도의 성과였는지 짐작하고도 남는다.

 

그는 복식을 포함하여 총 11개의 메이저 타이틀을 따냈지만 그를 빛내 준 또 하나의 사건은 바로 데이비스컵 우승이었다.

1927년 그는 역대 최강의 프랑스팀에 합류, 장 보로트라(Jean Borotra, 28년 호주오픈, 26년 윔블던, 31년 프랑스오픈 단식우승), 앙리 코셰(Henry Coche, 28년 US오픈, 27,29 윔블던, 26,28,20,32 프랑스오픈 단식우승), 자크 브뤼뇽(Jacques Brugnon)과 함께 프랑스에 처음으로 데이비스컵 우승컵을 안기는데 기여하였고 프랑스는 이후 6년간이나 이 우승컵을 보유하기도 했다.

 

이러한 공로로 라코스테와 그의 동료들은 1976년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오르게 된다.

컴퓨터 집계에 의한 랭킹 시스템이 없었던 그 당시 수작업에 의한 랭킹시스템으로 그는 1924년부터 6년간 톱텐을 유지했으며 특히 1926-27년엔 랭킹 1위에 오르기도 하였다.

 

꼼꼼한 성격의 라코스테는 시합 전에는 상대의 선수에 관한 모든 사항을 연구하는 선수로 유명했고, 시합중에는 상대선수가 지치기를 기다려 지구전에 의한 승리전략을 펼치는 선수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현대적 개념의 서브와 발리, 패싱샷과 로빙 기술들은 모두 라코스테가 선구자로서 그가 30년대 프랑스 데이비스컵 사령탑을 맡았을 당시 후배 선수들에게 전수되어 크게 효과를 보기도 하였다.

라코스테는 테니스 뿐만 아니라 테니스 용품 발명가로도 유명하다.

 

세계에서 처음으로 볼 로빙머신(ball lobbing machine)을 개발하였으며 메탈 테니스 라켓을 처음으로 선보여 후에 지미 코너스가 그의 메탈프레임 테니스 라켓(윌슨 T2000과 유사한 라켓)으로 세계 테니스를 평정하기도 한다.

 

또한 그의 트레이드 마크인 악어무늬의 로고가 새겨진 폴로(polo) 티셔츠는 전세계의 인기 스포츠 웨어가 되기에 이른다.

 

그의 별명이 ‘악어’가 된 것은 우연한 계기에 의해서 였다.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경기에 출전하게 된 라코스테는 경기가 있기 전날 한 전시장에서 악어가죽으로 만든 가방을 보게 된다.

 

이것을 무척 갖고싶어 했던 라코스테가 코치에게 자기가 만일 경기에서 승리하면 이 악어가죽 가방을 사달라고 졸랐던 것이다. 하지만 라코스테는 경기에서 패했고 결국 그 악어가죽 가방은 그의 손에 쥐어지지 않았다.

 

이때부터 동료들이 그를 놀릴 의도로 그를 ‘악어’라고 불렀다.

 

당시에는 악어라는 자신의 별명을 굉장히 싫어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별명을 로고로 내세워 후에 의류사업을 시작, 오늘날 전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의류업체 중 하나인 “라코스테”를 탄생시키기에 이른다.

그는 아내인 시몬느 디옹 숌므 ?그녀는 프랑스인으로는 처음으로 영국 오픈(골프)에서 우승했다-와의 사이에 3남 1녀를 두었는데 그의 딸 까뜨린느 라코스테가 어머니에 이어 1967년 US 오픈(골프)에 우승한 바 있다.

 

테니스 선수로도 성공을 거두어 명예의 전당에 올랐고 사업가로도 수완을 발휘하여 오늘날의 세계적 의류업체 라코스테를 탄생시킨 그는  1996년 10월 12일 프랑스의 생장드뤼(St. Jean de Luz)에 고요히 잠들었다.(글쓴이=박일균님)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TAG •

  1. 나달은 누구? - 경기할 때 열정, 집중, 긍정 이 세가지를 늘 생각한다

    라파엘 나달 롤랑가로스 12번 우승 인터뷰 나달은 말 실수를 거의 하지 않는다. 늘 공손하고 겸손하고 상대를 존중한다. 자신은 늘 배우는 자세로 테니스를 대한다고 했다. 아래는 롤랑가로스 남자 단식 우승한 라파엘 나달과의 공식 인터뷰. -결승전에 27번 ...
    Read More
  2. 알렉산더 즈베레프는 누구?

