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테니스 스트로크 - 탑스핀과 플랫성 드라이브를 같이 치는 연습드릴

책에 보면,, 이런 글이 쓰여 있습니다.

포핸드의 도사가 되고 싶으면, 탑스핀과 플랫성 드라이브를 같이 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동호인중에 두 종류의 포핸드를 구사하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플랫성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사람은 이것만 사용하고 탑스핀을 사용하는 사람은 이것만 사용합니다.

플랫성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사람은 에러가 많은 편인데,대신 그것을 극복하면 무서븐 고수가 됩니다.(이런 양반은 딱 2분 보았습니다. 계속되는 공격에 상대는 거의 초토화)

 

 

 


그건 그렇고,,탑스핀과 플랫성 드라이브를 같이 치는 연습 드릴을 소개합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2년전에 드라이브로 벽치기를 연습했습니다.그래서 그렇지 탑스핀보다는 드라이브로 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드라이브 치는 방법은 단순하죠.그량 배꼽 높이로 계속 치면 됩니다.

1)탑스핀에 익숙해 지는 연습드릴

 

 

 

 

벽보드앞에서 벽치기를 하는데, 탑스핀으로 칩니다. 방법은..
 

벽에 네트높이가 그려져 있을 겁니다.그 높이의 2배에서 2.5배 정도의 높이가 맞을 정도로 탑스핀을 겁니다.이렇게 하면, 반사되어 바운드되고 난 정점의 높이는 어깨 높이정도입니다.


이 높이의 공을 계속 칩니다.


횟수.. 대략 20번 연속이 되도록 합니다. 1분 쉬고 다시.. 이렇게 10회 하면 됩니다.

이 드릴은 탑스핀에 대한 감을 확실히 만들 수 있습니다. 또 어깨 높이의 공은 탑스핀 연결구로 날리는 것에 익숙해 집니다. (배꼽 높이의 공은 가장 편한 높이이기에 자동으로 탑스핀이 됩니다. 위의 연습으로 탑스핀은 충분합니다.)

3)드라이브 & 탑스핀 교대연습..


이것만 완성이 되면, 포핸드만은 상당한 수준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드라이브 벽치기도 할 수 있고, 탑스핀 벽치기도 할 수 있습니다.
 

이젠 교대로 치는 연습입니다.

방법..처음에 드라이브로 벽에 칩니다. -네트보다 50cm 위..그 다음 공도 드라이브
 

3번째는 탑스핀 - 네트2배높이 이상
4번째도 탑스핀 - 네트2배높이 이상
5번째는 드라이브
6번째는 드라이브

위의 과정에 대해서 좀 더 설명을 하면,,


드라이브로 치면, 반사되고 바운드되고 온 정점이 배꼽 근처입니다.배꼽높이의 공을 탑스핀으로 치면 반사되고 온 정점은 어깨 높이입니다.


어깨높이의 공을 탑스핀으로 쳐서 반사되고 온 정정은 어깨 높이입니다.어깨 높이의 공을 드라이브로 쳐서 반사되어 온 정점은 배꼽 높이입니다.
 

배꼽높이의 공을 드라이브로 쳐서 반사되어 온 정점은 배꼽 높이입니다.배꼽 높이의 공을 탑스핀으로 쳐서 반사되고 온 정점은 어깨 높이입니다.

위의 과정은 드라이브 2번, 탑스핀 2번으로 치는 방식입니다.

드라이브를 2번 치는데,


이전 공이 탑스핀이었다면 어깨 높이의 공을 치게 되고이전 공이 드라이브였으면 배꼽 높이의 공을 치게 됩니다.

탑스핀도 2번을 치게 되는데,


이전 공이 탑스핀이면 어깨 높이의 공을 치게 되고이전공이 드르이브였다면 배꼽 높이의 공을 치게 됩니다.

즉, 모든 높이에 대해서 드라이브 + 탑스핀 을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2번 연속으로 같은 패턴으로 치면서 다시 교대로 하는 이유입니다.

이것도 위와 같이 20번 연속 *10회를 하시면 연습 끝입니다.
 

나중에는 탑스핀만 하는 것은 생략을 하고,,교대로 하는 것만 연습을 해도 됩니다.

