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롤랑가로스플레이어]일본 14살 사토 히마리

  

 

  
 

 

  
 

 

  

 

국내 유망주 이은혜와 박소현 이긴 '리틀여자 페더러'


국내 여자 주니어 유망주로 꼽히는 중앙여고 이은혜와 중앙여중 박소현이 있다. 이은혜는 국내에서 열리는 올해 대회 3개를 석권했다. 박소현은 중학생으로 국제주니어랭킹이 우리나라 여자 선수중 가장 높다. 둘다 운동선수를 부모로 두고 테니스를 하고 있다.  여자 선수들이 국제무대에서 한동안 활약을 못해 침체기라 하는데 가뭄에 단비같은 선수들이 이은혜와 박소현이다.


이은혜는 국내에서 열린 랑데뷰 롤랑가로스 한국선발전에서 1위를 했다. 프랑스에 와서 1승1패를 해  같은 조에서 2승을 한 일본 선수에 이어 조 2위로 결승에 오르지 못했다. 이은혜를 세트올까지 가서 이긴 선수는  일본의 14살 소녀 사토 히마리. 박소현과도 미국 오렌지볼대회에서 세트올 경기를 했다.


프랑스오픈 주니어 본선 와일드카드 결정 결승전에 오른 선수는 일본의 사토 히마리와 시미즈 두 선수다.

일본을 포함해 5개국에서 1명이 뽑혔고 나머지 한명은 각나라  예선에서 준우승한 선수 중 국제랭킹이 가장 높은 선수가 와일드카드를 받아 출전했다. 그래서 일본은 두 선수가 2개조에 나눠 나오고 결승에 나란히 올랐다.

결승전에서 사토 히마리는 첫세트를 힘없이 0-4까지 가면서 뭔가 몸에 이상이 있는 선수처럼 보였다. 하지만 1세트 추격하는 과정에서 간결한 포핸드 다운더라인, 플랫 볼 , 라켓을 높이 들고 임팩트를 앞에서 하고 몸통 꼬임과 회전이 마치 '리틀 여자 페더러'를 보는 듯 했다.  뭔가 불필요한 동작과 힘이 안들어간 상태에서 볼 임팩트를 하고 경기 뒤 땀도 별로 나지 않았다. 힘도 하나도 빠지지 않아 보였다. 


일본 14세 주니어 대표로 성장하고 있고 도쿄 인근에서 운동을 한다고 일본테니스협회 관계자에게 들었다.  일본 여자 선수들이 대부분 자그마하고 단단한데 이 선수는 단단하지 않았다. 


사토 히마리 홈페이지


파리=박원식 기자 후원 장호테니스재단       

테니스 피플  http://www.tennispeople.kr/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1. [롤랑가로스플레이어]일본 14살 사토 히마리

    국내 유망주 이은혜와 박소현 이긴 '리틀여자 페더러' 국내 여자 주니어 유망주로 꼽히는 중앙여고 이은혜와 중앙여중 박소현이 있다. 이은혜는 국내에서 열리는 올해 대회 3개를 석권했다. 박소현은 중학생으로 국제주니어랭킹이 우리나라 여자 선수중 가장 ...
    Read More
  2. 5번 도전 끝에 US OPEN 본선 오른 한나래는 누구

    1992년 7월생으로 165CM인 한나래는 여러모로 자신만의 개성이 특별한 선수다. 포핸드와 백핸드를 모두 양손으로 하는 몇안되는 프로 선수이며 경기 중간 코트 체인지 타이밍에 자신이 정리해 놓은 경기 노트 를 보며 집중력을 유지하는 선수다. 흡사 같은 양...
    Read More
  3. 한국 테니스의 영웅들 - 메이저 대회 출전사 [2]

    III. 90년대- 새바람을 일으킨 박성희/ 윤용일과 박성희의 메이저대회 동반 진출 88년 김봉수 선수가 호주오픈 본선에 출전한 이후 약 7년동안은 한국선수들의 메이저 무대 진출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다가 박성희라는 재능있는 여자선수의 혜성과도 같은 ...
    Read More
  4. 한국 테니스의 영웅들 - 메이저 대회 출전사 [1]

    한국선수중 4대 메이저 무대에서 가장 많은 승리와 역대 최고의 세계랭킹을 수립한 선수는 누구일까. 누구나 90년대에 활약한 한국의 대표적 여자선수 박성희를 떠올리겠지만 정답은 ‘아니오’이다. 왜 그럴까… 많은 사람들이 한국인의 메이저 대회 우승의 날을...
    Read More
  5. 한국 테니스 전설 이형택은 누구(이형택 vs 샘프라스 US오픈)

    2007 US OPEN 이형택 선수.. ATP 바이오 자료를 참고했습니다. 십수년간 한국 테니스 에이스 지위를 누려온 선수이건만 의외로 국내협회나 체육회에서는 자료 찾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아무튼 바이오를 검토해 보면..(2007년 기준) 한국 테니스영웅.. 이형택은...
    Read More
  6. No Image

    아가씨의 부인 - 슈테피 그라프(여)

    슈테피 그라프(여) - 테니스의 전설! 1985년 윔블던 대회 남자 결승. 4세트만에 우승자가 확정되는 순간 독일 각지에서는 때아닌 도심의 경적소리가 울려퍼졌다. 1930년대에 프랑스오픈을 제패한 바 있는 폰 크람(G. von Cramm)과 헨켈(H. Henkel)이후 약 50년...
    Read More
  7. No Image

