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netic chain...그 원뜻이.. 무릎, 엉덩이, 어깨로 힘이 전달되는 형태입니다.

 

즉,, 아래에서 위로 가는 것입니다.

이것을 앞뒤의 관계로 생각해 보면,, 상체가 앞으로 이동하면서 생기는 힘이,, 백스윙을 하면서,, 그 반동력으로 뒤에 위치한 오른쪽 어깨에 전달되어서,, 반동력이 강하게 생기는 것 같습니다.

 

이것도,, 어찌보면,, kinetic chain의 원리같습니다.

아래에서 위로 전달되는 것을 보면,,

 

무릎을 구부리지 않으면,, 엉덩이로 파워가 축적되지 않고,, 결국 어깨에도 힘이 전달되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앞으로 신체의 이동이 없으면,, 그 힘이 오른쪽 어깨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당연히 힘의 전달은 없습니다.

이 두가지의 힘을 이용하지 않으면,,어깨는 파워(회전력)를 가질 수 없습니다. 당연히 어깨와 팔로써는 스스로 힘을 만들어 회전을 할려고 합니다.

그러면 어쩔 수 없이,,  어깨와 팔에 힘이 들어가는 현상이 생깁니다..

초반의..무릎, 엉덩이와 상체가 앞으로 전진이동을 하는데,,이것으로,, 오른쪽어깨가 앞으로 이동하는 반동력이 생깁니다.

그 이유를 생각해 보면,,무릎,, 엉덩이, 상체가 앞으로 움직이더라도,,무릎, 엉덩이가 아주 약간 먼저 이동을 하므로서,, 상체를 앞으로 당기는 느낌이 있습니다.

 

그 탄력으로 오른쪽 어깨에 반동력(탄력)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이 전진운동을 하고 나서,,오른쪽어깨에 반동력이 생기지 않는다면,, 무언가 잘못된 것입니다.

전진운동의 주목적은 오른쪽 어깨에 반동력,, 이것때문입니다.

이 전진 운동을 할려면,,2가지 전제조건이 되어야 합니다..

하나..두 발 사이의 거리가 너무 좁으면 안됩니다... 양 어깨거리보다 1.5배는 되어야,, 충분한 전진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나는..

 

무릎을 많이 구부려야 합니다. 무릎이 적게 구부리면,, 앞으로 이동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