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평행진과 사선형에 대한 정확한 진단

평행진과 사선형에 대한 정확한 진단

초보자들은 복식게임을 할 때 파트너와 진지를 구축하여 싸우는데 서는 위치에 대하여 대충 고수들이 하는 방식을 보고 배워 사용한다.

 

평행진과 사선형에 대한 개념을 명확하게 알지 못하고 게임을 할 때 습관적으로 하는 방식대로 한다. 그러면 평행진과 사선형에 대하여 한번 알아본다.

 

 


A 팀이 퍼스트 서브를 넣는 경우 상대는 보통 두 사람이 모두 베이스라인 근처에 서서 플레이를 한다. 이 때 베이스라인에서 플레이하는 상대는 베이스라인 평행진이라고 할 수 있다.

 


A 팀이 세컨드 서브를 넣을 경우에는 상대 중 리턴을 받지 않는 사람은 서브라인으로 들어간다. 이런 경우 상대는 사선형이라고 한다.

A 팀이 서브를 넣고 전위는 네트 앞에 있고 서버는 서브&발리를 하기 위하여 네트에 접근한다. 이 경우는 서브라인 평행진이라고 할 수 있다. 사선형보다는 아무래도 평행진으로 플레이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복식이 능숙하게 되면 적극적으로 네트로 나가 평행진으로 플레이하는 기회를 자주 갖게 된다.  왜냐하면 복식은 네트 플레이가 포인트를 좌지우지하기 때문이다.


한 테니스 전문가는 『평행진으로 플레이한 게임의 포인트 획득율이 평균 68%였다」는 자료를 발표한 적이 있다.  결국 네트 앞에서 플레이하면 10포인트 중 7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러면 초보자들은 『우리 팀의 두명 모두 평행진을 취하면 상대 패싱샷에 당하지 않을까』라는 걱정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두 명이 모두 네트 앞으로 나오면 상대에게 압박을 가해 실수를 유발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만약 당신이 평행진 또는 사선형 중 어떤 진지를 구축할 것인가에 대하여 망설인다면 주저 말고 평행진을 취하기 바란다.

평행진에서 포인트를 따기 위해서는 전위와 후위가 나란히 서지 않아야 하며 역할 분담을 확실히 해야 한다.  후위는 상대팀의 후위를 마주보고 선다.


평행진에서 후위는 상대 후위를 마주보고 준비한다.  몸을 네트 방향으로 향하는 것이 아니라 볼을 치고 있는 상대 후위 방향으로 향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기편 전위를 항상 볼 수 있으면서 플레이를 할 수 있다.

자기 팀의 전위가 뒤로 빠트린 로브에도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평행진의 기본 포지션은 후위가 서비스라인 선상, 전위는 네트에서 2미터 정도 떨어져 서는 것이 좋다.
 

볼을 깊게 연결하거나 로브를 방어하는 것은 후위의 역할이고 포치를 하거나 포인트를 결정하는 것은 전위의 역할인 것처럼 초중급자는 역할 분담을 해두는 것이 좋다.
그렇게 해야만 센터 수비도 가능해진다.

자기편 전위가 놓친 로브는 후위가 쫓아가서 발리로 상대 후위에게 깊게 리턴한다.
만약 자기 코트에서 바운드가 되면 베이스라인 가까이까지 흐르기 때문에 평행진이 무너진다. 


후위가 로브를 방어하는 역할 분담이 명확하면 빠르게 쫓아가서 발리로 돌려보내고 평행진을 유지할 수 있다.


발리로 상대 로브를 처리한 후에는 네트로 대시하여 전위가 되고, 파트너는 서비스라인으로 물러나 후위가 되는 역할 체인지를 한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1. No Image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할까? - (복식을 하는 테니스인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할까? 웨스 킹슬리는 회사의 중역으로 회사와 가정에서의 인간관계로 많은 고민을 하던 사람이었다. 그는 플로리다에 출장을 가 있는 동안 우연한 기회에 씨월드 해양관에서 범고래의 멋진 쇼를 보게 되었는데, 크게 기대하지 않았던 그 ...
    Read More
  2. 테니스 코트에서 만나면 항상 기분이 좋아지는 사람!

