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테니스하면 두뇌 건강 향상된다

테니스 피플에 게제된 박재현(스포츠평론가.체육학) 박사의 글입니다.

 

규칙적으로 테니스를 하면 전반적인 두뇌의 건강을 향상시킨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특히 두뇌의 기능(인지, 특히 인생의 후반부)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인생의 전 생애를 걸쳐 두뇌의 건강을 유지하는 것은 중요한 목표이며, 정신적 자극(읽기)과 운동 모두 두뇌건강에 공헌한다.

 

그러므로 테니스를 자주하는 것은 중추신경계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많은 돈을 들이지 않고도 뇌를 건강하고, 알츠하이머(치매)의 예방 및 기억력의 상실을 예방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테니스를 비롯한 운동이 두뇌의 기능을 향상시킨다는 개념을 지지하기 위한 과학적 증거는 많은 연구나 학자들의 논문에서 운동이 두뇌 기능을 향상시키고 노화와 관련된 인지적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결론짓는다.

 

더 나아가 규칙적인 운동이 두뇌의 질병인 알츠하이머병과 뇌졸중과 같은 두뇌의 손상으로부터 두뇌를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어떻게 테니스가 두뇌 건강을 향상시킬까?

 

운동은 두뇌로 가는 혈류량을 증가시켜서 신경계의 건강을 유지하고, 신경원의 긍정적인 기능을 촉진하는 두뇌의 성장호르몬 수준을 증가시킨다. 두뇌운동의 긍정적 효과는 학습과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두뇌지역, 즉 해마(hippocampus)에서 나타난다.

 

테니스는 뇌의 중요한 부위에 많은 득을 제공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의사들)들은 환자들에게 매일 운동할 것을 권장한다.

 

테니스는 스포츠 중 가장 뇌부상의 위험성이 적은 운동이다.

 

다행히도 수많은 스포츠 중 테니스는 뇌상해의 걱정을 하지 않아도 괜찮다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뇌상해는 다양한 스포츠종목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가장 위험요인이 많은 종목은 미식축구, 양학선이 메달을 획득한 체조, 아이스하키, 김현우를 떠올리는 레슬링 그리고 복싱이다.

 

한강이나 중랑천을 비롯해서 전국의 자전거로에서 자전거를 즐기다가도 상대와 충돌하거나 예기치 않은 불의의 사고에 의해 입을 수 있는 자전거도 뇌상해에 노출된 레저스포츠의 하나이다. 뇌상해라는 위험요인을 갖는 또 다른 종목은 경마, 자동차경주, 오토바이경주, 럭비 그리고 격투기이다.


특히 이번 런던올림픽에서 전국민들이 생생한 장면을 걱정스럽게 시청했듯이 5가지 스포츠를 결합한 근대 5종 경기에서 우리나라 황우진 선수가 투혼의 레이스를 보여준 장면이 있었다.

 

그는 말에서 떨어져 부상을 당했지만, 다리를 절룩거리면서도 포기하지 않고 모든 경기를 마쳐서 기립 박수를 받았다. 필자는 혹시 뇌에는 이상이 없나하고 제일먼저 머리 부분을 유심히 본 기억이 난다. 왜냐하면 뇌는 우리 몸에서 어느 부분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미식축구의 충돌과 같이 운동 시 강력한 뇌충격은 뇌의 손상을 가져오며 뇌조직의 부상 정도에 따라 상해 정도가 결정된다. 가장 위험한 뇌상해는 두개골내 출혈이 생기는 뇌출혈이다.

 

프로야구 기아 타이거즈에서 활약하고 있는 최희섭 선수가 메이저리그 경기에서 내야 수비를 하다가 머리 부분을 그라운드에 부딪쳐 한 동안 일어나지 못해서 뇌진탕의 고통을 경험한 적을 보았는데 사실, 두개골 내 출혈은 오늘날 운동선수의 사망을 이끄는 주요 원인이다.

 

이러한 형태의 부상은 야구에서 투수가 던진 공에 머리를 맞는 것처럼 머리에 강한 충격으로 인해서 뇌의 혈관이 손상되어 발생한다. 여러 가지 경우의 두개골 출혈 형태가 있으며 부상 정도와 사망 원인도 다양하다.


스포츠 종목에서 가장 흔한 또 다른 형태의 뇌상해는 뇌진탕이다. 현재 뇌진탕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이루어지지는 않았지만, 신경 기능의 손상에 의한 의식의 상실, 정신착란, 평형감각의 상실 등 임상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뇌진탕은 권투경기에서 머리에 충격을 받는 것처럼 일반적으로 머리에 심한 충격을 받았을 때 발생한다.

