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호주 테니스의 아버지 - 로드 레이버

로드 레이버

매년 초 호주오픈이 열리는 맬버른 경기장. 그곳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여러 해동안 센터코트로 사용해 왔던 한 웅장한 경기장을 발견하게 된다.

 

그 경기장의 이름은 로드 레이버 아레나(Rod Laver Arena). 호주인들은 60년대 남자테니스계를 평정했던 자국의 전설적인 인물 로드 레이버를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딴 경기장을 만들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로드 레이버는 어떠한 전설을 남겼길래 로이 에머슨(“테니스의 전설들 제4편” 참조)과 함께 호주 테니스의 아버지로 추앙받고 있을까.

 

그것은 최초로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돈 벗지(제2편 참조) 이후 사상 두번째로 그랜드슬램의 자리에 오른 업적, 호주인으로서는 최초로 그랜드슬램을 차지했던 업적, 그리고 남녀선수 통틀어 사상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무이하게 두번이나 그랜드슬램의 자리에 오른 업적 때문일 것이다.

로드 레이버(본명: Rodney George Laver, 1938- )


그는 1938년 8월 9일 호주 퀸스랜드의 록햄턴(Rockhamton)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잔병에 시달려 병원을 자주 드나들었었고 체구 또한 스포츠맨으로 성장할 정도가 아니었기 때문에 주위에서는 그가 후에 세계 테니스를 평정하리라고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그러나 그가 소년기 자신의 잔병치레를 극복하기 위하여 운동에 전념하기로 하였고 마침 테니스 코트를 소유하고 있었던 그의 부모님(부모 역시 론테니스 선수 출신이다.) 덕택에 테니스에서 천재적 재능을 발휘하기에 이른다.

 

이후 그의 부모님은 당시 호주 최고의 코치였던 해리 호프만(제4편 참조)에게 자기 아들의 천재성을 문의하게 되며 호프만의 눈에 든 레이버는 15세에 이르러 자신이 다니던 학교를 그만두고 호프만의 제자로 들어와 본격적인 테니스 수업을 받게 된다.

호프만의 코치하에서 레이버는 고속성장을 이룬다. 특히 레이버의 연습장면을 꼼꼼히 체크해 온 호프만은 레이버가 왼손잡이 선수로서 당시 보기 드문 강서브를 선보이자 그를 두고 ‘록햄턴의 로켓(Rockhamton Rocket)’이라 불렀으며 이 닉네임 ‘로켓’은 이후 그의 트레이드 마크가 되기도 하였다.

 

레이버는 17세에 이르러 호주의 국가대표에 발탁되며 해외 첫 원정경기에 나서(미국 주니어 챔피언쉽) 우승하는 등 앞으로의 ‘큰 일’에 대비하게 된다.

 

1959년 그의 나이 21세에 프랑스 오픈 준우승(혼합복식), 윔블던 준우승(단식, 혼합복식), 호주오픈 우승(복식)과 준우승(혼복)의 성적을 이뤄내면서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1960년에 대망의 첫 메이저 타이틀(1960년 호주오픈)을 따내면서 그는 호주 테니스계의 스타로 떠올랐다.

 

그는 이때부터 호주의 또다른 수퍼스타 로이 에머슨과 10년간 라이벌 관계가 된다.


61년 윔블던에서 자신의 두번째 메이저 타이틀을 따낸 그는 그 이듬해인 62년 호주테니스인들의 숙원이었던 그랜드슬램 달성에 성공, 역사상 두번째, 남녀 통틀어 세번째의 그랜드 슬래머가 된다.(38년 돈 벗지, 53년 모린 코놀리(여))

그의 그랜드스램 위업은 호주인으로서는 최초일뿐 아니라 테니스 라이벌 관계에 있는 미국에 대한 선전포고와도 같은 대 사건이었다.

 

<설명: 이때부터 세계 남자테니스는 호주가 완전히 장악, 로드 레이버, 로이 에머슨, 켄 로스웰, 존 뉴컴으로 이어지며 최초의 흑인 메이저 우승자인 미국의 아더 아쉐(Arthur Ashe, 68년 US Open, 70년 호주오픈, 75년 윔블던 우승)를 넘어 지미 코너스(Jimmy Conners)가 나타날 때까지 계속된다.>

한참 전성기를 누릴 무렵 그는 라이벌 로이 에머슨에게 메이저 대회 챔피언 자리를 내놓게되면서 슬럼프에 빠진다. 63년부터 67년까지 5년간 단 한차례의 메이저 타이틀도 획득하지 못했던 것이다.

