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우리가 게임을 하다보면 모든 볼은 한 방법으로만 치려고 한다.
그러나 다양한 볼이 오고 그 볼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볼을
쳐야 할 것이다.
보통 긴 볼에는 익숙하지만 서브라인 안으로 짧은 볼이 떨어지면
달려 들어가 결정구를 날린다.
이때, 전체적으로 자신의 스윙 폼이 크므로 에러가 많이 발생한다.

짧은 볼이라도 떨어지는 속도는 같다.  
생각만큼 결정구가 쉽지는 않으므로 테이크 백을 짧게 하고 볼을
감아서 상대 중앙이나 양측 사이드로 짧게 감아 처리해야 한다.
실제적으로 내가 짧은 볼에 앞으로 달려 나가면 상대 2명은
심리적으로 끝이라고 포기한다.
상대는 틀림없이 강한 결정구를 날릴 것으로 생각하고 목숨 걸고
육탄으로 막는다는 생각은 안하게 된다.
달려가서 칠 때 짧게 감아서 처리하면 범실의 우려가 적다.

자신이 달려 들어간 만큼 상대 코트의 베이스라인과의 거리가
짧아지기에 같은 스윙 폼으로 처리하면 아웃의 확률이 많아지고
또 이를 의식하여 낮게 친다는 것이 네트에 걸리거나 결정구의
욕심에 볼을 칠 때 자신의 몸의 중심이 높아서 네트에 걸리기도 한다.

발리 플레이중 상대의 로빙에 쫓아 나가서 리턴 하지만 네트에
많이 걸린다.
베이스 라인 밖에서 치면 네트와의 거리도 멀어지므로 더욱 길게
쳐야하는데 평소의 스윙대로 하면 네트에 걸린다.
또한 네트 앞에 상대편을 보면 발리에 걸리지 않도록 낮게
처리하면 네트에 걸린다.  

상대가 들어오면 같이 로빙으로 한번 넘겨주고 제자리로 돌아와
전열을 가다듬고 풀어가고, 스트로크를 길게 처리해야 한다.

중앙에서의 리턴 볼을 상대 코트의 사이드로 공략하려고 하다가
에러를 많이 하게 된다.
에러 없이 중앙에 떨어진 볼은 상대 코트의 중앙으로 리턴 하는
연결구의 수준으로 처리하고 오히려 사이드에 짧게 떨어진 볼을
반대편 사이드로 짧게 감아서 공략하면 쉽게 결정구를 만들 수 있다.
중앙은 연결구의 수준으로 중앙으로 처리하고, 사이드는 칠 때
집중하여 반대 사이드로 결정구를 노린다.

시합 전 몸 풀기 랠리에서 중타의 감각을 찾아야 한다.
시합에서 상대가 약간 강하다고 사이드로 빼고, 서브 리턴을
로빙 하다보면  쉽게 무너질 수 있다.
중타로 대처하되 이리 저리가 올바른 대처법이다.
서브를 욕심내지 말고 첫 서브의 성공확률을 높여야 한다.
서브 리턴도 마찬가지이다.
복식에서는 강하게 한방으로의 환상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실력이 한 단계 향상되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한 점 한 점의 포인트는 내가 공격하여 낼 수도 있지만 상대의
범실로도 낼 수가 있다는 점을 느낄 때 테니스의 또 다른 매력을
맛보게 될 것이다.
단식에서는 사라포바 같이 강하게 쳐서 공격적인 선수가 더욱
발전하고 이기는 확률도 많지만 복식에서는 양측 2명씩이 있으므로
웬만한 공격으로는 뚫리지가 않는다고 보아야 하며 심리적으로
긴장된 시합 중에는 더 더욱 힘보다는 코스이다.

강한 윈 샷 보다는 이리 저리 "내가 원하는 대로 상대를 춤추게"
만들 수 있어야 한다.
멋진 한방보다는 다양하고 섬세하며 중타와 연타의 컨트롤 능력이
실전 경기에서는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