 

801_3219_2438.jpg

테니스와 소뇌

 

소뇌(cerebellum)는 주름이 많이 잡히고 야구공 정도의 크기를 가진 뇌의 부위로 뇌간 윗부분의 뒤편에 붙어 있고, 대뇌의 후엽 밑에 자리하는데, 소용돌이 모양을 하고 있다. 소뇌는 테니스와 같은 복잡한 운동에서 조정과 감시의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소뇌로부터 운동피질, 뇌간, 척수까지의 연결을 통해 이루어진다.

 

소뇌의 중요한 역할은 고유수용기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반응하여 움직임을 조절하는 것을 도와주는 것이다. 게다가 이것은 운동피질과 함께 역동적 움직임을 더욱 빠르게 만든다.

 

소뇌가 손상되면 빠르게 움직이는 동안에 움직임 조절이 미숙해지고 근육의 떨림이 심하게 나타난다.

 

801_3220_2651.jpg

 

스포츠활동에서의 뇌손상은 대뇌 또는 소뇌에서 기능상실이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단순한 연필을 잡은 동작은 물론 테니스볼을 타구하기 위하여 어깨, 팔꿈치 또는 손목 관절의 움직임은 일치해야 한다.

 

소뇌는 대뇌피질이 근육으로 보내는 메시지(운동명령)를 받아 주위의 수용체로부터 몸의 움직임과 위치를 알리는 입력을 받아 의지와 명령을 근육의 성과와 비교하고, 의도된 움직임에서 벗어난 실수나 편차를 조절하는 중간관리자 역할을 한다. 또한 소뇌는 테니스 코트에서 자신의 몸의 위치를 예측하고 상대가 친 볼을 타구하는 조절을 하는데 단 1초도 걸리지 않는다.

 

이러한 매끄럽고 정확하고 직접적인 움직임을 확실하게 하는 진행 중의 적응은 테니스 말고도 타이핑, 피아노 연주, 달리기와 같이 빠르게 변화하는 활동에 있어서 중요하다. 어쨌든 테니스를 전국민이 어려서부터 꼭 해야 하는 이유는 자명하다.



[테니스 칼럼,취재,관전기]



  1. notice

    테니스 그랜드슬램 대회 소개(호주오픈,윔블던,프랑스오픈,USOPEN)

    상금 등 대회규모가 가장 큰 4개 테니스 대회를 4대 그랜드슬램 대회라 부른다. 호주오픈. 프랑스오픈, 윔블던, US OPEN 위 4개의 대회에서 모두 우승한 선수를 그랜드 슬래머라부르며...
    read more
  2. notice

    테니스 중독 자가 진단법

    "테니스는 마약이다" "테니스가 사람을 미치게 만든다"라는 말을 듣는다면 이는 바로 테니스의 중독성을 두고 하는 말이다. 운동도 중독이 되지만, 운동은 명상과 더불어 심신의 건강...
    read more
  3. 스페인계 18살 한국 국적 제라드 캄파냐 리가 던지는 메시지

    스페인계 한국국적의 18살 제라드 캄파냐 리가 안성 국제대회(M25)에서 국가대표들을 이기고 우승했다. 제라드 캄파냐 리는 25일 경기도 안성 테니스장에서 열린 안성오픈 단식 결승에...
    Read More
  4. 프랑스오픈 우승말고 시비옹테크를 주목해야 할 점들

    이가 나탈리아 시비옹테크(Iga Natalia Świątek, 폴란드어 발음: [ˈiɡa naˈtalja ˈɕfjɔntɛk])는 2001년 5월 31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출생한 폴란드 프로 테니스 선수다. 불과 22살 ...
    Read More
  5. 한국 테니스 발전이 잘 되지 않는 이유 - 구글 인공지능 바드bard의 답변은?

    한국 테니스가 발전이 잘 되지 않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그 중 몇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저변 확대 부족 한국의 테니스 인구는 200만 명 정도로, 미국(2천5백만 명), ...
    Read More
  6. 테니스하면 두뇌 건강 향상된다

    테니스 피플에 게제된 박재현(스포츠평론가.체육학) 박사의 글입니다. 규칙적으로 테니스를 하면 전반적인 두뇌의 건강을 향상시킨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특히 두뇌의 기능(인지, ...
    Read More
  7. 우리도 나달처럼 골프를

    [원경주 칼럼] 스페인의 테니스선수 라파엘 나달이 프로골프대회에 출전해 6위를 했다는 외신 보도가 있었다. 나달은 로저 페더러와 공동으로 그랜드슬램 우승 20회를 달성했고 4대 그...
    Read More
  8. 윔블던 테니스 대회(윔블던 관전기.취재기)

    테니스의 시조인 영국의 윔블던 테니스 대회를 직접 관전하고 취재한 후기입니다.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져 새롭게 테니스 발전을 시도하는 윔블던을 소개합니다. 윔블던은 왜 윔블던일...
    Read More
  9. 우리는 선수를 위한 대회를 하고 있나

    우리는 우리가 한 일의 의미를 잘 모르고 하는경우가 있다. 그중 아래 세가지다. 대한테니스협회가 한국테니스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으로 잘하는 일 3가지. 1. 해외파견 예...
    Read More
  10. 아무도 후원하지 않았다..,조코비치 어머니가 밝히는 아픈 과거

