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완벽한 톱스핀 백핸드 배우기

Atachment
첨부 '2'





근본적인 톱스핀 백핸드

서론
완벽한 플레이어는 포핸드와 백핸드 양쪽 모두 톱스핀과 언더스핀을 구사한다. 아래 그림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격자를 사용하여 우리는 볼로까지 스윙 궤적을 살펴볼수 있으며, 이 격자는 어떻게 볼에 스핀을 거는지 보여준다. 연습을 한다면 당신 역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톱스핀 드라이브를 컨트롤 할 수 있으며, 혹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슬라이스를 구사할 수 있다.
주의 : 요점 - 나의 어깨는 접촉하기 전에 충분히 돌아서 있고, 백스윙 상태는 이완된 팔을 보이며, 자세는 좋고, 무릎은 충분히 굽었으며, 그리고 완전히 볼을 집중하고 있다.

1. 스윙시작
포핸드 톱스핀과 마찬가지로 아래서 위로 스윙을 하고 접촉은 보다 낮은 4분면에 위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스윙한다.

2. 볼에서 팔꿈지 점
백핸드 슬라이스와 비슷하게 나의 팔꿈치는 스윙 시작할 때 쭉 뻣었다기 보다는 다시 굽어졌다. 짚고 넘어가야할 부분으로 나는 어깨가 완전히 돌아가 있도록 하기 위해 나의 팔꿈치와 팔뚝은 볼과 정렬된다.

3. 접촉
접촉은 백핸드 슬라이스 때보다 약간 더 앞쪽이다.
그림 1    그림 2     그림 3
4. 회전없음
다시, 이것은 라켓의 회전이 없는 파워 스트록이다.
5. 팔로우 스루우
마지막으로 And finally, 완전하고 공격적인 팔로우 스루우는 에러를 유발하거나 약한 리턴을 하도록 하는 묵직한 톱스핀 드리이브를 구사하는데 이용된다.
(끝마무리를 유의하라. 나의 겨드랑이는 노출되었으며 라켓은 높이 올라가 있다.)

그림 4    그림 5

*** 그림은 파일을 첨부하였습니다. 그림을 보면서 윗 글을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외국 테니스 사이트에서 다운을 받아 영어실력이 부족하지만 번역을 하여 올립니다. 회원님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
 Comment '7'
  • 김진협 11.02 16:09
    '완벽한'이라기 보다는 '궁극의' 톱스핀 백핸드 배우기가 더 적당할듯 합니다. 왜냐하면
    같은 탑스핀 백핸드라도 라켓면이 약간 열린 형태와 닫힌 형태가 선수들의 취향과 상황에 따라 혼용되고 있기 때문이죠.
  • 테사랑 11.02 16:10
    와! 정말 섬세한 설명이네여.
    저는 투핸드 백스트록을 하지만 때로는 발이 빠르지 못해서
    한손으로 처리 할 때가 있는데
    이 그림과 설명이 자세해서 큰 도움이 되네여.
    정말정말 고맙습니다.
    (그리고 번역하시느라 수고 많으셨어여.확실히 도움이 되네여.^^)
  • 마이클 킴 11.02 18:14
    그렇지 않아도 요즘 백핸드 때문에 고민입니다.
    무릎 부상 이후로 상체가 빨리 열리고 타점도 불안정해지고 신이내린 백핸드가 아니라 진짜로 신이 버린 백핸드가 되어버렸습니다. 후후~
    전국모임 앞두고 망신이나 당하지 않으려나 모르겠는데........ㅎㅎㅎ
    동수님의 글이 저에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최동수 11.02 20:59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라는 책 제목과 같이 좋은 말씀을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사실 탑스핀 백핸드의 위력은 본인이 치지아니 하더라도 한번쯤 받아본 사람은 그 위력을 아시리라 생각됩니다. 탑스핀 백핸드는 정확한 타점이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 anotherday 11.03 15:23
    잘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강병규 11.03 15:39
    백핸드이 정말 잘 안되거든요. 타점이 잘안맞아요. 이것저것 생각하다보면 아차 늦었다 하는순간 공은 경기하는 옆코트로 가는경우도 있고 그렇습니다. 어떤 순서로 연습을 해야하나요?
  • 최동수 11.03 18:32
    짧은 소견으로 늦는다는 것은 몇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첫째, 백쪽인지 포쪽인지 판단이 늦은 경우
    둘째, 판단은 빨리하였지만 돌아서는 것과 테이크백이 늦은 경우(공이 네트넘어 바운드되기 직전에 테이크백을 하는 경우)
    세째, 공의 속도 판단을 잘 못하는 경우
    네째, 시간적 여유가 없음에도 테이크백을 너무 크게하여 타점까지 라켓헤드가 도착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경우(이런 경우 평소보다 짧은 간결한 테이크 백으로 무리한 스위을 하지않고 공을 리턴하는 것이 중요함)
    위의 네가지를 유의하시면 고수가 되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