 

그러나 68년, 30세의 나이에 달한 그는 윔블던에서 한차례 우승하면서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고 그의 나이 31세인 그 이듬해 1969년, 또 한번의 기적을 호주인들에게 선사하게 된다.

 

이 해에는 자신의 후배로서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었던 켄 로스웰, 존 뉴컴을 상대로 프랑스오픈과 윔블던을 연달아 제패하고, US 오픈, 호주오픈 마저 연속으로 제패함으로써 한 사람이 한번 하기도 힘든 그랜드슬램 위업을 62년에 이어 두번이나 이루고 만다.

 

한 사람이 이루어낸 두번의 그랜드 슬램은 현재에 이르기까지도 로드 레이버가 유일하게 세운 전무후무한 기록으로 남게 된다.

첫 그랜드슬램의 위업을 이루었던 62년까지는 아마추어로 활동하다가 63년에 프로로 전향했던 로드 레이버는 ‘로켓’으로 불리우는 가공할만한 서브 뿐 아니라 다양한 구질을 사용하여 테니스를 정복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그는 특히 기본이 되는 포핸드, 백핸드 스트로크, 그리고 서브와 발리 뿐 아니라 전후 좌우의 모든 방향에서 톱스핀, 슬라이스, 로브 등을 구사하여 모든 테니스 기술에 탁월한 감각을 가졌던 인물이다. 후에 이름을 떨친 스웨덴의 전설 비욘 보그(Bjorn Borg)도 자신이 로드 레이버의 테니스 기술을 모델로 삼았다고 밝힌 바 있다.

그의 기록은 그랜드슬램 뿐만이 아니었다. 그는 1971년에 프로 테니스 선수로는 처음으로 100만 달러가 넘는 총상금(요즘은 메이저 대회 하나만 우승해도 100만달러가 넘으나 당시시세 등을 고려하면 기록적인 상금이었다.)을 기록했으며, 1978년 지미 코너스가 그 기록을 깰 때까지 테니스 선수로는 사상최고의 상금 수입을 올려 프로선수들의 상금수입 경쟁을 유도하기도 하였다.

 

그는 42세 되던 1980년, 당시 유명 테니스 선수들로서는 엄두를 내지 못하는 30만달러짜리 호화저택을 구입하면서 프로 테니스 선수들의 꿈인 부와 명예의 표본이 되기도 하였다.

그는 1976년 월드팀 챔피언쉽에서 샌디애고 팀으로 출전, 공로상을 받은 후 선수생활을 접어두고 은퇴, 그후 호주 테니스 선수들의 후진 양성에 힘썼다.

 

현재 그가 주요 대회의 결승 시상인으로 초청, 귀빈급 인사로 대접받는데서 테니스에서 차지하고 있는 그의 위상을 엿볼수 있으며 호주 테니스계에도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는 호주 테니스 역사의 획을 긋는 훌륭한 업적으로 말미암아 1981년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

<필자 후기>


"테니스의 전설들"만을 따로 모아서 쉽게 보기를 원하실 경우, 게시판 초기화면의 <제목검색>란에서 "전설"을 기입하고 엔터를 치시면 현재까지 발표된 "테니스의 전설들"을 간추릴 수 있습니다.

 

글쓴이=박일균님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TAG •

  • Newingtonian 07.18 18:39
    그래서 호주오픈 최대의 경기장이 Rod Laver Arena인듯

  1. 나달은 누구? - 경기할 때 열정, 집중, 긍정 이 세가지를 늘 생각한다

    라파엘 나달 롤랑가로스 12번 우승 인터뷰 나달은 말 실수를 거의 하지 않는다. 늘 공손하고 겸손하고 상대를 존중한다. 자신은 늘 배우는 자세로 테니스를 대한다고 했다. 아래는 롤랑가로스 남자 단식 우승한 라파엘 나달과의 공식 인터뷰. -결승전에 27번 ...
    Read More
  2. 알렉산더 즈베레프는 누구?

