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자신의 영역은 목숨을 걸고 지킨다.

자신의 영역은 목숨을 걸고 지킨다.

2012년 8월10일 오후 2시, 헬기편으로 독도에 도착한
이명박 대통령이 ‘역사적인’ 첫 발을 내디뎠다.
이 대통령은 “우리나라의 남단은 마라도, 서해에는 백령도가
가장 끝”이라면서 “동해 동단에 있는 게 독도인데 동단을
잘 지켜 달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환경이 파괴되지 않도록 친환경적으로 잘해
달라.”면서 “독도는 자연 그대로 잘 지켜야 한다.
경비도 해야 하지만 환경도 잘 지켜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독도는 진정한 우리의 영토이고 목숨 바쳐
지켜야 할 가치가 있는 곳이다. 긍지를 갖고 지켜가자”고
강조했다.

숙적 일본을 꺾고 사상 첫 올림픽 메달이 확정된 순간, 한국
축구의 역사를 만든 선수들은 태극기를 들고 감격의 세리머니를
펼쳤다.
이때 미드필더 박종우 선수는 관중석에서 건네받은 손 팻말을
들고 그라운드를 질주했다.
하지만,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문구가 문제가 됐다.

우리 땅은 우리가 목숨을 걸고라도 지켜야 한다.
테니스를 할 때도 자신의 영역은 목숨을 걸고라도 지켜야 한다.
최선을 다하라는 말이다.
게임을 하다보면 자신의 영역으로 오는 볼도 파트너에게 미루고
파트너가 잘 처리해 주길 바란다.
그러나 자신의 영역으로 오는 볼은 반드시 자신이 처리해야 한다.

특히 전위에 선 사람은 가장 바쁘게 움직여야 한다.
상대가 리턴하는 볼을 한방에 발리로 처리하고 과감한 결단력으로
순식간에 튀어나가 포치를 감행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눈과 몸의 정면은 상대 코트에 볼을 리턴하는 사람을 향해야 한다.
그리고 최소한 라켓 헤드 부분이 네트의 흰색 밴드의 위로 올라와
있어야 한다.

눈은 항상 볼을 주시하되 자신의 신체를 지나간 볼은 상대의
로빙 이외에는 절대 고개를 돌려 뒤를 보지 말아야 한다.
일반적인 전위의 위치는 네트에서 뒤로 1~3m 정도이다.
조금 더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면 서브박스 정 중앙에
위치하며 더 자신이 있을 때는 네트에서 시작하여 서브박스
2/3 지점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서브&발리어는 전위와 자신이 코트의 1/2씩을 분담한다.
아주 능숙한 서브&발리어도 코트의 2/3을 커버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상대팀이 하수들이 아닌 이상 정 중앙과 사이드 앵글 쪽,
그리고 로빙까지 커버하며 달려 들어가기에는 심적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상대가 전위 위로 로빙을 하여 볼을 띄우면 전위는 파트너가
받으라고 자신은 피한다.
그러나 웬만한 볼들은 자신이 처리를 해야 한다.
상대가 로빙을 띄운다는 폼을 보고 미리 몇 걸을 뒤로 물로나서
그대로 스매시로 강하게 처리를 해야 한다.
자신의 1/2 영역은 항상 자신이 지킨다고 생각해야 한다.

전위는 수비적으로 오로지 자신의 영역만 철저히 지킨다는
생각에서 탈피하여 공격적으로 최전방에서 날고뛰어야 한다.
포치를 시도하는데 두 번 중 한번만 성공해도 포치를 감행하는
것이 좋다.
확률은 50%이다.
상대를 압박한다는 의미에서 리턴자는 망설이게 된다.
그리고 에러를 하게 된다.

자신의 영역은 자신이 지켜야 한다.
너무 파트너에게 의존한다면 파트너가 전천후 게임을 다
소화할 수가 없다.
목숨을 걸고라도 자신의 영역은 지켜야 한다.
그래야 게임에서 승리는 자주 다가 올 것이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 이상호 08.13 17:28
    어제 간간이 비가 오는 가운데 대학교정에 있는 하드코트에서 4 게임을 했습니다. 무더위를 식혀주는 비가 내려 좋았지만 한 회원에 오른 발목을 접지르는 불상사(클레이 처럼 미끄러짐이 없어서)가 생기기도 했지만 충분한 운동을 하니 아주 좋았습니다. 그런데 상대팀 회원 한 명이 평소 공포의 포핸드를 가지고 있지만, 발리나 백핸드는 별볼일 없는 선수였습니다. 하지만 어제는 묻지마 포핸드가 70~80% 들어오고 드라이브 발리까지 성공하는 최고의 컨디션을 보여주더군요. 세 게임 모두 패하고(두 게임 다 5:5 타이브레이크에서 5:7 패/ 13:15 패, 마지막 게임은 4:6 패) 다른 클럽 나이가 좀 있으신 노련한 선수와 게임은 6:2로 가볍게 이겼는데 ...
    교수님 질문은 그 선수처럼 묻지마 포핸드 강타를 날리는 연습을 하는 것이 옳은지, 아님 모든 스킬을 골고루 실수가 없도록 연습하는 것이 옳은지 궁금하구요. 일명 불같이 잘 맞는 선수와 게임할 때 (어젠 문볼로 베이스라인에 떨궈도 포핸드 강타가 다 들어오데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볼 배급하는 패턴을 바꾼달지 또는 슬라이스를 친다던지 등등
  • 정동화 08.13 22:16
    이상호님, 감사합니다.

    볼을 처음부터 강하게 치는 사람이 장기적으로
    대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초기에는 당연히 에러가 많겠지만 나중에 이 에러가
    컨트롤이 되면 아주 무서운 무기가 됩니다.

    주변 사람들을 한번 살펴 보시면 강타를 치는 사람들이
    빠르게 우승자가 되고 실력향상이 빠르다는 것을
    느꼈을 것입니다.

    이렇게 강타를 치던 사람들이 나중에 나이가 들어 노련미가
    가미되면 에러없이 정교한 테크닉이 늘게 됩니다. |+rp+|3304
  • 정동화 08.13 22:20
    일단은 강타를 먼저 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연타도 한번씩 쳐 보기도 하면 오히려
    상대는 혼돈될 우려가 있습니다.

    강타를 잘 치지 않는 사람들은 에러가 두려워 게임에서
    강타를 잘 치지 못합니다.
    에러를 두려워 말고 강타를 쳐 볼 때 다음에도 강타를
    칠 수 있는 것입니다.

    현재의 게임에만 급급하지 마시고 장기적으로 생각하여
    게임을 하시면 나중에는 상당한 고수가 될 것입니다. |+rp+|3304
  • 정동화 08.13 22:26
    상대의 강타는 약하게 치는 연타가 효력을 발휘할 때가
    많습니다.
    상대가 강타를 친다고 자신도 강타를 날리면 오히려 상대를
    도와주는 경우가 되지요.

    예전에 결승전 장면인데요.
    한 팀은 젊은 선수들로 강타가 위주이고 상대 팀은 60이
    넘은 노련한 팀으로 정밀한 연타를 주로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노련한 팀이 젊은 팀을 6-2로 쉽게 이겼습니다.
    강타를 아주 쉽고 정확한 코스로 약하게 치니 오히려
    맥도 못 추고 주저 앉는 것을 보았습니다.

    결국은 게임은 상대성이므로 상대에 따라 적절하게
    자신의 플레이를 전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rp+|3304
  • 김홍배 08.16 17:11
    잘보고갑니다