    알렉산더 즈베레프( Alexander Zverev) 독일 국적의 세계랭킹 5위 1997년생, 2013년에 프로에 데뷔했으며, 2016년에 러시아에서 열린 샹트페테르브크 대회에서 첫 투어 타이틀을 획득했다. 첫 우승 당시 결승전 상대는 페더러와 함께 스위스 듀오로 불리는 스...
    Read More
  3. 결국 남는 것은 사람- 37살 '코트의 황소' 다비드 페레르

    스페인의 다비드 페레르(37)가 은퇴수순에 들어갔다.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오픈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한 페러가 나달과의 바르셀로나오픈 3회전을 끝으로 정들었던 코트를 떠난다. 나달과의 경기막판에 빗방울이 떨어져 은퇴하는 페레르의 심경을 나타내는 듯...
    Read More
  4. 알리아심은 누구..35년 만에 마이매미 역사 새로 쓴 차세대 리더

    2019년 3월18일부터 시작된 마이매미 마스터즈 테니스 대회에서 역사적인 기록을 이어가는 선수가 있다. 준결승에 오른 18살, 캐나다의 펠릭스 오제 알리아심이다. 알리아심은 3월 28일 열린 8강전에서 22살, 13위인 크로아티아의 보르나 초리치를 2-0으로 이...
    Read More
  5. 에르베르는 누구?..복식에서 4대 그랜드슬램 우승한 실력파

    2019년 호주오픈에서 정현과 32강 진출을 놓고 대결한 53위, 프랑스의 피에르 위그 에르베르는 올해 27살로 188cm의 장신에 속한다. 2007년에 프로에 데뷔해 2018년 본인 최고 랭킹 50위에 올랐다. 지난해 부터 상승세를 타고 있으며 투어 단식 타이틀은 없으...
    Read More
  6. 페더러 - 오늘날의 나를 있게 해준 사람은 피터 카터

    17년전인 2002년 남아공에서 신혼여행 중 교통 사고로 사망(당시 37세)한 페더러의 코치 피터 카터 사진=팍스 스포츠 페더러는 8일 CNN과의 인터뷰에서 "오늘날의 나를 있게 해주고 나의 기술을 완성 시켜준 사람" 이라고 말하며 눈시울을 붉혔습니다. 1964년...
    Read More
  7. 스테파노스 치치파스는 누구 - 차세대 세계 테니스 리더

    2019년 20살이 되는 그리스 청년의 미래는 희망적이다. 치치파스는 2018년 넥스트 제너레이션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스톡홀름 투어 에서 첫 ATP 타이틀도 손에 쥐었다. 2016년 프로데뷔 후 2년만에 세계 랭킹 15위에 올라있다. 20위내에 올라있는 선수...
    Read More
  8. 보르나 초리치는 누구?

    보르나 초리치(인스타그램) 올해 21살인 초리치는 크로아티아 태생으로 2013년 프로에 데뷔했다. 10월8일자 세계 랭킹 19위에 올라있으며 통산 투어 타이틀 2개를 보유한 선수로 차세대 ATP 리더로 부상하고 있다. 2017년부터 이탈리아 출신의 리카르도 피아티...
    Read More
  9. 조코비치는 누구..니키필립과 마리온 바에다 만나 대선수의 길로

    조코비치는... 세르비아의 베오그라드에서 1987년 2월 태어난 조코비치는 4살 때부터 테니스를 시작하였다. 아버지를 비롯해 삼촌과 숙모까지 모두가 프로 스키선수 출신이었으며, 가족들도 조코비치가 훌륭한 스키선수가 되어주기를 원했다고 전해진다. 그러...
    Read More
  10. 테니스 코트의 지배자..도미니크 팀은 누구?

    사진=테니스피플 2018년 US오픈에서 승승장구 하며 탑 시더들을 위협한 20대 선수가 있었다. 당시 세계 랭킹 9위에 올라 있던 오스트리아의 도미니크 팀이다. 클레이코트를 특히 좋아하는 팀은 ‘도미네이터’(지배자)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강력한 탑스핀 포핸...
    Read More
  11. 존 밀맨은 누구?...우리나라대회 '단골손님' 밀맨

    밀맨은 2012년 부산오픈 챌린저 때 구멍난 테니스화를 신고 경기를 했다 존 밀맨(1989년 6월 14일생)은 호주 브리즈번 출신 선수로 역대 최고 랭킹은 52위. 룩 소 렌센이 코치를 맡고 있다. 투어 우승은 없고 결승에 한번 올랐다. 우리나라 챌린저와 퓨처스에 ...
    Read More
  12. 라파엘 나달은 누구?

