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문서 (526)

  • [답변] 발리의 스윙궤도.. '도장찍기'
    발리시 그립과 라켓면의 궤도를 그린 그림입니다. 이와 같은 스윙은,, 스트로크와는 달리 위에서 아래로의 스윙궤도이므로 약간 어색할 수 있습니다. 이 어색함을 없애주는 것이 일명 '도장찍기'입니다. 그립이 도장...
    애거시짝퉁 | 2006-06-09 13:29 | 조회 수 1966 | 추천 수 2
  • 역크로스가 많이 필요한 때// 짧게 오는 공..
    스트로크를 할 때 보내는 방향은 기본적으로 3종류가 있습니다. 크로스, 역크로스, 스트레이트(또는 다운드라인).. 크로스는 가장 많이 하는 스트로크이고, 스트레이트도 많이 하는 스트로크입니다. 여기서는 역크로...
    애거시짝퉁 | 2006-05-15 09:02 | 조회 수 1269 | 추천 수 2
  • 긴 연결구로 풀어갈 때,, 점수를 얻는 루트 하나// 짧게 오는 공..
    1.짧게 오는 공은 거의 찬스볼.. 연결구로 길게 스트로크를 하는 주이유는,, 쉽게 공격을 못하도록 하는데 있습니다. 상대가 하수가 아니면, 랠리는 계속 됩니다. 그렇게 랠리를 하다가도,, 이쪽에서 긴 연결구를 계...
    애거시짝퉁 | 2006-05-12 13:32 | 조회 수 926 | 추천 수 2
  • [re] 랠리중에 짧은 볼이 올 때 점수 얻은 장면// 페더러-휴이트 경기
    랠리를 하거나, 서브후에 리턴이 짧게 올 때,, 앞으로 나가면서 공격하는 장면들을 프로들의 경기에서 찾아보았습니다. 서브후에 흐뜨러진 자세로 리턴을 간신히 해서 짧은 리턴이 되거나(리턴작동으로 읽는 것 같음)...
    애거시짝퉁 | 2006-05-12 17:54 | 조회 수 995
  • 테니스 단식에서...긴 연결구에 상대가 수비위주로만 할 때
    단식에서 스트로크시 긴 연결구로 계속 보내면,, 공격을 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수비가 좋은 상대를 만나면 특히 점수 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런 분위기일 때는,, 베이스라인에서 약간 뒤로 물러나서,, 계속 리턴을...
    애거시짝퉁 | 2006-05-02 16:16 | 조회 수 2171 | 추천 수 1
  • 이미지 트레이닝의 의미와 예상효과
    많은 분들이 테니스에서도 이미지 트레이닝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이미지 트레이닝이란 무엇일까요?..야구와 테니스를 비교해보자면.. 야구에서 투수가 공을 던지고 나서,, 그 던지고 난 후에,, 본인이 취한 자세가 ...
    애거시짝퉁 | 2006-02-15 15:44 | 조회 수 2010
  • 복식에서 공격루트// 결국은 angle shot를 할 수 있어야..
    복식에서 가장 강력한 공격방식은,, 서브 & 발리입니다.. 특히 동호인수준에서는,, 발리만 좀 되면,, 이 스타일을 깨기는 쉽지가 않습니다. 그 다음은 자기 자리를 지키면서,, 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때는 공격할 루...
    애거시짝퉁 | 2006-02-10 18:12 | 조회 수 1103 | 추천 수 1
  • 테니스에서 공을 앞에서 치면 에러(실수)가 줄어드는 이유 [1]
    몸근처에서 왜 공(특히 빠른 공)이 갑자기 안 보이는 것일까 = 공을 앞에서 치라고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아래 그림에서 처음 공을 본 위치는,, 처음 공을 본 방향으로 정정합니다. 공이 왜 앞에서 맞는 것이 유리...
    애거시짝퉁 | 2006-01-29 19:23 | 조회 수 8861 | 추천 수 2
  • 스플릿 스텝.. 발리한다는 느낌으로 공을 관찰하기
    조코비치의 서브 리턴 스플릿 스텝 스플릿 스텝을 한다고 하더라도,,급하게 발을 움직이려 하지 말고,,특히 빠른 서브나 스트록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공의 방향의 판단이 서고 나서,, 발을 움직여야 합니다. 급하게...
    애거시짝퉁 | 2005-12-21 07:16 | 조회 수 2751 | 추천 수 1
  • 상급 테니스로 가는길...Advanced Foundation은? [32]
    어드반스드 파운데이션의 한가지 분명한 특징은 강사가 모든 것을 지도하는 것인가, 아니면 제가 -player-self evolution-이라고 부르는, 강습생이 (더 효과적으로) 스스로 발전해 나가는 것인가를 명확히 규정하고 ...
    이권엽 | 2004-03-04 18:02 | 조회 수 32388 | 추천 수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