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US오픈-조코비치를 막을 자가 없다.

US오픈-조코비치를 막을 자가 없다.

남자프로테니스(ATP) 세계 랭킹 1위 노박 조코비치(세르비아)가 시즌
마지막 메이저 대회인 US오픈(총상금 2천371만8천 달러) 남자단식
정상에 올랐다.

조코비치는 1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플러싱 메도의 빌리진 킹
내셔널 테니스 센터에서 열린 대회 15일째 남자단식 결승에서
라파엘 나달(2위·스페인)을 3-1(6-2 6-4 6<3>-7 6-1)로
물리치고 우승했다.

2008년 호주오픈에서 첫 그랜드슬램 대회 타이틀을 따낸
조코비치는 개인 통산 메이저 4승째를 기록했다.
우승 상금은 180만 달러(약 19억4천만원).

출발은 나달이 좋았다.
나달은 1세트 첫 게임에서 조코비치의 서비스 게임을
브레이크하고 이어서 자신의 서비스 게임을 지켜내며
2-0으로 달아났다.

그러나 조코비치는 서브 에이스와 강력한 스트로크를 앞세워
내리 6게임을 따내는 기염을 토하며 53분만에 1세트를
가져왔다.

2세트 역시 먼저 두 게임을 내준 조코비치는 적극적인 네트
플레이로 연속 3게임을 따내 역전에 성공했고 여세를 몰아
1시간 11분만에 2세트를 가져오며 우승에 한 발짝 다가섰다.

나달도 그냥 물러서지 않았다.
3세트에서 시종일관 두 선수는 박빙의 경기를 펼쳤고 나달은
5-6으로 뒤진 상황에서 극적으로 타이브레이크로 끌고 간
뒤 3세트를 7-6(3)으로 가져오며 반격에 나섰다.

3세트가 끝난 뒤 조코비치는 허리통증을 호소하며 메디컬 타임을
요청하며 전세는 나달 쪽으로 기우는 듯 했다.
그러나 조코비치는 허리 통증에도 불구하고 4세트에서 17개의
위닝 샷과 과감한 네트 플레이로 42분만에 6-1로 가져오며
대접전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로써 조코비치는 올 시즌 그랜드슬램 대회 중 프랑스오픈을
제외한 호주오픈, 윔블던, US오픈 정상에 오르며 절정의
기량을 과시했다.

또한 조코비치는 이날 승리로 시즌 64승 2패를 기록했고 이번
시즌에만 나달을 상대로 6전 전승을 거둬 나달의 천적임을
과시했다.

한편, 디펜딩 챔피언 나달은 윔블던 결승에서 조코비치에게 당한
패배를 설욕하려고 했지만 또 다시 져 우승컵을 내주는 울분을
삼켜야만 했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 아름다운 날들 09.13 12:18
    페더러가 1위였을 때 나달은 아마도 페더러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를 한 것 같고 죠코비치는 3위자리를 거의 3년정도 유지하면서 어떻게 하면 랭킹1위인 나달을 잡을 것인가에 대해 정말 피나는 노력과 연구를 한 것 같습니다.확실히 죠코비치가 나달에겐 거의 천적인 것 같습니다.

    오늘 경기에선 서브와 서브리턴에서 두 선수간의 실력차이가 좀 있는 듯 보이는 군요.죠코비치의 서브리턴은 기가 막히는군요.나달의 서브권이 오히려 부담스러울 지경입니다 ^^ 나달의 서브가 약한 것인 지 죠코비치의 서브리턴이 유난히 좋은 지는 제 수준에선 판단이 잘 안되지만 1,2세트와 4세트에서 죠코비치의 서브리턴은 나달을 괴롭히기에 충분한 정도로 환상적이었던 것 같습니다.나달이 서브권을 가지고도 힘없이 무너지는군요.죠코비치의 투핸디드백은 정말 너무나 좋군요.반면에 나달은 투백이 좀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죠코비치가 나달의 백을 집중적으로 공략하는군요.

    제가 보기엔 죠코비치의 약점은 아직도 체력이 아닌 가 보여지고 오늘 경기에서도 3세트후반부터 지친 기색이 역력했는데 나달이 잘 이용하지 못한 점이 아쉽게 느껴지고 사실 2세트에서도 나달의 서브일 때 오랜 랠리 끝에 듀스에서 나달의 더블폴트와 연이어 손쉬운 스매슁의 실수가 사실상 오늘승부의 분수령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나달이 세트스코어 1대1을 만들어야 승산이 있을 것으로 보였는데요.전체적으로 나달이 연패에 따른 심적 부담도 많은 것 같고 죠코비치가 나달에 대해서 준비가 잘 되 있다는 느낌이었습니다.^^나달은 앞으로 서브와 서브리턴에 대한 많은 훈련과 새로운 준비가 갖춰줘야 하지 않나 보입니다...
  • 문정현 09.13 12:44
    글들 잘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테니스에세이 코너가 앞으로도 계속 이렇게 운영될 것인지 궁금하고, 좀 아쉽다는 느낌이 있습니다.
    언짢으신 분이 계셨다면 죄송합니다.
  • 정동화 09.13 13:38
    문정현님!