    라파엘 나달에 대하여 테니스 팬들이 조금은 잘못 알고 있는 부분들이 있다. 탑 5에 항상 자리하고 있지만 클레이 코트에서만 유독 강하고 다른 코트에서는 그저 그런 선수로 평가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나달의 기록을 세세하게 들여다 보면 그런 선입견은 옳...
    Read More
  13. 코치는 선수에게 배우는 직업-도미니크 팀을 업그레이드 시킨 귄터 브레스닉

    ▲ 11년간 선수를 키우면서 그 경험담을 모아 책을 낸 귄터의 '도미니크 팀 방식' 베테랑 오스트리아 감독(57세) 귄터 브레스닉은 도미니크 팀의 코치다. 오스트리아에서 30년간 감독직을 맡아온 귄터는 지난 11년 동안 도미니크 팀을 맡아 훈련시켰고 업그레이...
    Read More
  14. 디에고 슈와르츠만은 누구?

    인스타그램 170CM로 현역 ATP 선수중 키가 가장 작아 붙여진 별명이 [작은 거인]인 디에고 슈와르츠만은 1992년 아르헨티나 브에노스 아이레스에서 태어났다. 친구들이나 가족들은 별명으로 Shorty(키작은 사람)..땅꼬마(?)로 부른다고 한다. 2010년 프로에 데...
    Read More
  15. No Image

    신선한 충격 - 비욘 보그

    비욘 보그 동계 스포츠의 강국 스웨덴이 오늘날 테니스의 강국으로 우뚝 선 것은 불과 20여년 전이었다. 스웨덴은 현재 노만, 요한슨, 엔크비스트, 그리고 복식의 강자인 비요르크만과 신세대 기수인 빈시게라 등 호화군단을 자랑하고 있고 80년대엔 매츠 빌란...
    Read More
  16. No Image

    테니스의 신 - 지미 코너스

    지미 코너스 로드 레이버와 로이 에머슨이라는 두명의 걸출한 스타를 앞세워 60년대 남자 테니스를 좌지우지했던 호주의 테니스는 70년대에 이르러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다. 물론 그들의 후배인 존 뉴컴(John Newcome)과 켄 로스웰(Ken Rosewall)이 명맥을 이...
    Read More
  17. No Image

    호주 테니스의 아버지 - 로드 레이버

    로드 레이버 매년 초 호주오픈이 열리는 맬버른 경기장. 그곳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여러 해동안 센터코트로 사용해 왔던 한 웅장한 경기장을 발견하게 된다. 그 경기장의 이름은 로드 레이버 아레나(Rod Laver Arena). 호주인들은 60년대 남자테니스계를 평정...
    Read More
  18. 원조 테니스 천재 - 르네 라코스테..사업가로 대성공

    르네 라코스테(위키피디 wikipedia) 아직 은퇴를 발표하고 있지는 않지만 90년대를 호령해왔던 샘프라스, 애거시의 시대가 서서히 가고 20세 초반 신세대 선수들로 세대교체가 이루어지고 있었던 시절 130년 테니스 역사상 가장 위대했던 테니스 선수가 누구였...
    Read More
  19. No Image

    아가씨의 부인 - 슈테피 그라프(여)

    슈테피 그라프(여) - 테니스의 전설! 1985년 윔블던 대회 남자 결승. 4세트만에 우승자가 확정되는 순간 독일 각지에서는 때아닌 도심의 경적소리가 울려퍼졌다. 1930년대에 프랑스오픈을 제패한 바 있는 폰 크람(G. von Cramm)과 헨켈(H. Henkel)이후 약 50년...
    Read More
  20. No Image

    테니스의 아버지 - 이반 랜들

    70년대 지미 코너스와 비욘 보그의 라이벌 관계가 무르익고 후반에는 존 매켄로가 뛰어들어 남자 테니스의 3인 경쟁체제가 확고해질 무렵, 당시 공산권 국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겁없이 도전장을 내민 이가 있었으니 그가 바로 이반 랜들이다. 랜들의 성과는 ...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