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ostedDec 12, 2022

한국테니스 산업 지각변동 - 꿈틀

Atachment
첨부 '1'

14150_84122_1252.jpg

 

한국의 테니스산업은 서구에 비해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도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다.

 

2001년 시드니 아디다스인터내셔널에서 이형택 선수가 한국인으로서 첫 우승을 하고 2018년 정현 선수가 그랜드슬램 호주오픈 4강에 오르면서 세계인의 기억 속에는 강렬한 ‘한국테니스’가 각인되었다. 2021년 권순우 선수가 ATP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오픈에서 우승하는 쾌거를 거두기도 했다.

 

우리나라 테니스 선수들의 위상이 이렇게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해 있지만 한편으로는 한국의 테니스 관련 산업은 아직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는 시각이 있다.

 

지금까지 국내 테니스산업은 일부 중장년층 등의 테니스 참여와 구매력에 의존해 제한적으로 발전해왔기 때문이다.

 

테니스산업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테니스 선수, 코치, 테니스를 즐기는 참여자가 더욱더 늘어나야 한다. 테니스인구가 많아져야 참여자, 관람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테니스 시장이 확장될 수있다.

 

다행히도 지난 4년간 테니스장, 실내테니스연습장 수가 늘어나면서 테니스의 대중화가 점차적으로 진행되어 계층, 성별, 연령을 뛰어 넘는 테니스인구 증가가 발생했고 이에 따라 테니스 관련 시설, 테니스 용품, 레슨시장의 규모가 발전해 올 수 있었다.

 

그러나 일부 테니스 선진국에서는 테니스 참여자들의 세대가 변하고 라이프 스타일이 변화하면서 테니스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보고결과가 있다.

 

테니스인들의 참여 시간도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테니스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테니스산업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테니스 선진국의 사례를 교훈 삼아 급변하는 국내의 사회적, 경제적 변화는 물론 국민들의 라이프 스타일과 이에 따른 테니스 시장의 변화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정책과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테니스 산업과 관련된 기관이 테니스선수, 테니스인구, 테니스용품, 테니스시설과 관련된 테니스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예산과 함께 반영하여 모든 국민들이 생활스포츠로서 테니스를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또한 일부에 편중된 전통적인 테니스 문화를 혁신해서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테니스를 즐길 수 있는 시장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한국의 세계적인 ICT기술과 여가 문화가 결합되어 세계 최고의 수준으로 발전한 실내테니스 연습장과 더불어 다양한 브랜드 테니스용품 시장의 질적 성장 등이 테니스와 대중을 더욱 가까워지게 할것이다.

 

특히 테니스꿈나무 육성, 차세대 테니스 지도자 양성, 테니스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사업 추진이 절실해 보인다. 과거 테니스 선진국들이 보여준 테니스 산업의 성장 과정을 뛰어넘을 수 있는 발전방향이 필요하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테니스의 가장 고질적인 문제인 낙후된 테니스장이 몇몇 투자기업으로 인해 시설개발이 앞다투어 이뤄지고 있다. 정식 규격의 테니스코트와 실내코트등이 수도권에 생기거나 계획 추진중이 곳이 여럿 있다.

 

이는 1천억원 매출 규모의 실내테니스연습장에서 쏟아지는 1만여명의 테니스 인구를 흡수하기에 이르렀다. 

 

시설 개발은 동호인 인구를 크게 늘리고 선수시장이 커지고 스폰서들이 테니스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올해 한 테니스용품업체는 지난해 대비 35% 매출신장이 이뤄져 내년에 큰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다.

 

이 모든 것이 테니스인구의 증가와 시설 확충으로 더욱더 발전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수도권에 호텔과 국제규격의 테니스장, 실내코트가 갖춰진 시설이 진행되면서 터키 안탈랴나 이집트 샴엘 세이크, 튀니지에서 매주 열리는 남녀 서키트 M15, W15 대회의 연중 개최도 우리나라에서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사=테니스피플 박원식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공지 월례대회 테니스 대진표(KDK.한울) , 경기 기록지, 동호회 회칙(샘풀 다운로드) 5 file
30 해외유학파 노호영, 김유진 장호배 2연패 file
29 장호 홍종문배 주니어 대회를 하는 이유 file
28 19살 제라드 캄파냐 리, 안성 국제남자 테니스대회 준결승 진출..정윤성과 결승 티켓 놓고 대결 file
27 양구에서 23개 테니스대회 163일간 개최하는 이유 - 제2 실내테니스장 금년내 착공 file
26 IBK그랜드슬램주니어테니스팀의 나비효과 한국테니스 - 미래가치’에 초점 file
25 기업은행, 테니스 유망주 지원 프로그램 2년차 선수 선발 - 이현이, 이하음, 임사랑, 조나형 file
24 모든 것은 기본에서 시작한다 - 해외 돌아다니는 것만 능사일까. file
23 서울 주니어 윈터리그 오픈 1.10~2.23, 서울 수도전기공고 file
22 일본의 전현직 테니스 선수들이 하는 주니어 육성 노력 - 니시오카 요시히토와 기미코 다테 file
21 2023 IBK 그랜드슬램 주니어 육성팀 모집 file
20 2022고양호수배 전국주니어테니스대회 file
» 한국테니스 산업 지각변동 - 꿈틀 file
18 2022고양호수배 전국주니어테니스대회..12월17일-18일 file
17 장호테니스재단의 선수 후원에 담긴 뜻 file
16 유망주 노호영 장호테니스재단 후원 수혜 file
15 장호배사상 첫 유학파 남녀 동반 우승.. IMG 출신 노호영, 김유진 우승 file
14 제라드 캄파냐 리, 일본 주니어대회 우승.. 주니어 세계랭킹 탑 10 진입 file
13 캄파냐 리, 주니어 랭킹 1위 이기고 체코 프라하 J1 대회 우승 file
12 주니어 18만명이 있는 이탈리아 테니스의 '힘' file
11 김장준, 장가을 등 유망주들 국제대회 두각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