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서 (173)

  • 네티즌의 질문에 대한 페더러의 몇 가지 답변들 [3]
    Roger, How do you control yourself in a match even if you are losing? No problem. There are many points I win and lose so I don’t get too excited about a lost point. I look at it over a longer period t...
    애거시짝퉁 | 2007-05-20 05:09 | 조회 수 1226 | 추천 수 1
  • transfer 타법.. 중타(연결구)에 유리한 타법
    transfer 타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작년에 이것에 대해서 적은 적이 있습니다만, 아주 괜찮은 타법이라 한번 더 소개합니다.) 아래 동영상을 보면, 바그다티스가 멋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그가 결정타를 t...
    애거시짝퉁 | 2007-05-19 15:58 | 조회 수 1309 | 추천 수 2
  • 머리 고정 후 공보기..바운드 전부터는 watch는 필수
    머리를 고정하지 않으면 에러가 나오는 신체적 메카니즘 해설을 아래 동영상에서 보신 후에 이어지는 글을 보시면 스트록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임펙트시에 머리가 많이 움직이면 타점이 불안해지고 좋...
    애거시짝퉁 | 2007-05-19 15:35 | 조회 수 3323 | 추천 수 2
  • 테니스에서 시선처리 .공을 볼때와 안볼때 [1]
    임팩트때 시선처리를 이렇게 하라, 저렇게 하라 다양한 이론이 있습니다. No.1인 페더러는 분명 임팩트때 시선을 고정합니다..행동으로 보여주고 있으니,, 동호인들은 따라할 수밖에 없는 처지입니다. 문제는 페더러...
    애거시짝퉁 | 2007-04-14 16:17 | 조회 수 4774
  • 라켓 면의 방향에 따른 테니스 포핸드 드라이브 형태..에넹과 페더러 비교 [4]
    탑스핀을 잘 걸기 위해서는,, 라켓면이 바닥을 향하면서 포워드스윙이 되면 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라켓면이 바닥을 향하면,, 손목 자체가 임팩트시에 내전을 주기가 가장 적합한 형태로 고정이 됩니다. 이 형태를 ...
    애거시짝퉁 | 2007-04-13 11:23 | 조회 수 3628 | 추천 수 1
  • 테니스에서 준비를 빨리 하라고 하는 이유와 효과
    전체적인 일련의 느낌에서 본인이 공을 잘 컨트롤하고 있는지 못하고 있는지의 기준을 만들어 놓으면 좀더 세분화 하여 준비를 할수 있습니다. 상대 코트에서의 기준과 내코트에서의 기준으로 나누어서 보면.. 내가 ...
    애거시짝퉁 | 2007-04-13 17:08 | 조회 수 3564 | 추천 수 4
  • 다운드라인으로 치는 짧은 플랫성 스트로크.. 짧은 팔로우드로 [2]
    오늘 황당한 일을 겪었습니다. 상대편이 크로스로 깊숙히 공을 보내기에, 얼릉 가서, 다시 크로스로 공을 주었더만,, 이 양반이 다운다라인으로 공을 넘기는데, 서비스라인근처에서 바운드되면서 넘어오는데,,너무 빨...
    애거시짝퉁 | 2007-04-06 17:05 | 조회 수 2001 | 추천 수 3
  • 백핸드쪽으로의 풋워크 type 3가지 [1]
    오픈에서 포핸드쪽으로 스탭은 간단합니다. 왼발-오른발.. 간혹 런닝스탭을 할 때는 왼발을 더 하기도 합니다만,, 요건 잊어버릴 염려가 없죠.(여기에서는 공의 거리(좌우)에 따라 왼발을 얼마나 갈 것인가가 관건입...
    애거시짝퉁 | 2007-03-28 20:14 | 조회 수 1682
  • 슬라이스에서 회전만 많이 걸릴때의 교정 팁
    슬라이스가 회전은 많이 걸리는데 직진성이 약하면서 위력이 없는 원인을 분석해 봅니다. 슬라이스에 대한 얘기가 나올 때 ..가장 많이 나오는 말이 깍아치지 말고, 밀어치라는 말입니다. 이것에 관여하는 요소중에 ...
    애거시짝퉁 | 2007-03-22 17:42 | 조회 수 3270
  • (에넹) 오픈스탠스에서 파워의 원천중 하나.. '순간적인 히프회전'
    오픈스탠스에서는 회전력이 아주 중요합니다. 상체의 회전도 중요하지만,, 하체의 무릎에서부터 올라와서(무릎을 펴면서 위로 전달되는) 히프에 전달(축적)된 힘을 임팩트순간에 순간적으로 회전을 해서 풀어버리면 ...
    애거시짝퉁 | 2007-03-21 02:27 | 조회 수 1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