    테니스 코트에서 우리는 다양한 사람들을 만난다. 인생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만남이다. 독일의 문학자 한스 카롯사는 "인생은 너와 나의 만남이다."고 말했다. 인간은 만남의 존재이다. 인생에서 만남은 모든 것을 결정한다. 우연한 만남이든 섭리적 만남이든...
    Read More
  3. 실력향상을 위한 연습법-앨리게임

    실력향상을 위한 연습법-앨리게임 마지막으로 앨리지역에서 게임을 하는 것이다. 앨리지역이란 단식과 복식라인 사이에 있는 가늘고 긴 지역이다. 처음에는 마주보고 스트레이트 볼로 연습을 한다. 주로 스트로크를 위주로 연습 볼을 치며 기회가 되면 빠르게 ...
    Read More
  4. 평행진과 사선형에 대한 정확한 진단

    평행진과 사선형에 대한 정확한 진단 초보자들은 복식게임을 할 때 파트너와 진지를 구축하여 싸우는데 서는 위치에 대하여 대충 고수들이 하는 방식을 보고 배워 사용한다. 평행진과 사선형에 대한 개념을 명확하게 알지 못하고 게임을 할 때 습관적으로 하는...
    Read More
  5. 테니스도 반복 훈련이 중요하다.

    테니스도 반복훈련이 중요하다. 테니스는 반복적인 훈련이 꼭 필요한 운동이다. 운동신경이 뛰어난 사람들이 테니스를 할 때 빠르게 적응하여 고수가 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운동신경만으로 모든 것이 해결이 잘 되지 않는 것이 테니스라는 특수성 때문이다. ...
    Read More
  6. No Image

    데드존으로 볼을 보내면 유리하다.

    데드존으로 볼을 보내면 유리하다. 데드존이란 볼을 받기 어려운 지역, 즉 위험 지역이다. 이 위치로 볼을 보내는 연습을 많이 해야 한다. 사실, 상대가 발리로 들어와 있으면 칠 곳이 없다. 빈틈이 없이 보내는 볼을 전부 받아낸다면 어떻게 해 볼 도리가 없...
    Read More
  7. 테린이 탈출하기 - 테니스 단식과 복식의 차이점

    단식과 복식의 차이는 무엇인가? 단식은 코스를 주로 보고 볼을 치며 복식은 주로 높낮이를컨트롤 할 수 있어야 한다. 단식에서는 다음 볼을 예측하여 코스를 먼저 생각을 한다. 복식은 우선 상대 전위에게 포치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리턴을 낮게 하거나 로...
    Read More
  8. No Image

    테니스에서 아주 중요한..첫 포인트는 무조건 잡아라.

    첫 포인트는 무조건 잡아라. 게임을 할 때 첫 포인트가 매우 중요하다. 첫 포인트를 따면 기선을 제압할 수 있고 분위기를 높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그리고 그 게임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 갈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것은 특히 3-3, 3-4, 4-4와 같...
    Read More
  9. 복식게임을 잘 하는 선수!

    복식게임을 잘 하는 선수! 테니스 게임에는 단식과 복식게임이 있다. 세계적인 메이저대회에서는 단식게임이 호응을 받고 있다. 이런 대회에서 복식게임도 하지만 우리 동호인들은 복식게임에는 별로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복식게임은 누가 우승을 했는지에 ...
    Read More
  10. No Image

    전과 달라진 테니스에 대한 생각

    오랜만이라 글쓰기가 멋적다. 사람이 용렬(용맹하다는 좋은 뜻 말고 변변치 못하다는 나쁜 뜻)하다보니 이제사 내가 그동안 삐뚜름한 생각을 갖고 있었다는 걸 깨닫는가보다. 선수가 아닌 동호인에게(선수에게조차) 테니스가 최우선순위이라는 건 뭐가 잘못되...
    Read More
  11. No Image

    달묵은 기사를 보다가 문득

    광저우 아시안게임 결승에서 왕기춘선수가 자신의 양심의 명령에 따라 부상을 입은 상대선수의 발목부분을 공격하지 않아서 쉬운 금메달 그래서 부끄러운 승리 대신 깨끗한 패배를 택했다고 더구나 이런 거창한 말이 아닌 '왜 그랬는지 나도 모르겠다'라 답변...
    Read More
  12. 테니스에서 힘배기 ..힘 빼는데 삼년? 오년? 한 십년?

    처음 레슨받을 때만해도 힘 빼는데 삼년 걸린다는 말이 무슨 소린가 했다. 힘을 싣는게 어렵지 힘을 빼는 것쯤이야! 그런데 삼년은 커녕 그 따블이 되어가도록 이 힘이란 놈이 빠지기는 고사하고 아직도 모아져야 할 때와 장소를 가리지 못하고 있으니 쯧쯧. ...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