어깨 높이의 공을 드라이브로 치고(공격), 탑스핀으로 치고(연결구)에 익숙해 지시면, 이젠 모든 높이의 공에 대한 리듬을 탈 수 있기에,,포핸드에서는 웬만해서는 남에게 밀리지 않을 것입니다.

여기서 지켜야 하는 것이 있는데,
 

왼쪽어깨는 유니턴이 되면서 공의 높이에 맞게 낮출 수 있어야 합니다. 아래의 글에서도 적었지만, 양쪽무릎을 같이 낮출려면 왼쪽어깨-왼손이 낮아져야 합니다.
 

해보면 중간이사의 공에서는 쉬운데, 어깨높이의 공에 대해서는 이것이 약간 어렵습니다.

3.이론은 이론에 불과합니다. '감'을 느끼고 향상시켜야 그것이 실력이 됩니다. (이전에 적은 미국 코치샘들의 글에서 모두 이것을 강조되었져)

 

제가 지나치게 많은 이론을 적고 있습니다. 혹시 따라해 보시는 분이 있으신지 모르겠습니다만,,


미국 코치들은 이런 얘기를 합니다."좋은 연습드릴로 많은(과잉학습) 연습을 하라~"
 

제가 적은 글도 그량 재미도 읽어 보시고, 게중에 괜찮겠다 싶은 것이 있으면 몇 번 해 보시고, 그래도 괜찮다는 결론을 얻으면 그것으로 쭉 연습을 하세요~


물론 이 글의 드릴은 꽤 쓸만합니다 ㅎㅎ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1. notice

    테니스 복식 잘하는법 6가지

    동호인들이 좋아하는 테니스 복식에서는 매 랠리시마다 내가 할 일이 있다...볼을 공략하거나 아니면 위치를 공략해야 한다. 혹은 빈 곳을 지키려 이동해야 한다. 복식 파트너와도 좋...
    read more
  2. 테니스 고정관념 깨기..작은 백스윙

    미국 테니스 교과서 기술 방식에 따라 테이크백, 임팩트, 포워드 스윙, 마무리 이런 구분동작은 이제 현대테니스에서 통하지 않는다. 소위말해 테이크백, 백스윙이 없는 테니스를 US오...
    Read More
  3. 테니스 스트로크 에러 줄이고 파워와 안정성 늘리기

    탑 프로들의 동영상을 보면 공이 바운드가 되고 왼손하고 거리가 20-30cm의 거리가 될 때,,왼손의 회전이 시작되고 동시에 포워드스윙이 시작됩니다.. 오른손잡이 기준으로 볼때 ,,공...
    Read More
  4. 테니스 에러를 두려워 말자 - Comfort Zone Syndrome

    처음부터 낮은 수준의 스트로크 기술을 익히게 되면(혹은 정확한 스트로크를 배우지 못하면), 그는 결국 기술의 변경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동호인들...
    Read More
  5. 높은 볼 처리를 유연하게 하라.

    높게 바운드된 볼은 누구나 처리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나 파워를 실기가 어렵다. 대회에 출전하면 날씨가 화창하고 새 볼로 경기를 할 경우 스핀 서브의 볼은 상당히 높이 바운드가 ...
    Read More
  6. 테린이 탈출 - 테니스 포핸드 앵글 샷의 핵심

    포핸드에서 스트레이트, 역크로스 등은 잘 되는데..포사이드 쪽(코트 오른쪽)에서 경기를 할때 크로스를 어려워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런분들은 보통 동호인 복식에서 백쪽(코트 왼...
    Read More
  7. No Image

    공 방향에 수직으로 상체회전?

    포핸드에서 보면, 테이크백을 할 때 상체를 네트에 90도가 되게 회전을 하는 것은 상식입니다. 크로스로 오는 공에는 이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나 싶습니다. 단식에서 듀스의 코너에서 ...
    Read More
  8. 억지스런 빅 포핸드 교정하기.. shadow swing *100번/day

    20~30대 동호인중에 다른 건 몰라도 포핸드에서만은 자신감을 가진 분들이 꽤 됩니다. 안타깝게도 이 생각은 자신만의 착각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착각을 하게 된 계기는.. 포핸드...
    Read More
  9. 타점이 앞에 형성되고 있는지 확인 tip.. 크로스로 각을 줄 수 있나