    알렉산더 즈베레프( Alexander Zverev) 독일 국적의 세계랭킹 5위 1997년생, 2013년에 프로에 데뷔했으며, 2016년에 러시아에서 열린 샹트페테르브크 대회에서 첫 투어 타이틀을 획득했다. 첫 우승 당시 결승전 상대는 페더러와 함께 스위스 듀오로 불리는 스...
    Read More
  3. 결국 남는 것은 사람- 37살 '코트의 황소' 다비드 페레르

    스페인의 다비드 페레르(37)가 은퇴수순에 들어갔다.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오픈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한 페러가 나달과의 바르셀로나오픈 3회전을 끝으로 정들었던 코트를 떠난다. 나달과의 경기막판에 빗방울이 떨어져 은퇴하는 페레르의 심경을 나타내는 듯...
    Read More
  4. 알리아심은 누구..35년 만에 마이매미 역사 새로 쓴 차세대 리더

    2019년 3월18일부터 시작된 마이매미 마스터즈 테니스 대회에서 역사적인 기록을 이어가는 선수가 있다. 준결승에 오른 18살, 캐나다의 펠릭스 오제 알리아심이다. 알리아심은 3월 28일 열린 8강전에서 22살, 13위인 크로아티아의 보르나 초리치를 2-0으로 이...
    Read More
  5. 에르베르는 누구?..복식에서 4대 그랜드슬램 우승한 실력파

    2019년 호주오픈에서 정현과 32강 진출을 놓고 대결한 53위, 프랑스의 피에르 위그 에르베르는 올해 27살로 188cm의 장신에 속한다. 2007년에 프로에 데뷔해 2018년 본인 최고 랭킹 50위에 올랐다. 지난해 부터 상승세를 타고 있으며 투어 단식 타이틀은 없으...
    Read More
  6. 페더러 - 오늘날의 나를 있게 해준 사람은 피터 카터

    17년전인 2002년 남아공에서 신혼여행 중 교통 사고로 사망(당시 37세)한 페더러의 코치 피터 카터 사진=팍스 스포츠 페더러는 8일 CNN과의 인터뷰에서 "오늘날의 나를 있게 해주고 나의 기술을 완성 시켜준 사람" 이라고 말하며 눈시울을 붉혔습니다. 1964년...
    Read More
  7. 스테파노스 치치파스는 누구 - 차세대 세계 테니스 리더

    2019년 20살이 되는 그리스 청년의 미래는 희망적이다. 치치파스는 2018년 넥스트 제너레이션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스톡홀름 투어 에서 첫 ATP 타이틀도 손에 쥐었다. 2016년 프로데뷔 후 2년만에 세계 랭킹 15위에 올라있다. 20위내에 올라있는 선수...
    Read More
  8. 보르나 초리치는 누구?

    보르나 초리치(인스타그램) 올해 21살인 초리치는 크로아티아 태생으로 2013년 프로에 데뷔했다. 10월8일자 세계 랭킹 19위에 올라있으며 통산 투어 타이틀 2개를 보유한 선수로 차세대 ATP 리더로 부상하고 있다. 2017년부터 이탈리아 출신의 리카르도 피아티...
    Read More
  9. 조코비치는 누구..니키필립과 마리온 바에다 만나 대선수의 길로

    조코비치는... 세르비아의 베오그라드에서 1987년 2월 태어난 조코비치는 4살 때부터 테니스를 시작하였다. 아버지를 비롯해 삼촌과 숙모까지 모두가 프로 스키선수 출신이었으며, 가족들도 조코비치가 훌륭한 스키선수가 되어주기를 원했다고 전해진다. 그러...
    Read More
  10. 테니스 코트의 지배자..도미니크 팀은 누구?

    사진=테니스피플 2018년 US오픈에서 승승장구 하며 탑 시더들을 위협한 20대 선수가 있었다. 당시 세계 랭킹 9위에 올라 있던 오스트리아의 도미니크 팀이다. 클레이코트를 특히 좋아하는 팀은 ‘도미네이터’(지배자)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강력한 탑스핀 포핸...
    Read More
  11. 존 밀맨은 누구?...우리나라대회 '단골손님' 밀맨

    밀맨은 2012년 부산오픈 챌린저 때 구멍난 테니스화를 신고 경기를 했다 존 밀맨(1989년 6월 14일생)은 호주 브리즈번 출신 선수로 역대 최고 랭킹은 52위. 룩 소 렌센이 코치를 맡고 있다. 투어 우승은 없고 결승에 한번 올랐다. 우리나라 챌린저와 퓨처스에 ...
    Read More
  12. 라파엘 나달은 누구?