    ▲조코비치가 네 살 때인 1991년 처음으로 손에 라켓을 잡았다. 당시 세르비아의 최고의 코치인 옐레나 젠치치가 테니스 캠프를 열었다. 매일 캠프에 와서 훈련을 지켜본 조코비치를 발...
    Read More
  11. 테니스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다 - 중국으로 날라가는 한 대학테니스 선수 출신

    ▲ 중국 수도 북경 시내에서 20분 거리에 있는 조양공원내에 테니스코트가 있다. 보급형 막구조의 실내코트 8면이 있고 야외에 국제규격의 센터코트와 일반 코트6면이 있다. 중국은 이 ...
    Read More
  12. 스타 이름을 [대박 브랜드]로 만들다.. 스포츠 마케팅의 원조, IMG

    프로 테니스 역사상 가장 극적인 장면은? 많은 테니스 전문가들이 2004년 7월3일 마리아 샤라포바가 윔블던 우승컵을 차지한 사건을 꼽는다. 당시 17살 틴에이저였던 샤라포바는 73분 ...
    Read More
  13. 파리 장부앙클럽에서 육성되는 9살 김정호 스토리

    김정호 가족 Lentement mais sûrement(천천히 그러나 확실히) Regardez moi!!!(나를 쳐다 봐라) 프랑스는 그랜드슬램을 130년째 열고 투어 100위내에 남녀 선수들이 15명이나 있는 나...
    Read More
  14. 윔블던스럽다

    취재하면서 윔블던스럽다라는 말이 생각나서 만들어 사용하고 싶다. 윔블던이 다른 그랜드슬램과 다른점 10가지를 들라면 들 수 있다. 평등과 기회 균등의 정신이 배어있다. 그리고 과...
    Read More
  15. 한국 테니스 역사 ..국내 1호 테니스 전래지, 거문도 현판식 거행

    ▲ 빨간원 안이 1885년 영국 동양함대 수병들이 조성한 우리나라 최초의 여수시 삼산면 거문도 테니스장 ▲ 거문도 테니스 전래지 기념 현판식(왼쪽부터 대한테니스협회 곽용운 회장, 전...
    Read More
  16. 2019 프랑스오픈 취재기 - 나는 파리의 운전기사

    5월 24일 저녁 7시. 인천에서 상하이를 거쳐 파리에 도착하는데 18시간이 걸렸다. 직항 13시간 보다 더 걸렸지만 상하이에서 잠시 쉬고 난 뒤 장거리 비행도 나쁘지 않았다. 1차 9명이...
    Read More
  17. 테니스로 얻은 땀과 눈물은 그 무엇과 바꿀 수 없어... 세계 50위로 부산오픈 신청했던 매튜 앱든

    국내 최고 프로대회인 부산오픈국제남자챌린저대회를 몇년째 준비하는 부산테니스협회 김영철 회장은 "왜 우리나라 테니스에는 손흥민 축구 선수와 같은 그저 겸손한 선수는 없을까"라...
    Read More
  18. 일본의 학교 테니스에서 배울점은 없을까

    우리사회는 어느 순간 혼돈과 무질서의 도가니가 되어 버렸다. 어른도 없고 가이드라인도 없어 보인다. 테니스도 예외일 수 없다. 지역마다 경쟁하던 학교는 어느새 다 사라져 버리고 ...
    Read More
  19. 테린이 탈출하기 - 나의 테니스 실력 제대로 알기 (나는 테니스 몇단?)

    테니스 1단은 테초(初) 테초?에 가라사대 포핸드만 있었고 하느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를 암송하며 포핸드만 치면 다 되는줄 알고서 또한 테니스엔 포핸드만 있는줄 알고 열심히 까불...
    Read More
  20. 테니스에 길이 있다

    요코하마챌린저에 출전한 게이오대학 성요한 아들, 딸들에게 테니스를 가르치는 부모들이 많아지고 있다. 대를 이어 테니스를 하는 가족이 있는가 하면 외동, 남매, 형제, 삼남매에게 ...
    Read More
  21. 중국 여자 테니스 왜 강한가

    한국여자테니스가 중국에 완패를 당했다. 장수정과 한나래는 사실 오랫동안 해외무대 경험을 쌓은 선수들이다. 팀 지원도 적지 않다. 선전했지만 중국에 완패했다. 우리나라 여자선수...
    Read More
  22. 테니스 기술을 더 탄탄하게 보완하려면..백보드 활용법

    ▲ 백보드는 아주 쓸모 있는 연습 파트너이다. 볼이 2차례 땅에 바운드 된 후 임팩트 하는 것이 좋다. 대부분의 백보드는 뒤로 15°가량 젖혀있지 않아 벽면에 튄 볼이 급히 땅으로 바운...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