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력한 포핸드 - (태이크백의 숨겨진 비밀)

안녕하세요?
이번엔 태이크백시에 나타나는 모든 프로들의 공통점을 관찰해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 초-중급자들의 스트로크의 문제점
1. 공을 치기전에 일어나는 팔의 내전
2. 공을 두텁게 맞추지 못하며 스핀이 과도하게 걸림
3. 스윙의 궤도상 스윗스팟을 맞추기가 어렵기 때문에 두텁게 히팅하는게 거의 불가능
4. 공이 뜨기가 쉬움 (많은 아웃과 힘 없이 네트로 향함)
5. 큰 태이크백을 하거나 라켓면을 유지하는대 어려움이 많은 NTRP 4.0~4.5 동호인들의 불안정적인 스윙

- 결과적으로 좋은 포핸드를 가지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라켓면을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시원한 포워드 스윙도 빠질수가 없겠죠?

- 테니스는 준비자세가 가장 중요합니다. 발란스를 유지하고 얼마나 효과적으로 빨리 준비를 하느냐가 중요합니다.

- 사실 동호인 레벨의 테니스에서는 테이크백이 얼마나 크고 간결하냐의 차이가 동호인들의 실력을 나누지는 못합니다. "어느 선수가 얼마나 더 좋은 스윙을 가지고 있냐"가 오히려 더 중요한 것이죠. 물론 태이크백이 간결하고 좋은 폼을 페더러 같은 훌륭한 선수들을 관찰하면서 배우고 노력하고 있다면 더 없이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기본이 없거나 선수들의 스타일만 따라해서는 절대 좋은 샷을 가질수가 없습니다.

1 - 첫걸음

많은 동호인들은 간결한 태이크백에 너무 많은 시간을 투자합니다. 그들은 자신의 폼을 간결하게 만들기 위해서 거울 앞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하지만 간결함의 목적을 알고 있는 동호인들은 극소수!

태이크백을 어디까지 해야 간결한 태이크백인지... 어디까지가 태이크백이고 어디까지가 포워드 스윙인지...... 내 나름대로 난 아가씨나 페더러같이 태이크백이 간결하다고 생각하는대 왜 난 스윗스팟도 못맞추는지?...

엄청난 스트레스죠?

슬럼프를 벗어나기 위한 태이크백의 Check Point를 이번 시간에 설명하겠습니다.

2 - 간결함의 목적

프로 선수들 중에는 태이크백이 간결한 선수도 있고 아주 큰 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두 타입의 선수들 모두 힘있는 샷과 좋은 컨트롤을 보여줍니다. 이 선수들은 어떤 공통점을 가지고 있기에 이런 좋은 샷을 보여주는 것일까요?

사실 태이크백의 간결 할 수록 공에 대한 준비가 빨라집니다.

하지만 어깨가 열리면서 시작되는 포워드 스윙은 "같다!!" 입니다.

즉 간결함의 목적은 공에 대한 빠른 준비이며 태이크백이 간결할수록 더욱 빨리 빠른 공에 준비 할 수가 있다는 아주 상식적인 이론입니다.

간결한 태이크백은 빠른 준비를 가능하게 해줄뿐! 포워드 스윙과 관련이 없습니다.


3 - 프로 선수들의 공통점

- 선수들의 태이크백 마지막 자세를 보겠습니다.
- 전진 스윙이 시작되기 바로 직전의 모습입니다. (어깨가 돌아가기전)

Check Point

1. 라켓이 향하고 있는 방향
2. 오른손

strf1.gif
로져 페더러 - 인사이드 아웃

strf2.gif
마디 피쉬 - 인사이드 아웃

strf3.gif
안드레 아가씨 - 높은 볼

strf4.gif
제임스 블래이크 - 오픈스텐스

strf5.gif
토미 하스 - 인사이드 아웃

strf6.gif
마랏 사핀 - 워밍업 (난타)

strf7.gif
엔디 로딕 - 워밍업 (난타)



※ 어깨가 오른쪽을 향하고 있습니다. 아직 어깨가 돌아가지 않았고 포워드 스윙이 시작되기 직전의 선수들 모습입니다.

위 7명의 선수들은 세계에서 알아주는 포핸드를 가지고 있는 선수들입니다. 서로 그립도 다르며 랭킹도 다르고 또한 태이크백 스타일도 모두 다른 선수들이죠.

하지만 기본기만은 모두 비슷하죠? 어깨가 돌아가고 포워드 스윙이 시작되기 바로 직전의 모습을 캡쳐한 것입니다.즉 테이크백의 Final Position 이라고 봅시다.

1. 라켓은 뒤쪽을 향한다.