    크로스와 다운드라인를 구분해서 치는 방법중에 하나는 타점의 위치입니다. 아무래도,,다운드라인은 타점이 약간 뒤에서 형성이 됩니다. 크로스는 그만큼 앞에서 형성이 됩니다. 타점...
    Read More
  10. 좋은 탑스핀 = 안정적 궤도+회전력 조절..지점에 따른 궤적분석

    탑스핀을 때릴 때는 네트 1m 위를 지나야 한다고 합니다. 상향스윙으로 탑스핀 스윙을 했고, 네트 1m 위를 지나도록 각도조정도 했는데, 홈런(아웃)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
    Read More
  11. 테니스 스트로크 - 탑스핀과 플랫성 드라이브를 같이 치는 연습드릴

    책에 보면,, 이런 글이 쓰여 있습니다. 포핸드의 도사가 되고 싶으면, 탑스핀과 플랫성 드라이브를 같이 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동호인중에 두 종류의 포핸드를 구사하는 사람은...
    Read More
  12. 테니스 에러줄이기 - 연습에서 잘되는데 실전에서 실수가 많은 이유

    공을 바닥에 바운드후에 올라오는 공을 정점에서 임팩트(스윙)을 해 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이렇게 해 보면,..상당한 파워를 가지면서 자신이 원하는 지점으로 날라가는 경우가 많...
    Read More
  13. 라켓을 때리는 공과 라켓 면도 함께 촛점 맞추기..

    페더러를 롤 모델로 하신다면 아래 글을 한번 참고해보세요(실제로 어떤지는 호불호가 있을것 같습니다) 예전 외국 서적에서 페더러의 스트록을 분석하면서.. 페더러의 좋은 스트록은 ...
    Read More
  14. 포핸드에서 왼쪽어깨가 빨리 열리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연습 3가지

    오른손 잡이 기준으로 포핸드에서 왼쪽 어깨가 열리는 경우가 많고(위력이 없는 포핸드),...이것때문에 고민을 하고 있으신 동호인이 많은 것 같습니다. 이것을 고치는 팁으로는 아래 ...
    Read More
  15. 컨트롤이 되면 파워를 올리는 것은 오래 걸리지 않는다

    간단하게 요약.. placement가 먼저냐, 파워가 먼저냐 건축에서도 이것과 비슷한 논의가 있다. 기능이 먼저냐 구조가 먼저냐? 어떤 이는 전자라 하고 어떤 이는 후자라고 한다. 하지만 ...
    Read More
  16. 백핸드를 잘치고 싶나요 - 4가지 팁을 기억하세요

    효율적이고 세련된 백핸드 팁은 당신의 백핸드를 향상시켜주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포핸드보다는 백핸드가 배우기 더 어려운 샷이라는 인식이 있고, 실제 많은 사람들이...
    Read More
  17. 로저 페더러의 포핸드는 왜 강력한가?

    대부분 아는 내용이기는 하지만, 한번 더 생각하게 해 주는 글입니다. 1. 유니턴이 완전히 될 때까지 왼손을 앞으로 내밀지 마라. 유니턴이 완전히 되어야 라켓 헤드 스피드를 극대화 ...
    Read More
  18. 잡아놓고치기...비밀은 스탠스....

    사진=테니스피플 단식 경기를 하다보면 스트로크만으로 이길수 없는 상대를 만나 남감했던 기억이 누구에나 있었을겁니다. 혹은 나보다 조금 더 센볼로 인하여... 혹은 나보다 좀더 깊...
    Read More
  19. 축만들기..테니스 스트록에서 부드러운 파워의 원천

    선수출신들이 공을 치는것을 보면 어느 수준급 이상에서는 부드러우면서도 공이 강하고 스핀이 많습니다. 랠리시에 받아 보면 느낌이 다릅니다. 부드럽게 치지만 공에 전달되는 에너지...
    Read More
  20. 테니스에서 헤드업 안하는 tip

    저번에 프로들이 임팩트때 공을 보는 모양새는 3가지 분류가 있다는 글을 적었습니다. 페더러는 임팩트때 시선고정이 가장 긴데, 그가 고개를 돌리는 것은 팔로우드로가 거의 끝날 때...
    Read More
  21. 에러 50% 줄이기..무릎을 펴지 말아야 할 때,,

    고수가 아닌 다음에는 승패는 에러가 많이 나는 사람이 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상대가 에러를 유발하도록 유도하는 경우도 있지만,이런 경우라도 약간만 신경을 쓰면 에러는 많이...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