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문서 (206)

  • 라이징샷과 포핸드 높은공의 리턴에 관한 질문.. [1]
    또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기초를 아직도 다지고 있는 구력이 얼마 되지 않은 사람입니다. 서브엔 발리는 아직도 실력이 미천해서 시도를 많이 못하구요. 주로 베이스라인에서 랠리를 즐기는 편인데요, 질문이 두...
    오정민 | 2004-01-05 19:03 | 조회 수 1148
  • 테니스 포핸드...오픈 스탠스에서 탑스핀 쉽게 만들기 [4]
    일단 첫번째 사진을을 보시면.. A-Rod의 그립을 보실수 있으실 텐데요.. extreme western그립으로 포핸드 탑스핀에 이상적인 그립 이죠.. A-Rod의 라켓이 위에서 시작해서 원을 그리듯이 낮아 지는 것을 보실수 있습...
    형욱 | 2003-06-18 11:12 | 조회 수 1978
  • [re] [질문] 포핸드 백핸드 서브시 체중 이동과 볼과의거리.. [4]
    안녕하세요.. 형욱입니다. 일단 포핸드 백핸드의 체중 이동은 일단 뒷발에 체중을 실어 주시고요. 공과의 임팩트시 앞쪽발로 체중을 옮겨 주시면서 임팩트 하시면 됩니다.. 공을 항상 step in 하면서 치시면 체중이동...
    형욱 | 2003-08-04 01:12 | 조회 수 1009
  • [re] [질문] 포핸드 백핸드 서브시 체중 이동과 볼과의거리.. [4]
    안녕하세요.. 형욱입니다. 일단 포핸드 백핸드의 체중 이동은 일단 뒷발에 체중을 실어 주시고요. 공과의 임팩트시 앞쪽발로 체중을 옮겨 주시면서 임팩트 하시면 됩니다.. 공을 항상 step in 하면서 치시면 체중이동...
    형욱 | 2003-08-04 01:12 | 조회 수 1153
  • [re] [질문] 포핸드 백핸드 서브시 체중 이동과 볼과의거리.. [5]
    안녕하세요.. 형욱입니다. 일단 포핸드 백핸드의 체중 이동은 일단 뒷발에 체중을 실어 주시고요. 공과의 임팩트시 앞쪽발로 체중을 옮겨 주시면서 임팩트 하시면 됩니다.. 공을 항상 step in 하면서 치시면 체중이동...
    형욱 | 2003-08-04 01:12 | 조회 수 1914
  • 테니스는 리듬의 게임이다. [1]
    사진=테니스피플 테니스는 밸런스와 리듬의 게임이라고 합니다.밸런스에 대해서는 몇 번 언급한 적이 있었습니다. 리듬이 스트로크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리듬과 밸런스는 독립적인 요소가 아닌, 교집...
    애거시짝퉁 | 2007-09-12 20:39 | 조회 수 4343
  • 2014 호주오픈 바브린카 우승[결승 동영상] [15]
    강서브와 완벽에 가까운 백핸드로 나달의 탑스핀을 공략해 냈습니다. 시즌 첫 그랜드 스램 우승의 주인공으로 손색이 없는 선수입니다. 나달도 부상 상황에서 기권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 멋진 모습 보여준것 같습니다...
    tenniseye | 2014-01-26 20:12 | 조회 수 6507
  •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21]
    테니스를 향한 쉼없는 열정을 쏟아부은지 일년이 되었다.조그만 사업을 하고 아이들을 기르고 나머지 시간에 테니스를 해야하는데하루가 너무빨리 지나간다는 아쉬움과 언제나 연습이 부족하다고 느껴지는 안타까움.....
    마사장 | 2013-03-22 00:40 | 조회 수 279
  • 왜 단식이 필요한가 ! [17]
    내일은 재말레이시아 테니스협회의 첫 단식 월례대회가 있습니다. 이제 갓 구성된 협회인지라 고작 30여명의 회원입니다만 모두 열정만은 대단합니다. 이번 대회를 기획하고 참가신청을 받으면서 보니 의외로 단식경...
    skima | 2013-03-09 23:35 | 조회 수 1555
  • 복식을 하는 테니스인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할까? 웨스 킹슬리는 회사의 중역으로 회사와 가정에서의 인간관계로 많은 고민을 하던 사람이었다. 그는 플로리다에 출장을 가 있는 동안 우연한 기회에 씨월드 해양관에서 범고래의 멋진 쇼를...
    정동화 | 2011-09-13 21:30 | 조회 수 3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