    라파엘 나달에 대하여 테니스 팬들이 조금은 잘못 알고 있는 부분들이 있다. 탑 5에 항상 자리하고 있지만 클레이 코트에서만 유독 강하고 다른 코트에서는 그저 그런 선수로 평가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나달의 기록을 세세하게 들여다 보면 그런 선입견은 옳...
    Read More
  13. 코치는 선수에게 배우는 직업-도미니크 팀을 업그레이드 시킨 귄터 브레스닉

    ▲ 11년간 선수를 키우면서 그 경험담을 모아 책을 낸 귄터의 '도미니크 팀 방식' 베테랑 오스트리아 감독(57세) 귄터 브레스닉은 도미니크 팀의 코치다. 오스트리아에서 30년간 감독직을 맡아온 귄터는 지난 11년 동안 도미니크 팀을 맡아 훈련시켰고 업그레이...
    Read More
  14. 디에고 슈와르츠만은 누구?

    인스타그램 170CM로 현역 ATP 선수중 키가 가장 작아 붙여진 별명이 [작은 거인]인 디에고 슈와르츠만은 1992년 아르헨티나 브에노스 아이레스에서 태어났다. 친구들이나 가족들은 별명으로 Shorty(키작은 사람)..땅꼬마(?)로 부른다고 한다. 2010년 프로에 데...
    Read More
  15. No Image

    신선한 충격 - 비욘 보그

    비욘 보그 동계 스포츠의 강국 스웨덴이 오늘날 테니스의 강국으로 우뚝 선 것은 불과 20여년 전이었다. 스웨덴은 현재 노만, 요한슨, 엔크비스트, 그리고 복식의 강자인 비요르크만과 신세대 기수인 빈시게라 등 호화군단을 자랑하고 있고 80년대엔 매츠 빌란...
    Read More
  16. No Image

    테니스의 신 - 지미 코너스

    지미 코너스 로드 레이버와 로이 에머슨이라는 두명의 걸출한 스타를 앞세워 60년대 남자 테니스를 좌지우지했던 호주의 테니스는 70년대에 이르러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다. 물론 그들의 후배인 존 뉴컴(John Newcome)과 켄 로스웰(Ken Rosewall)이 명맥을 이...
    Read More
  17. No Image

    호주 테니스의 아버지 - 로드 레이버

    로드 레이버 매년 초 호주오픈이 열리는 맬버른 경기장. 그곳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여러 해동안 센터코트로 사용해 왔던 한 웅장한 경기장을 발견하게 된다. 그 경기장의 이름은 로드 레이버 아레나(Rod Laver Arena). 호주인들은 60년대 남자테니스계를 평정...
    Read More
  18. 원조 테니스 천재 - 르네 라코스테..사업가로 대성공

    르네 라코스테(위키피디 wikipedia) 아직 은퇴를 발표하고 있지는 않지만 90년대를 호령해왔던 샘프라스, 애거시의 시대가 서서히 가고 20세 초반 신세대 선수들로 세대교체가 이루어지고 있었던 시절 130년 테니스 역사상 가장 위대했던 테니스 선수가 누구였...
    Read More
  19. No Image

    아가씨의 부인 - 슈테피 그라프(여)

    슈테피 그라프(여) - 테니스의 전설! 1985년 윔블던 대회 남자 결승. 4세트만에 우승자가 확정되는 순간 독일 각지에서는 때아닌 도심의 경적소리가 울려퍼졌다. 1930년대에 프랑스오픈을 제패한 바 있는 폰 크람(G. von Cramm)과 헨켈(H. Henkel)이후 약 50년...
    Read More
  20. No Image

    테니스의 아버지 - 이반 랜들

    70년대 지미 코너스와 비욘 보그의 라이벌 관계가 무르익고 후반에는 존 매켄로가 뛰어들어 남자 테니스의 3인 경쟁체제가 확고해질 무렵, 당시 공산권 국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겁없이 도전장을 내민 이가 있었으니 그가 바로 이반 랜들이다. 랜들의 성과는 ...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