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서브 스탠스의 이해와 구분동작으로 본 메카니즘

Atachment
첨부 '3'

페더러처럼 발의 움직임이 없이 넣는 서브를 platform Stance라고 부르고 나달처럼 바을 모으는  서브를 (Foot up) Pinpoint stance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의견이 있지만...일반적으로 두 가지 방법의 장단점을 논하자면

[platform Stance]

1.장점


밸런스를 유지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서브 후에 몸의 앞쪽으로의 움직임이 자연스럽다...서브 위력과는 별개이지만 풋 폴트를 범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2.단점


다리의 근력과 탄력이 어느 정도 뒷받침 되어야 한다...타점이 Pinpoint stance에 비해서 낮아서 키가 작은 선수가 이 스탠스를 사용할 경우 타점이 낮아서 스핀을 충분히 가미하지 않을 경우 서브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Pinpoint stance]

1.장점
몸을 위쪽으로 던져주는 움직임이 좋다...타점을 platform Stance에 비해서 조금 더 높일 수 있다. 다리 근력이 조금 약한 사람도 다리의 탄력을 좀 더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2.단점
밸런스를 유지하기가 상대적으로 Platform stance에 비해서 어렵다...발이 움직이는 폭의 크기가 달라지고 밸런스가 무너질 경우 풋폴트를 범하기 쉽다.

상대적으로 서로간의 장단점을 위에서 예시한 것처럼 제시할 수 있지만 결국은 자신의 리듬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토스의 높이와 스윙의 타이밍 등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이 밸런스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스탠스를  선택하시는 것이 가장 적절한 선택 기준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예전에 Tennis One이라는 사이트에서 두 스탠스를 비교한 글을 보았는데 여러가지 비교분석을 하였지만 결론은 서브의 위력과 관련하여 어떤 스탠스가 더  우수하다고 말할 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스탠스는 선수들의 리듬과 신체의 밸런스 력에 따른 선수 개개인의 차이일 뿐이지 ..그 차이가 서브의 위력의 차이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므로  ...본인에게 더 자연스럽고 편안한 자세를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플랫폼 서비스

 

 

핀포인트 서비스

 

구분동작으로 본 서브의 메카니즘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