이 포지션까지 간결하게 오는 선수가 빠른 공에 대한 준비가 빠른 것이죠. 제가 모델로한 7명의 선수들은 이 포지션까지 간결하고 효과적으로 태이크백을 하는 선수들입니다. 또한 발란스가 아주 좋은 선수들입니다.
왼쪽손을 보세요. 정말 완벽한 발란스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2. 오른손은 핀다? 구부린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솔직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도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

위의 7명의 선수들은 이 포지션에서 팔이 쭉 펴지는 편입니다. 안드레 아가씨와 로딕의 경우엔 어느정도 느슨하게 구부러지는 편입니다. 하지만 저 포지션에서의 팔의 구부러짐의 각도가 히팅 순간까지 이어진다는 것입니다.

그것을 봤을때 팔이 펴져있을때 자연스러운 포워드 스윙이 나온다는 것입니다.

팔을 구부려서 치는 선수중엔 세바스찬 그로장이란 선수가 있는대. 약간 스윙이 부자연스럽다고 느껴질때가 종종 있으며... 스윙의 발란스가 부자연스럽다고 느껴질때가 있습니다만.... 강력한 포핸드를 가지고 있는 선수중 하나죠. ^^

하지만 페더러보다 포핸드 잘치는 선수가 없기에....... 그의 기술은 곧 법이고 규칙이고 교과서............

^^ 이 부분에 대해서는 크게 토론하지 않겠습니다. 나중에 답이 나오거나 이 부분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계신 분들은 추가 설명 부탁드립니다. 전 이 부분에 대해서 크게 관심이 없네요. ^^


4 - Check Point

거울 앞에서 한번 스윙해 볼까요? ㅋㅋ

마지막 태이크백 포지션을 한 후 (위 7명의 모델과 같이)

strf8.gif
마디 피쉬의 시원스러운 포핸드입니다.

- 올바른 태이크백이 얼마나 엄청난 결과를 가지고 오는지 알려주는 이미지 파일 입니다.

마지막 태이크백 포지션을 올바르게 가져감으로써 어깨의 회전만으로도 아주 시원스러운 스윙이 나오게 됩니다.

이미지 파일의 4번째 프레임 (어깨의 회전) 그림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포워드 스윙이 시작할때 어깨의 회전과 팔의 포워드 스윙이 시작이 됩니다. 인체의 특성상 어깨가 팔보다 빨리 돌아가게 됩니다. 물론 팔의 움직임도 있습니다. 그리고 임팩트후 팔로우스루가 이어집니다.

위 7명의 모델이 시범으로 보여준 마지막 태이크백 자세에서 어깨만 회전해보세요. ^^ 프로 선수들의 엄청난 라켓 스피드의 비밀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몸 하나하나가 리듬과 박자에 맞게 이렇게 움직일때 엄청난 파워를 만들며 안전한 라켓면도 만들수가 있는 것입니다.


- 미국인 선수 마디 피쉬는 발란스가 아주 좋은 선수로써 샷을 칠때에도 완벽한 균형을 유지하는 훌륭한 선수중 하나입니다. 흠이라면 랭킹이 실력보다 낮다는 것이지만...
게임 운영 능력과 멘탈쪽으로 보완이 된다면 더욱 좋을 것같습니다.

이 선수가 테니스 매니아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는 이유가 서브앤 발리가 아주 훌륭하다는 점이죠 ^^

나중에 이 선수의 경기를 보시게 된다면 이 선수가 샷을 칠때 절대 흔들리지 않는 발란스와 이 선수의 훌륭한 서브앤 발리 플래이를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



5 - 결론


간결하다고 샷을 잘 치는 것은 아닙니다. 간결하지 못해도 기본기가 있으면 대한민국 Number 1이 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간결하지 못하다면 세계 Number 1이 될 수가 없습니다.

간결함의 장점은 정말 많습니다. 하지만 그 간결함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기전에 선수들의 공통점을 잘 알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훌륭한 샷을 치기 위해서 수만명의 선수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것이 무엇이냐?

답은 이 글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기본이 잡힌후에 태이크백 마지막 포지션까지 가기 위해서 최대한 간결하고 효과적인 태이크백 방법이 무엇이냐?

이 질문은 그 다음에 생각하시는게 더 좋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




[고급 테니스의 이해]


 Comment '125'
  • 강기원 02.16 20:03
    좋은글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클렘슨타이거 02.19 01:51
    좋은 글 감사합니다. 아무생각 없이 하던 take back을 이젠 하나하나 신경써야겠네요.
  • 김찬호 12.24 14:52
    님에 좋은 글때문에 테니스가 더 즐거울것 같습니다..
  • 정대교 03.15 16:21
    좋은글 향상감사 .리듬타는좋은방법좀 알려주셔요
  • 조달연 10.03 22:27
    자주 읽고 또 읽고 몸이 받아들일 때까지 반복해보고자 합니다.
  • 세이무어 04.03 07:00

    감사 합니다.^^

  • 테니스PRO 04.08 08:12

    좋은 글 감사합니다.

