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회전력을 이용한다는 말은.. 상체 회전이 끝날무렵 와이퍼스윙


오픈스탠스로 칠 때는 회전력이 중요합니다.

이 회전력이라는 것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 보겠습니다.

아래 그림1 과 2번을 보면,,

 

yw070221_2.jpg

 

yw070221_4.jpg

(사진=정진화 테니스 교실)


둘다 팔은 뒤쪽에 있습니다. 팔이 회전(정확하게는 라켓헤드의 방향)은 거의 하지 않고 있습니다. 약간 전진된 정도입니다.

그러나 상체를 비교해 보면,,

 

1번이 비해 2번은 회전이 상당히 되었습니다. 로딕이었다면 상체가 정면을 바라봅니다.(하단영상)

 

이 때의 라켓 헤드의 위치를 보시면 아직도 뒤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2번 사진 상태를 [임팩트직전에] 그대로 재현을 할 수 있으면 공에 위력을 많이 담을 수 있습니다.

상체를 회전한다고 라켓 헤드도 함께 회전을 하고 있다면 이용할 수 있는 회전력이 그만큼 줄어듭니다.

2번 사진 다음 동작에서는 당연히 라켓 헤드의 회전 속도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어쨌든 2번 사진이 회전력을 멋지게 설명하고 있는 듯 합니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Comment '7'
  • 김대협 02.28 22:22
    오랜만에 글 올리시는군요! 건강하게 잘 지내고 테니스도 많이 치셨나요? 바쁘더라도 글들 종종 올려서 안부 전해주시죠! 저도 잘지냅니다. ^^
  • 애거시짝퉁 03.01 09:29
    일이 바빠서 절테중입니다 ^^**
    둘째는 잘 커고 있죠~~

    조만간 한번 칩시다.

    (귀속말)
    그런데 옆에 좋은 친구(주엽님)가 계시더만, 백핸드 좀 가르쳐 달라고 하세요.
    백핸드만 좀 되면 재미있는 게임이 될 듯 합니다.
  • 주엽 03.01 12:30
    애거시짝퉁님 오랜만이시네요~

    근데 귀속말??...ㅋㅋㅋ

    대협이는 열심히 레슨 중 입니다.
    제 말은 잘 안 듣고요 게다가 기본이 부족해서 아직 제 조언이 필요한 수준이 안 됩니다..ㅋㅋ
    (사실은 제 조언 없이도 많이 늘었습니다^ 그냥 밀고 가도 될 듯 싶고 때가 되면 살짝살짝 팁을 줄 생각입니다)

    언제 저와도 한게임 부탁드려요~^
  • 애거시짝퉁 03.01 12:49
    아직은 배울 것이 너무 많네요.
    2년쯤 내공을 더 쌓고 한 수 배우겠습니다~~

    *************

    주엽님이 얼마전에 적으신 "큰 근육" 얘기는 옳으신 생각인 듯 합니다.
    포핸드, 백핸드, 서브에서는 특히 그런 것 같습니다.
    이 큰 근육을 이용하는 mechanism을 제대로 이해하고 중점적으로 연습해도 단시일내에 실력이 빨리 늘 듯 합니다.
    대협님은 이 말 뜻을 이해 할려나(약 올리기 캬캬)
  • 애거시짝퉁 03.01 20:45
    target=_blank>http://tennisnet.co.kr/zboard.php?id=tennis_lesson&page=1&sn1=&divpage=1&sn=off&ss=on&sc=on&keyword=나달&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980


    나달의 모습인데요..
    동영상이라서 좀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느린 그림이라, 큰 근육(여기서는 상체회전)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볼 수 있습니다.
    (로그인은 하셔야 보입니다)

    나달의 경우에는
    임팩트때 오른쪽어깨(오른손잡이는 왼쪽어깨)가 거의 정지한 상태입니다.
    서브때와 비슷한..
  • 김대협 03.02 11:13
    큰근육? 딴나라 얘기들 하는군요!
    그냥 치다가 몸으로 터득하는게 본인 신념!
    잘들 지내요!
  • 주엽 03.02 12:37
    ㅋㅋㅋ 낼 보자
    상황 봐서 세컨서브도 좀 연습하자~
    나머지는 니가 알아서....ㅎㅎ

  1. notice

    테니스 복식 잘하는법 6가지

    동호인들이 좋아하는 테니스 복식에서는 매 랠리시마다 내가 할 일이 있다...볼을 공략하거나 아니면 위치를 공략해야 한다. 혹은 빈 곳을 지키려 이동해야 한다. 복식 파트너와도 좋...
    read more
  2. kinetic chain..어깨반동력이 전진운동의 목표..

    kinetic chain...그 원뜻이.. 무릎, 엉덩이, 어깨로 힘이 전달되는 형태입니다. 즉,, 아래에서 위로 가는 것입니다. 이것을 앞뒤의 관계로 생각해 보면,, 상체가 앞으로 이동하면서 생...
    Read More
  3. Off-balance시는 hitting zone이 小

    Off-balance시는 hitting zone이 小 Rotation중에 상체가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off-balance이면, 이용할 수 있는 hitting zone은 짧아진다. 페더러는 하체(hip)를 이용한 파워있는 ...
    Read More
  4. 테니스...동적 개념의 유니턴.. 팔꿈치 너머로 튀어오르는 공 보기

    유니턴 개념은 너무나 강조한 내용이라 전현중테니스교실 회원이라면 다 아는 내용입니다. 제 나름대로는 찾은 팁은 왼손이 오른발 위에 도달할 쯤이면 유니턴은 되었다는 판단을 한 ...
    Read More
  5. 공의 높이에 따른 팔꿈치 각도..

    포핸드 스트로크를 보면.. 포핸드에서 가장 치기 좋은 높이의 공은 허리에서 가슴사이라고 합니다. 이것을 아래 그림에서 보면 B의 높이입니다. 윗 그림 B에서 보면 팔꿈치와 상체가 ...
    Read More
  6. 회전력을 이용한다는 말은.. 상체 회전이 끝날무렵 와이퍼스윙

    오픈스탠스로 칠 때는 회전력이 중요합니다. 이 회전력이라는 것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 보겠습니다. 아래 그림1 과 2번을 보면,, (사진=정진화 테니스 교실) 둘다 팔은 뒤쪽...
    Read More
  7. 유니턴(몸통회전) = 라켓 테이크백(?)

    우선, 유니턴(UNIT TURN,몸통회전)은 상체를 돌리는 것이지 테이크백이 아닙니다...이부분을 먼저 이해하고... "상체가 오른쪽으로 회전을 하기까지는 팔로 라켓을 뒤로 빼지 않는다" ...
    Read More
  8. 스트로크 에러 줄이기의 핵심은 반대편 손

    프로들의 동영상을 보면,,공이 바운드가 되고,, 왼손하고 거리가 20-30cm의 거리가 될 때,,왼손의 회전이 시작되고, 동시에 포워드스윙이 시작됩니다.. 왼손이 회전을 한다는 것은,,왼...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