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결정구와 연결구의 유사점(팔로우드로)와 차이점(포워드 가속)..무릎 튕김 사용해 보기


스트로크를 할 때,,
연결구와 결정구를 섞어서 사용합니다.

그런데 연결구를 친다고 치는 것이 비실비실하게 날라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시 결정구같이 자신의 최고스윙속도로 스윙을 합니다.
그럼 어느 정도 만족스런 공이 나옵니다.

연결구를 하면 왜 비실비실한 공이 많이 나올까요?

문제는 팔로우드로의 크기차이입니다.

결정구와 연결구를 칠 때의 가장 큰 차이는
임팩트까지의 포워드스윙의 가속의 차이입니다.

결정구는 가속이 엄첨 나죠(그만큼 컨트롤이 쉽지 않습니다만).
따라서 임팩트후에 팔로우드로도 굉장히 큽니다.
공도 강하지만, 그만큼 길게 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결구의 경우에는 아무래도 가속이 느린 편입니다.
여기까지는 문제가 없지만,,
임팩트후에 팔로우드로가 작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공의 길이는 팔로우드로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습니다.

그래서 연결구를 할 때의 가속은 좀 낮추더라도,,
팔로우드로를 확실히 하는 습관을 들이면,,
공은 길게 나가므로,, 쉽게 공격을 받지 않습니다.

***********

중간 속도의 스윙으로 팔로우드로가 커지는데 기여하는 것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임팩트시에 무릎을 사용하면,, 스윙자체가 좀 더 원할하면서도 커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어떤 글에 보면,,
임팩트시에 무릎으로 공을 튕겨주는 느낌으로 쳐라고 합니다.
이 말이 정답에 가깝습니다.
(무릎을 펴면,, 상체가 회전할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꼬인 상체를 무릎이 원상복귀해 준다는)

연결구를 할 때,,
임팩트시에 무릎으로 공을 튕기는 느낌으로 하면,,
(임팩트시에 발 뒷굽치를 들라고 하는 것도 같은 의미입니다)
초기가속은 좀 느리더라도,, 팔로우드로가 어느 정도 커지는 듯 합니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