  • 디케이 08.08 19:03

    뭔가 알것 도 같기는 한데...

    암튼 좋은 글 감사 드리고, 말씀 하신 부분에 유의해서 계속 연습 해 보도록 하겠읍니다.

  • 데남 09.29 18:04

    잘 보고잇스니다. 님의 근황도 궁금하구요

  • 에이프릴 01.07 16:08

    좋은 내용..몇번을 들어와도 내용이 항상 신선합니다.고맙습니다,

  • 911에이스 01.13 14:01

    세밀한 분석에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곰테니스 01.25 04:07

    좋은 가르침, 감사합니다.<script type="text/javascript" src="//b.scorecardresearch.com/beacon.js"></script><script type="text/javascript">var vglnk = vglnk || {api_url: '//api.viglink.com/api', key: '0dff9ade2d1125af6c910069b6d6e155', reaffiliate: false};</script><script type="text/javascript" async="" src="http://cdn.viglink.com/api/vglnk.js"></script>

  • 통큰 02.04 13:23

    잘 봤습니다. 

    하나 궁금한게 있는데  레슨을 하면 보통  임팩트하고 나서 어깨가 따라 돌아가지 않나요? 가슴이 너무 빨리 오픈 된다고

    하도 지적을 많이 받았어요.  항상  치고 나 다음 어깨가  자연스럽게 돌아 가야 된다고 ..... 저는 아무리 쳐도 헤드 스피드가 속도가 나지 않아서 볼이 항상  힘이 없습니다.  무엇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위의 글은 어깨가 먼저 가고 뒤에 따라 온다는 것이  이치라 해서요....

  • tenniseye 02.04 18:16

    어깨가 자연스럽게 몸퉁과 함께 빠른 속도로 돌아가면 스윙속도가 올라갑니다.


    이런 자세가 나오지 않는다면..

    스윙할때 뒷발이 고정된 상태로 스윙이 끝나서 빠른 회전이 일어나지 않고, 밋밋한 속도의 스윙이 이러나는 경우가 많습니다.포핸드 백핸드 마찬가지로 스윙과 함께 뒷발도 자연스럽게 앞쪽으로 이동되면서 무게 중심이  이동, 어깨와 몸통이 오픈스탠스로 만들어지면 속도가 나오게 됩니다. 한번 점검해 보세요..^^

  • 통큰 02.05 14:16

    예 알겠습니다.

  • 만사오케이 04.21 10:40

    간결한 동작의 중요성을 잘 지적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 자전거탄풍경 05.05 13:25

    너무 자세하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해요

    어떻게 글로 이런 동작을 표현하는지

    정말 대단하신거 같아요

    잘 배울께요! ^^  

  • 빛바라기 05.26 16:59

    감사합니다. 열심히 노력해 보렵니다.

  • 나익수 06.17 10:22

    음~ 고맙습니다.^^

    조금은 실마리가 보이는 듯합니다.

    꾸벅~_()_

  • europa 07.15 09:46

    감사합니다 :)

  • 공명의한수 08.24 19:21

    자료도 많고 너무 좋네요. 너무너무 감사 드립니다.

    아직 초보라 잘모르겠지만 열심히 따라하고 연습해야 겠네요.


    죄송하지만 혹시 포핸드를 치시는 과정을 브로마이드 형식(?)이나 조금씩 끈어서 준비자세에서 피니쉬까지 볼 수있는 자료는  없나요?.

     서점에서 책을 찿아도 테니스관련책이 별로 없네요, ㅠㅠ.


    수고하시고 앞으로도 자주 들러서 테니스 실력 올릴께요.

  • 도깡 09.11 12:38

    정말 이해하기 쉽게 잘 쓰셨네요~  감사합니다 ^^

  • 빨간고글 10.08 00:27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수리마운틴 10.08 18:00

     테이크백에서 부터 내전 그리고  팔로우.... 감 잡아가요    감사합니다

  • 기적소리 10.19 17:11

    잘 배우고 갑니다. 꾸준히 연습만이 고수로  가는길이겠죠?

  • 빨간고글 11.24 01:01

    잘봤습니다~

  • 라파엘대장 01.23 11:47

    슬럼프에있는 저에게 다시한번 탈출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 이성용 06.05 09:16
    감사함니다! 많은 도움이 되겠읍니다.
  • 금상첨화 06.17 12:18
    훌륭한 설명 감사합니다.
    저의 테이크백을 참고삼아 교정하겠습니다.
  • 태고지 11.17 17:51
    초보자도 전체적인 이해는 아직안되지만 어느정도 이해가 될수있도록 쉽게 설명해 주시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