    항상 글을 읽어 주시어 감사를 드립니다.

    이 공간은 누구나가 공유할 수 있습니다.
    글을 쓰는 것도 자유이며 글을 읽는 것도
    자유입니다.

    아쉽다고 생각하시면 아쉽지 않는 글들을
    문정현님 본인이 올리시면 됩니다.
  • Eddieoh 09.13 14:42
    물론 여러 사람이 다양한 글을 올리면 좋겠지만 정동화님께서 열심히 올려주시는 것에 저는 오히려 감사하고 있습니다. 내용도 배울 점이 많습니다.
  • 정동화 09.13 21:14
    Eddieoh님!

    감사합니다.

    저는 현직 대학교수입니다.
    제가 시간이 많이 남아 돌아 여기에 와서 글을
    올리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까지는 KATO 에세이에 글을 많이 올렸습니다.

    그런데 이 곳에는 언제부터 글들이 전혀 올라오지
    않아 안타까웠습니다.

    물론, 그 전에는 최혜랑님이 많은 글을 올렸습니다.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 정동화 09.13 21:19
    그래서 이 곳이 조금은 향기롭고 읽을 거리가 있고
    정보교환이 원활하게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었습니다.

    그래서 최혜랑님과 전현중 교장선생님에게
    허락을 받고 글을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참 이상한 것이 KATO에 글을 올릴 때는
    대부분 댓글들이 글을 올려 주어 고맙다는
    말이 많았습니다.

    이 곳에서는 댓글을 다는 사람들이 조금은
    성숙했으면 좋겠습니다.
    전에도 마음이 상하는 댓글이 올라와 삭제를
    했습니다.

    자신의 마음에 맞지 않고 아쉽다고 생각하면
    본인 자신이 좋은 내용의 글을 올리면 됩니다.

    제가 테니스를 진정으로 좋아해서 이 곳에
    와서 시간을 많이 할애하여 글을 올리니
    좋은 마음으로 보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옥재윤 09.13 22:19
    테니스치는 사람들이 댓글다는 것을 어렵게 생각하고 있기에 그런거같습니다
    많은사람들이 교수님의 글을 많이 읽고 있습니다.
    재미있게 잘 읽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 09.14 02:04
    전테교 기술위원(?)님들의 글이 뜸한 요즈음.. (--;;;)
    정동화님의 글에 많은 도움과 공감을 느낍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글들 감사합니다...
  • 이용철 09.14 10:58
    저도 정동화님의 글 아주 잘 보고 있습니다.
    이곳 전테교 모든 공간은 회원님들의 자유로운 표현의 장입니다.
    그리고 이 사이트가 유지 발전되는것은 정말 바쁘고 힘들지만 서로 생각을 공유하고
    마음을 나누며 함께하고자 하는 전테교 정신이 있기에 가능하다 여겨집니다.

    저 같이 공지글이나 겨우 올리고 댓글도 몇번 지웠다 섰다하는 사람에게는 정말 정성을 다하고 영혼을 쏟아 쓰신 글들을 올리시는 분들이 고맙고 대단하시다 여겨집니다.

    창님 말씀처럼 초창기부터 정말 작은 물음 사소한 질문에도 장문에 댓글과 글로 도움을 주시던 분들이 그랬고 테니스로 기인한 인생이야기들 또 아픈이야기 즐거운 이야기 서로 정을 나누는 이야기 이곳에 나눠주시는 분들이 정말 한분한분다 소중하시고 아름다운 분들이고 이분들 덕분에 참 아름다운 마음들이 이곳에 모이지 않나 생각합니다.

    제 생각에는 우리 모두가 서로을 위하여 박수쳐주고 응원하고 힘이되는 글과 말들만 하면 좋겠다 싶습니다 만 개개인의 자유로운 생각과 의사까지 제한할 수는 없는 장이기에 틀린이 아닌 다른 생각과 의견들은 글 올리실때 본의의 의중을 자세하게 표현해 주시고 최대한 정중하게 "나의 의견은 이렇습니다"로 표현해 주시면 좋겠다 싶습니다.

    짧은 댓글에 조금만 애매한 글이 달려도 마음상하고 의기가 소침해 지는데 열심으로 여러분들을 위해 글 올리시는분들의 아름다운 의기를 소침케 하지 말았슴 좋겠습니다.
  • 벽치기 09.15 14:36
    이런 좋은글을 올려주셔서 감사할 따름~~ 계속해서 꾸준히 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