    테니스의 아버지 - 이반 랜들

    70년대 지미 코너스와 비욘 보그의 라이벌 관계가 무르익고 후반에는 존 매켄로가 뛰어들어 남자 테니스의 3인 경쟁체제가 확고해질 무렵, 당시 공산권 국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겁없이 도전장을 내민 이가 있었으니 그가 바로 이반 랜들이다. 랜들의 성과는 ...
    Read More
  8. 나브라틸로바 -윔블던에서만 19회 우승한 전설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1980년대를 대표하는 여자 테니스 선수를 꼽으라면 역시 크리스 에버트와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일 것이다. 80년대 비욘 보그의 은퇴 이후 존 메켄로, 매츠 빌란더와 이반 랜들, 스테판 에드버그와 보리스 베커가 혼전 양상을 보인 남자...
    Read More
  9. No Image

    셈프라스의 영웅 - 존 매켄로

    존 매켄로 70년대 중반부터 지미 코너스와 비욘 보그의 경쟁구도가 가속화될 무렵, 남자 테니스계는 또 하나의 신예 선수의 등장으로 3파전 양상을 띠게 되는데 그가 바로 ‘코트의 반항아’ 또는 ‘코트의 악동’으로 불리웠던 미국의 존 매켄로이다. 미국은 지미...
    Read More
  10. No Image

    신선한 충격 - 비욘 보그

    비욘 보그 동계 스포츠의 강국 스웨덴이 오늘날 테니스의 강국으로 우뚝 선 것은 불과 20여년 전이었다. 스웨덴은 현재 노만, 요한슨, 엔크비스트, 그리고 복식의 강자인 비요르크만과 신세대 기수인 빈시게라 등 호화군단을 자랑하고 있고 80년대엔 매츠 빌란...
    Read More
  11. No Image

    인기짱 - 크리스 에버트

    크리스 에버트(여) 70년대 초 지미 코너스가 두각을 보일 무렵까지 여자 테니스 무대에서는 호주의 마거릿 스미스 코트와 미국의 빌리 진 킹이 주요 메이저 타이틀을 독식하다시피 하였다. 이어서 여자 테니스의 2인 지배체제에 도전장을 내밀고 새롭게 가세한...
    Read More
  12. No Image

    테니스의 신 - 지미 코너스

    지미 코너스 로드 레이버와 로이 에머슨이라는 두명의 걸출한 스타를 앞세워 60년대 남자 테니스를 좌지우지했던 호주의 테니스는 70년대에 이르러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다. 물론 그들의 후배인 존 뉴컴(John Newcome)과 켄 로스웰(Ken Rosewall)이 명맥을 이...
    Read More
  13. 여자선수들의 상금 평등과 권익을 위해 헌신한 테니스 여왕 - 빌리진 킹

    빌리진킹 홈페이지(billiejeanking.com) 여자 테니스의 환경을 보면 과거와는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테니스의 기술도 과거의 단조로움에서 벗어나 현란한 기술을 사용하는 선수들이 늘었고 과거와는 달리 흥미로운 여자 테니스 경기를 보려...
    Read More
  14. No Image

    호주 테니스의 아버지 - 로드 레이버

    로드 레이버 매년 초 호주오픈이 열리는 맬버른 경기장. 그곳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여러 해동안 센터코트로 사용해 왔던 한 웅장한 경기장을 발견하게 된다. 그 경기장의 이름은 로드 레이버 아레나(Rod Laver Arena). 호주인들은 60년대 남자테니스계를 평정...
    Read More
  15. No Image

    기록의 여왕 - 마거릿 스미스 코트(여)

    마거릿 스미스 코트(여) 60년대 테니스는 역시 남녀를 통틀어 호주의 전성시대라고 말할 수 있다. 다만 로이 에머슨(Roy Emerson)과 로드 레이버(Rod Laver)가 60년대 남자 테니스계를 양분했다면 여자부에서는 호주의 마거릿 스미스 코트(Margaret Smith Cour...
    Read More
  16. 기록의 황태자 - 로이 에머슨

    로이 에머슨 사진=위키 백과 2000년 윔블던 대회. 샘프라스와 래프터의 결승전이 열린 날이었다. 4세트만에 래프터를 제압한 샘프라스는 끝내 울음을 터트렸고 샘프라스의 경기를 직접 관전하지 않기로 유명했던 그의 부모님도 윔블던 관중석에 모습을 드러내...
    Read More
  17. No Image

    그랜드슬래머 - 모린 코놀리(여)

    모린 코놀리(여) <연재-테니스의 전설들>은 역경속에 전설적 기록을 남기며 후세의 테니스인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는 인물들을 시대별로 고찰, 테니스 애호가들의 관심을 환기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전설적 테니스 선수들 가운데는 은퇴 후 사업 등으...
    Read More
  18. No Image

    그랜드슬래머 - 돈 벗지

    돈 벗지역사상 가장 위대한 테니스 선수를 꼽으라면 누구를 들 수 있을까. 70년대에 테니스를 관심있게 보았던 사람이라면 지미 코너스나 비욘 보그, 존 메켄로를 말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고 80년대에 테니스를 즐겼던 사람이라면 이반 랜들, 보리스 베커 등을...
    Read More
  19. 원조 테니스 천재 - 르네 라코스테..사업가로 대성공

    르네 라코스테(위키피디 wikipedia) 아직 은퇴를 발표하고 있지는 않지만 90년대를 호령해왔던 샘프라스, 애거시의 시대가 서서히 가고 20세 초반 신세대 선수들로 세대교체가 이루어지고 있었던 시절 130년 테니스 역사상 가장 위대했던 테니스 선수가 누구였...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